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RS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29초

포항시 장길리 해역에 설치된 뿔삼각형어초에 서식하는 저서동물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군집변화 분석 (Studies on Temporal Variabilities of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Organisms on Horn Triangle Artificial Reefs along the Jangkil-ri Coast of Pohang, South Korea)

  • 이지현;김완기;손용수;박기열;윤종국;이채성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4-109
    • /
    • 2016
  • 정부는 해양환경복원과 수산자원을 회복하기 위해 1971년부터 2014년까지 약 44년 동안 222,627ha의 인공어초어장을 조성하였다. 그러나 인공어초 설치사업은 증가되고 있는 반면 아직까지 설치된 어초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항시 장길리 해역에 설치된 뿔삼각형어초에 부착 서식하는 저서동물의 시간적 군집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2003년 포항시 장길리 해역 수심 5~7m에 설치된 뿔삼각형어초를 대상으로 2009년 2월부터 2011년 8월까지 총 4회에 걸쳐 어초에 부착된 저서동물의 군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점하는 분류군은 연체동물이고 우점종은 바다방석고둥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현종들은 대부분 시공간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시설해역과 목적하는 종의 특성에 적합한 인공어초 개발 연구, 사후관리에 관한 이용, 관리제도 제정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인산 칼슘 근관 봉함재의 세포독성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the Cytotoxicity of Calcium Phosphate Root Canal Sealers)

  • 이지현;백승호;배광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8권4호
    • /
    • pp.295-30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인산 칼슘 근관 봉함재 [Apatite Root Sealer (ARS) Type I, II, III]의 세포독성을 혼합후의 시간 경과에 따라서 다른 4계열의 근관 봉함재 (Pulp Canal Sealer EWT, AH Plus, Sealapex, Ketac Endo)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근관 봉함재를 혼합한 후 1시간, 8시간, 24시간, 48시간, 1주, 2주,4주의 기간동안 배양액을 이용하여 추출액을 얻었다. L929 쥐섬유아세포를 24시간동안 각 시간군에서 얻은 추출액과 함께 배양한 후 dimethylthiazol diphenyltetrazolium (MTT) assay와 neutral red (NR) assay를 이용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ARS Type I, II, III는 전 시간군에 걸쳐 낮은 세포독성을 보였고 (23.65-0.55%) 특히 경화 초기에 다른 계열의 근관 봉함재보다 유의성 있게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ARS Type I, II, III간의 세포독성은 각 시간군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H Plus와 Ketac Endo는 초기에 높은 세포독성을 보였으나 AH Plus는 8시간 이후에, Ketac Endo는 24시간 이후에 독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ARS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ulp Canal Sealer EWT와 Sealapex는 4주까지 지속적인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MTT assay와 NR assay를 이용하여 얻은 각 근관봉함재의 세포독성은 시간 경과에 따라서 비슷한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인산 칼슘 근관 봉함재는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재료로써 앞으로 지속적인 개발과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부산연안의 인공어초 시설 현황과 유효공용적 평가 (Estimation of Efficient Use of Volume and Facility Volume Distribution of Artificial Reefs deployed in the Busan Sea Region)

  • 김호상;이정우;원승환;김종렬;윤한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55-263
    • /
    • 2009
  • 본 연구는 부산연안에 기 시설된 인공어초에 대해서 현재 시설현황을 분석하고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된 단위어초의 유효공용적율 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획득되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부산연안의 연도별 인공어초시설 추이를 살펴본 결과, 단위어초수와 시설면적은 1997년부터 2004년까지 큰 폭의 변동 경향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시설물량에서는 2003년이후 급격하게 감소된 결과를 나타내었는데 강제어초 및 세라믹어초 등 다양한 어초가 사용됨에 따라서 나타난 패턴이라 할 수 있다. 기장군 해역에 시설되어 있는 어초는 2,777개로 89%의 확인율을, 해운대 남구해역은 7,691개로 어초 확인율은 84.9%, 사하 강서해역에의 확인량은 사각형어초의 경우 905개로서 96%, 그 외 어초는 모두 100%이었다. 부산연안에 시설된 인공어초의 경우 그 보존상태가 약 85%이상으로서 매우 양호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해저 지반조건에 따라서 다소 침하, 이탈, 망실 등 약 15%의 손실이 발생하였다.

  • PDF

Disposable Nitrate-Selective Optical Sensor Based on Fluorescent Dye

  • Kim, Gi-Young;Sudduth, Kenneth A.;Grant, Sheila A.;Kitchen, Newell R.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7권3호
    • /
    • pp.209-213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simple, disposable thin-film optical nitrate sensor. Methods: The sensor was fabricated by applying a nitrate-selective polymer membrane on the surface of a thin polyester film. The membrane was composed of polyvinylchloride (PVC), plasticizer, fluorescent dye, and nitrate-selective ionophor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sensor increased on contact with a nitrate solution. The fluorescence response of the optical nitrate sensor was measured with a commercial fluorospectrometer. Results: The optical sensor exhibited linear response over four concentration decades. Conclusions: Nitrate ion concentrations in plant nutrient solutions can be determined by direct optical measurements without any conditioning before measurements.

관개방제의 효력예측을 위한 시뮬레이션 (Simulation of Chemigation Efficacy)

  • 구영모;해롤드썸너;래리챈들러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1권1호
    • /
    • pp.10-20
    • /
    • 1996
  • 관개방제 기술의 변수 및 효력예측을 위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유화/산화액적의 부착율, 유충의 추계적 난보운동 및 무작위 농약흡수 이론을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밤나방 유충, Spodaptera frugiperda (J.E. Smith) (Lepidoptera : Noctuidae)을 이용한 방제효력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론치와 실험치는 서로 일치되었다. 방제율은 농약유효성분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크로포(chlorpyrifos) 약제의 표준 권고량인 670g[AI]/ha에서 완전방제가 예상되었다. 유화액적(emulsion)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산화액적(dispersion) 보다 작물잎 표면에 부착이 어려워 낮은 방제율을 나타내었다. 액적직경이 방제효력에 미치는 영향은 목화작물에 대하여 낮은 약제량에서 뚜렷하게 나타났고, 그 영향은 약제량이 증가할수록 목화 및 옥수수 모두에서 저하되었다. 엽형계수는 작물의 엽상구조에 따른 액적의 부착 및 계류에 미치는 영향을 의미한다. 고찰된 관계방제기술의 영향요소에 대한 이해는 농약사용의 감소 및 효력의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PDF

Empirical Relations of Nutrients, N : P Ratios, and Chlorophyll in the Drinking Water Supplying Dam and Agricultural Reservoirs

  • Lee, Sang-Jae;An, Kwang-Guk
    • 생태와환경
    • /
    • 제41권4호
    • /
    • pp.512-518
    • /
    • 2008
  •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rophic conditions, N : P ratios, and empirical relations of chlorophyll (CHL) systematically using TN, TP, and CHL values in agricultural reservoirs and drinking water supplying dams. During the study, nutrients and CHL varied depending on seasonal conditions and types of the reservoirs, but most reservoirs were diagnozed as eutrophic to hypertrophic. Mass ratios of TN : TP averaged 93.1 (range: $0.68{\sim}1342$) and about 96.6 % of the total observations (n=516) was > 17 in the N : P ratios. This result suggests that P was a potential factor limiting algal growth in the entire reservoir. Thus, TN : TP ratios were a function of phosphorus rather than nitrogen. Regression analysis of log-transformed N : P ratios against TP in DWDRs and ARs showed that ratios were linearly declined with an increase of TP ($R^2$>0.66; p<0.001). Seasonal mean CHL was minimum ($4.3{\mu}g\;L^{-1}$, range: $0.1{\sim}39.7{\mu}g\;L^{-1}$) in premonsoon, and was similar between the monsoon and postmonsoon. In contrast, one of the tremendous features was that values of CHL was greater in the ARs than DWDRs. Thus,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in CHL were similar to those of TP but not TN. Empirical models of CHL-TP showed that CHL variation could explain average 15.3% and 11.3% in DWDRs and ARs, respectively. Seasonal analysis of empirical models showed that CHL-TP relations were stronger in postmonsoon than those of premonsoon and mons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