• 제목/요약/키워드: KC6361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암조건에서 오이자엽의 녹화를 유기시키는 KC-6361 화합물의 작용기구 (Mechanism of the Cucumber Cotyledon Greening Induced by KC6361 in Darkness)

  • 김진석;김태준;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76-183
    • /
    • 1994
  • 새로 합성된 KC6361화합물은 기존 디페닐에 테르계 화합물에서 보였던 증상(회백색)과는 달리 식물체의 백화를 유기시킬 뿐만아니라 암조건에서 녹화를 유기시키는 생리현상을 가지는 바 본 연구에서는 암조건에서 녹화가 유기되었던 원인을 규명하고자 실험하였다. 1. KC6361은 암조건에서 PPIX의 축적, 광전환 후 Pchlide의 재축적 정도, Shibata shift 등에는 영향이 없었던 반면, ALA, Pchl, Chl은 증가되었으며 이중 Pchl의 축적이 현저하였다. 2. KC6361 또는 phytol을 단독처리하거나 KC6361, phytol, ALA 상호간 혼합처리하였을 때 Pchlide의 Pchl로의 전환이 촉진되었던 것으로 보아 KC6361에 의한 암조건에서 녹화는 phytol이 일부 축적되어 이들이 Pchlide와 에스테르화되었기 때문으로 보였다.

  • PDF

새로운 백화형 디페닐에테르계 화합물 KC-6361의 제초작용기작 (Mode of Action of the New Diphenyl Ether Herbicide KC6361)

  • 김진석;김태준;김영섭;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81-93
    • /
    • 1994
  • 새로 합성된 KC6361 유도체는 기존 디페닐에테르계 화합물에서 보였던 증상(회백색)과는 달리 식물체의 백화를 유기시킨다. 따라서 이들 화합물의 구조상 특징이 무엇이며 식물체에서 어떠한 작용기작을 갖는지를 알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1) 백화를 유기시키기에 비교적 적당한 구조는 B환의 para 위치에 nitro기가 있고 A환의 meta 위치에 탄소수가 3개 이하의 alkyl 또는 allyl기를 가지는 carbamoyl이 치환되는 것이었다. 벼 등은 2kg/ha 수준에서 미미한 약해를 보여 비교적 좋은 선태성을 가졌고 바랭이, 피, 참방동산이, 비름 등은 0.25~0.5kg/ha에서 기타는 0.5~1.0kg/ha에서 거의 방제되었다. 2) 암조건에서 KC6361은 carotenoid 생성을 억제시켰으나 엽록소는 오히려 촉진시켰다. 명조건의 경우 높은 광도에서는 낮은 광도에서 보다, 엽록소보다는 carotenoid가 더욱 저해되었고 $^{4}C$-acetate의 지방성분으로의 혼입 저해정도는 미약하였다. 3) 단은방주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이 norflurazon과 동일한 양상을 보였고, KC6361이 처리된 오이, 식용피에 있어서 carotenoid 성분변화를 볼 때 phytoene 및 phytofluene 함량은 증가된 반면 그 이후의 ${\beta}$-carotene은 감소되어 norflurazon과 같은 경향이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KC6361의 작용점은 norflurazon과 같이 phytoene or/and phytofluene dehydrogenase를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