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POP contents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2초

K-POP 댄스 콘텐츠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연구 개발 방향 (The Direction of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Reviltalization of K-POP Dance Contents Industry)

  • 김도형;장민수;김재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55-858
    • /
    • 2015
  • K-POP의 전 세계적인 확산의 핵심 원동력은 바로 K-POP 댄스이다. 이러한 K-POP 댄스의 인기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K-POP 댄스 콘텐츠의 글로벌 시장 확산을 위한 IT 기반 기술과 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K-POP 댄스 콘텐츠 산업의 부진으로 이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K-POP 댄스 콘텐츠 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기술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K-POP 댄스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동작분석 기술 연구개발 사례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수행하고 있는 연구개발과제를 소개함으로써 향후 기술의 발전 방향과 파급 효과를 전망한다.

  • PDF

[논문철회] 신한류 'K-POP'의 성공요인 분석과 한류 지속화를 위한 스마트미디어 활용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Retraction] Success Factor Analysis of New Korean Wave 'K-POP' and A study on the importance of Smart Media to sustain Korean Wave)

  • 박현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129-135
    • /
    • 2020
  • 본 연구는 K-POP의 킬러컨텐츠가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현상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다른 문화 속에서 K-POP이 성공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고 그 중 소셜미디어를 비롯한 스마트미디어 환경의 변화가 글로벌시대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여 K-POP의 지속가능 방안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외 실감컨텐츠 관련 제작사례를 탐구하여 K-POP의 잠재적인 지표 및 그에 따른 시장을 분석하고 컨텐츠 제작자, 플랫폼사업자, 네트워크 사업자, 가전사 등 효율적인 생태계 구축과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K-POP의 지속확대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K-POP한류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지속 발전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였다.

K-POP 한류의 성공요인분석과 한류 지속화 방안연구 -스마트 미디어 기반 실감콘텐츠 활용을 중심으로 (Sucess Factor Analysis of K-POP and A Study on sustainable Korean Wave - Focus on Smart Media based on Realistic Contents)

  • 조병철;심희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90-10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K-POP 한류의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K-POP은 한류의 대중문화가 아시아를 넘어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며 새로운 킬러 콘텐츠로서 급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POP의 글로벌 확산의 성공요인을 분석하고 특히, 소셜 미디어를 비롯해서 스마트 미디어 환경의 변화가 대중문화예술의 글로벌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고 관련 요구조건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외 실감콘텐츠 관련 제작사례를 탐구하고 다양한 콘텐츠의 재매개를 통해 K-POP한류의 확산가능성을 분석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류의 지속화 방안을 위하여 K-POP한류 확산을 위한 잠재적인 시장분석을 수행하고 스마트 미디어 기반 실감 콘텐츠의 생산자, 플랫폼사업자, 네트워크 사업자, 가전사 등 효율적인 생태계 구축과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통해 지속가능한 K-POP한류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중국에서의 한류콘텐츠 선호가 한국상품 구매, 한국방문 및 한글학습의도에 미치는 영향 (How Chinese Population's Preference to Korean Wave Contents does Influence their Intent to Purchase Korean Product, Visit Korea and Learn Hangul)

  • 김주연;안경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447-458
    • /
    • 2012
  • 드라마를 시작으로 하여 시작된 중국에서의 한류는 최근 K-pop의 인기로 그 여파를 이어가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상품 수출이 증가하고, 한국을 방문하거나, 한글을 배우려는 인구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드라마, 영화, K-pop, 게임 등 한류콘텐츠가 한국상품 구매의도, 한국방문의도, 한글학습의도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류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것으로 파악되는 한국상품인 화장품과 의류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한류콘텐츠는 드라마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K-pop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방문의도, 미용 성형관광과 한국음식구매의도에 있어서도 드라마에 대한 선호가 미치는 영향이 가장 높았으며 K-pop이 그 다음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한글학습의도에 영향을 미친 한류콘텐츠는 드라마와 K-pop이었으며, 이 중 K-pop이 미친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국 소셜 미디어에 나타난 K-POP 스타들의 사진 이미지 분석 (An Analysis of K-POP Stars' Images in Chinese Social Medias)

  • 윤정;양종훈;이상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71-82
    • /
    • 2021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중국 소셜 미디어에 나타나고 있는 K-Pop 스타들의 사진들을 살펴보고 사진 속에 담겨진 주요 이미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K-Pop 스타들의 사진은 중국 최대의 포털사이트인 바이두(www.baidu.com)에서 제공하고 있는 커뮤니티 사이트로부터 수집되었으며, 분석대상은 중국에서 꾸준하게 인기를 얻고 있는 5개의 아이돌 그룹((EXO, IKON, T-ara, Wonder Girls, 소녀시대)의 사진들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주요 음악적 스타일과 배경을 살펴보고 선정된 사진들에 나타난 이미지들을 살펴보았다. 이들의 사진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Pop 보이스 그룹은 서구적인 외모와 함께 남성적인 매력을 부각시키는 이미지를 활용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K-pop 걸 그룹의 경우에는 젊음과 상큼함 그리고 섹시함을 내세운 이미지 메이킹을 보여주는 경향이 강하였다. 결론적으로 K-Pop 한류 스타들에 대한 사진이미지는 중국 K-pop 아이돌 스타들의 사진 이미지의 생산과 유통을 담당하고 적극적인 콘텐츠 소비활동을 촉진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다.

아시아국가에서의 K-pop 이용행동과 K-pop으로 인한 국가호감도 및 한국 방문의도 변화 (Impact of K-pop on Positive Feeling Towards Korea, Consumption Behaviour and 1Intention to Visit from other Asian Countries)

  • 김주연;안경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516-524
    • /
    • 2012
  • 최근 K-pop은 아시아 국가를 비롯해 전세계적인 인기를 구사하고 있다. 드라마를 중심으로 확산되던 한류는 2005 이후 아이돌그룹 가수들을 위시로 한 K-pop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 한류 팬들의 한류 소비행태는 단순한 콘텐츠 소비를 넘어서서 한류스타의 모방뿐 아니라 한글을 배우는 등 보다 발전된 행동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K-pop의 주요 소비국인 중국, 일본, 태국, 베트남의 아시아 4개국을 대상으로 하여 K-pop 이용행동을 파악하고, K-pop을 좋아하는 이유를 파악하였다. 또한, K-pop이 한국에 대한 호감도와 한국방문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국가별 K-pop 이용행동의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K-pop 선호요인과 국가호감도과 한국방문의도 간 영향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는 향후 K-pop의 해외진출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의 알고리듬은 어떤 연관 비디오를 추천하는가: 유튜브의 K POP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What Do The Algorithms of The Online Video Platform Recommend: Focusing on Youtube K-pop Music Video)

  • 이영주;이창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13
    • /
    • 2020
  • 본 연구는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에 적용되는 추천 알고리듬을 이해하고자 유튜브에서 K-pop 뮤직비디오의 콘텐츠 특성과 재생 시 추천되는 연관 비디오(related video)의 관계를 규명하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어떤 비디오가 연관 비디오로 추천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K-pop 재생 시 비디오의 좋아요 수가 추천 순위에 영향을 주었으며 대부분 같은 채널에 속하거나 동일한 기획사에서 제작한 비디오가 연관 비디오로 추천되었다. 그리고 연관 비디오의 네트워크 분석 결과, K-pop 뮤직비디오의 네트워크가 강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연관 비디오의 네트워크 분석에서 BTS의 뮤직비디오가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K-pop간의 네트워크가 강하기 때문에 K-pop을 검색 쿼리로 입력해서 비디오를 시청할 때는 연속적으로 K-pop을 즐길 수 있지만, 반대로 다른 장르의 비디오를 시청할 때는 K-pop이 연관 비디오로 추천되지 못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Art 퍼포먼스' K-POP과 현대무용의 안무 디자인 상관관계 연구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Art Performance' K-pop and choreography design in Modern Dance)

  • 김태랑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255-256
    • /
    • 2019
  • 가장 큰 예술 대중매체인 k-pop은 다양한 안무 퍼포먼스를 필두로 대중에게 새로운 경험과 색다른 소통을 하게 도와줄 책임이 있다. 현대무용과의 결합을 통해 k-pop은 예술적 형태의 'Art 퍼포먼스'라고 불리 우며, 무용은 k-pop의 대중적 성질을 가지고 거리의 장벽이 낮아졌다. 이것을 변화되는 안무 디자인의 새로운 '문화 트렌드', '대중화 코드'로 인식하여야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