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pop 스타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5초

중국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K-POP 스타들의 사진 이미지 분석 (An Analysis of K-POP Stars' Images in Chinese Social Medias)

  • 윤정;양종훈;이상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71-82
    • /
    • 2021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중국 소셜 미디어에 나타나고 있는 K-Pop 스타들의 사진들을 살펴보고 사진 속에 담겨진 주요 이미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K-Pop 스타들의 사진은 중국 최대의 포털사이트인 바이두(www.baidu.com)에서 제공하고 있는 커뮤니티 사이트로부터 수집되었으며, 분석대상은 중국에서 꾸준하게 인기를 얻고 있는 5개의 아이돌 그룹((EXO, IKON, T-ara, Wonder Girls, 소녀시대)의 사진들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주요 음악적 스타일과 배경을 살펴보고 선정된 사진들에 나타난 이미지들을 살펴보았다. 이들의 사진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Pop 보이스 그룹은 서구적인 외모와 함께 남성적인 매력을 부각시키는 이미지를 활용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K-pop 걸 그룹의 경우에는 젊음과 상큼함 그리고 섹시함을 내세운 이미지 메이킹을 보여주는 경향이 강하였다. 결론적으로 K-Pop 한류 스타들에 대한 사진이미지는 중국 K-pop 아이돌 스타들의 사진 이미지의 생산과 유통을 담당하고 적극적인 콘텐츠 소비활동을 촉진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K-POP 특성이 한류콘텐츠 호감도와 청취의도 및 한국제품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The effect of K-POP characteristics on the liking of Korean Wave content, the intention of listening and the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Targeting Chinese consumers)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201-210
    • /
    • 2017
  • 본 연구는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K-POP 특성이 한류 콘텐츠 호감도와 청취의도 및 한국제품 구매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K-POP 특성을 음악적 특성과 스타(가수)특성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K-POP 특성중 음악적 특성과 스타(가수) 특성 모두가 한류 콘텐츠 호감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K-POP 특성중 음악적 특성과 스타(가수) 특성 모두가 K-POP 청취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K-POP 특성중 음악적 특성과 스타(가수) 특성 모두가 한류 콘텐츠를 통한 한국제품 구매의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다만, K-POP 특성중 음악적 특성보다는 스타(가수)특성의 상대적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중국소비자를 대상으로 K-POP 소비증진방안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팬과 K-pop 스타간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소셜 로봇 피규어 기반 서비스 제안 (Proposing a Service based on a Social Robotic Figure that Supports Interaction Between Fans and K-pop Stars)

  • 전병일;박재완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10호
    • /
    • pp.499-508
    • /
    • 2016
  • 전 세계적인 K-pop 문화의 확산에 따라 K-pop 스타 관련 시장의 규모가 국내·외로 확장되고 있다. 최근 지속적인 K-pop 문화의 확산을 위해 스타와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서비스와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팬과 K-pop 스타 사이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소셜 로봇 피규어 기반 서비스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K-pop 문화 현황에 대한 문헌 연구를 수행 한 후, 기존에 출시된 팬과 스타를 연결하는 서비스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사례 조사를 진행하여 새로운 서비스 개발 방향을 수립하였다. 수립된 개발 방향을 기반으로 소셜 로봇 사례를 분석하여 적용 가능한 기술 및 기술 기반 상호작용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최종적으로 소셜 로봇 피규어 기반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소셜 로봇 피규어 기반 서비스는 IoT 플랫폼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사용자 맞춤형 피규어 활용 서비스로 스마트, 커넥티드 피규어를 사용하는 팬과 스타 간의 양방향 커뮤니케이션을 다양하게 지원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K-pop 문화의 지속적인 발전에 공헌하고 향후 플랫폼 기반 상호작용이 필요한 스마트, 커넥티드 제품과 이러한 제품을 활용하는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지침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 스트리트 패션 형성(形成)에 미친 팝 스타의 패션스타일 연구(硏究) (A Study on the Pop Stars' Fashion Styles Influencing Young Street Fashion)

  • 이희승;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4호
    • /
    • pp.114-129
    • /
    • 2006
  •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influence on the creation of young generation's street fashion of pop stars focused on pop music given the fact that fashion can be created by popular culture in this multi-media era. Also,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data for the activation of the creation of young fashion culture and the fashion industry through pop stars' fashion. The pop stars' fashion that has affected young street fashion is as follows : Elvis Presley's rock'n'roll style, Beatles' mods style, Janis Joplin's hippy style, Sex Pistols's punk style, Madonna's boy-toy and corset style, Michael Jackson's androgynous style, Puff Daddy and L.L Cool J's hip-hop style, Bob Marley's reggae style, Spice Girls, Jennifer Lopez and Britney Spears's sexy style. The young street fashion culture of pop stars and its industrial meaning withdrawn from the above are as follows : Creation of a fashion icon, Creation of anti-fashion, Liberation of a sex role, Costume play culture, Activation of the young fashion industry through star marketing.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케이팝(K-POP) 콘텐츠 수용 (Reception of K-Pop Contents among the Chinese Students in Korea)

  • 왕초;박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119-129
    • /
    • 2013
  • 본 연구는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케이팝 콘텐츠 수용동기를 측정하고, 케이팝 콘텐츠 수용동기가 수용 행태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케이팝 콘텐츠 수용동기는 4가지 요인으로 "스타의 매력", "정신적 휴식", "경험적 인식", 그리고 "문화적 근접성"으로 나타났다.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케이팝 콘텐츠 수용량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수용동기는 "스타의 매력"과 "정신적 휴식"으로 나타났다.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케이팝 수용행태는 케이팝 수용량과 수용능동성 그리고 선호 유형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능동성에 있어서는 케이팝 스타의 매력이 재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수용능동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아시아국가에서의 K-pop 이용행동과 K-pop으로 인한 국가호감도 및 한국 방문의도 변화 (Impact of K-pop on Positive Feeling Towards Korea, Consumption Behaviour and 1Intention to Visit from other Asian Countries)

  • 김주연;안경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516-524
    • /
    • 2012
  • 최근 K-pop은 아시아 국가를 비롯해 전세계적인 인기를 구사하고 있다. 드라마를 중심으로 확산되던 한류는 2005 이후 아이돌그룹 가수들을 위시로 한 K-pop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한류 팬들의 한류 소비행태는 단순한 콘텐츠 소비를 넘어서서 한류스타의 모방뿐 아니라 한글을 배우는 등 보다 발전된 행동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K-pop의 주요 소비국인 중국, 일본, 태국, 베트남의 아시아 4개국을 대상으로 하여 K-pop 이용행동을 파악하고, K-pop을 좋아하는 이유를 파악하였다. 또한, K-pop이 한국에 대한 호감도와 한국방문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국가별 K-pop 이용행동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K-pop 선호요인과 국가호감도과 한국방문의도 간 영향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향후 K-pop의 해외진출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1960년대 록 스타 패션의 도상학적 해석 (Icon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Fashion of Rock Stars in the 1960's)

  • 이정원;금기숙
    • 복식
    • /
    • 제58권6호
    • /
    • pp.69-84
    • /
    • 2008
  • Considering that star reflects the image of current society, analyzing fashion of celebrity is to read ideal type and demands of beauty of the era. Especially the rock music-represents youth culture that last on present day-born in 1960's, and it is considered to a significant decade in pop music history. Thus this research will analysis rock star's fashions in iconological view of E. Panofsky. The aim of this document is Clarifying how the fashion of pop stars appeared and what formed its worth. As a result of analyzing fashions of rock star in 1960's, it is available to find these sameness and difference. The Mods borrowed images of the past, and introduce the elite modernism and shows very urban style. The Folky and the Psychedelic showed post-structuralism propensity against industrial society, in the case of the Folky it induced styles that symbolize labor class to realize social worth. And as an aftereffect of war and repulsion of commercial worth, they embody nature-returning peasant look so that it shows pastoral mood in total. The Psychedelic express somewhat struggling escapism and it generated illusionary images with quests to superego and glorification to psychedelic status. The Folky and the Psychedelic are same in the side of introducing existentialism, this occurred by using ethnic factor. But the Folky showed plain outlook by pop propensity, on the other hand, the Psychedelic showed magnificent outlook such as optical art, pop art, and futurism ought to express merrymaking culture. And common feature of these is introduction of unisex mod which is came after the change of gender role. Thus each star or group has professed special ideology into their culture and it is reflected to acts which is including music and dress style. This affair is analyzed like these two things. The mass of people schemes their identity with inducing special ideology to their culture at the first. And the purpose to archive cultural hegemony in inter-social class at the next.

패션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게임과 대중 스타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On-line Game and Popular Stars - Focused on Fashion -)

  • 손이정;이인성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811-821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on the most noticeable game industry in a digital era, and on the definition and feature of post-digital generation enjoying it, along with the relations with the game. Especially, this paper examined correlations between game characters' fashion and pop singers' fashion targeting post-digital generation enjoying game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on-line game's popularity affected popular culture and game business and popular stars have close interrelation. In addition, through variosus objective surveys, the game characters' fashion was classified into five images before being analyzed; fighter's image, retro image, surreal image, sensual image, and unisexual image. The game characters' fashion wasn't only analyzed also studied correlation between on-line game character's fashion and pop singers' fashion by five images. Consequently in case of game characters' fashion, it influenced on pop singers' fashion targeting teens and twenties enjoying games, which meant fashion connections between game characters and pop singers.

신한류 효과: 중국인들의 K-POP 이용이 한국과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ew Hallyu: Influence of K-POP Consumption on Chinese Attitude toward Korea and Hallyu)

  • 유경진;박연진;황하성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65권
    • /
    • pp.51-75
    • /
    • 2014
  • 본 연구는 한국 대중음악을 대표하는 K-POP이 아시아를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퍼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중국의 K-POP과 드라마의 수용현황을 분석하고 K-POP과 드라마의 이용 및 평가가 한국과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에 대한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한국드라마 시청시간, 한국드라마에 대한 평가, K-POP 청취기간, K-POP 평가가 나타났으며, 한류에 대한 호감도의 경우, 인구통계학적 속성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고 한국드라마의 시청기간, 한국드라마에 대한 평가, K-POP의 평가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드라마와 K-POP의 내용상의 평가가 한국과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으로 나타나, 이는 향후 한류 콘텐츠 제작에 있어 한류 스타에 의존하기 보다는 내실 강화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 또한 드라마의 시청행위와 드라마에 대한 평가를 통제했을 때에도 K-POP에 대한 평가가 한국과 한류에 대한 호감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K-POP은 한국 드라마와 같이 한류를 대표하며 한국과 한류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 드라마의 강력한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 한류의 중심이 K-POP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PDF

K-Pop 보이 그룹의 패션디자인 및 스타일 연구 - 방탄소년단, 세븐틴의 음악 방송 프로그램 및 유튜브 영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and Style of K-Pop Boy Groups - Focusing on the Music Programs and YouTube Videos of BTS and Seventeen -)

  • 왕롄카이;김윤경;이경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26-743
    • /
    • 2021
  •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fashion design and style of representative K-Pop boy groups BTS and SEVENTEEN appearing on music shows.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 4 music programs(Inkigayo, Music Bank, Show! Music Core, M COUNTDOWN) and YouTube(www.youtube.com) for each boy who worked for 5 years from January 2016 to December 2020. Result analysis utilized the stage scenes and music videos of the title songs of BTS and Seventeen. As for the fashion design and style characteristics of BTS, it was found that overall, the color, pattern, and decoration of the bottom were minimized, and the style was changed mainly by the top of the denim pants. As for Seventeen's fashion design and style characteristics, it was analyzed that plain simple slacks, bright and modest chromatic colors, and geometric and stylistic patterns with street retro sensibility were relatively emphasized, and natural and romantic images appeared a lo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fashion design and style characteristics between BTS and Seventee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olor, tone, color scheme, material type, material combination, detail, trimming, pattern, accessories, and fashion image. Overall, it was found that both groups minimized the use of decorative elements such as patterns, details, and trimm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