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uvenile Idiopathic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7초

Systematic review: agreement between the latent tuberculosis screening tests among patients with rheumatic diseases

  • Pyo, Junhee;Cho, Soo-Kyung;Kim, Dam;Sung, Yoon-Kyoung
    •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 /
    • 제33권6호
    • /
    • pp.1241-1251
    • /
    • 2018
  • Background/Aims: To estimate the level of agreement and positivity rates of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LTBI) tests prior to the use of tumor necrosis factor (TNF) inhibitors in relation to underlying rheumatic diseases and endemic tuberculosis levels. Methods: The Ovid-Medline, Embase, and Cochrane Libraries were searched for articles before October 2013 involving LTBI screening in rheumatic patients, including rheumatoid arthritis (RA), ankylosing spondylitis (AS),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JIA), and psoriatic arthritis. Results: In pooled analyses, 5,224 rheumatic patients had undergone both a tuberculin skin test (TST) and an interferon-gamma release assay (IGRA) before TNF inhibitors use. The positivity of TST, QuantiFERON-TB Gold In Tube (QFT-GIT), and T-SPOT.TB (T-SPOT) tests were estimated to be 29%, 17%, and 18%, respectively. The agreement percentage between the TST and QFT-GIT, and between the TST and T-SPOT were 73% and 75%. Populations from low-to-moderate endemic TB presented with slightly less agreement (71% between TST and QFT-GIT, and 74% between TST and T-SPOT) than patients from high endemic countries (73% between TST and QFT-GIT, and 81% between TST and T-SPOT). By underlying disease stratification, a lower level of agreement between TST and QFT-GIT was found among AS (64%) than among JIA (77%) and RA patients (73%). Conclusions: We reaffirm the current evidence for accuracy of LTBI test done by TST and IGRA among rheumatic patients is inconsistent. Our stratified analysis suggests different screening strategies might be needed in clinical settings considering the endemic status in the patient's country of origin and the precise nature of underlying diseases.

Effect of 2-6 weeks of systemic steroids on bone mineral density in children

  • Kuniyil, Athira;Pal, Somdipa;Sachdev, Namrita;Yadav, Tribhuvan Pa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5권5호
    • /
    • pp.254-261
    • /
    • 2022
  • Background: The use of systemic steroids for 6+ weeks in children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bone mineral content (BMC) and density (BMD). However, the effects of a shorter duration of use on BMD are unknown. Purpose: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use of systemic steroids for 2-6 weeks on BMD and BMC in pediatric patients. Methods: Twenty-five pediatric patients (21 with tuberculosis, 2 with systemic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1 with inflammatory bowel disease, 1 with autoimmune hemolytic anemia) who received systemic steroids for 2-6 weeks and 25 age- and sex-matched controls were enrolled. BMC, BMD, and z scores of the whole body (WB), lumbar spine (LS), nondominant distal radius (DR), and total body less the head (TBLH) were determin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at baseline, the end of steroid therapy or 6 weeks (whichever was earlier; first follow-up), and at the end of 3 months from baseline (second follow-up) in patients and at baseline in controls. The values were adjusted for confounding variables. Continuous and categorical variables were compared using Student t test and the chi-square test or Fisher exact test, respectively. Pairwise comparisons employed Bonferroni correction.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s in BMC, BMD, and all z scores were observed. BMC declined by 5.37%, 2.08%, 1.82%, and 2.27%, and 11.42%, 3.75%, 3.34%, and 4.17% for WB, LS, DR, and TBLH, respectively, at the first and second follow-ups, respectively. Similarly, BMD declined by 2.01%, 2.31%, 2.18%, and 1.70% and 4.59%, 3.76%, 3.14%, and 3.50% for the WB, LS, DR, and TBLH, respectively, at the first and second follow-ups, respectively.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bone densitometric parameters, duration, and cumulative dose. Conclusion: The use of systemic steroids for 2-6 weeks in pediatric patients decreased the BMD and BMC of trabecular and cortical bones, an effect that persisted after discontinuation.

소아기 피부근염의 임상적 고찰; 진단시 임상증상을 중심으로 한 고찰 (A clinical analysis of juvenile dermatomyositis; focus on clinical manifestations at diagnosis)

  • 이소영;방지석;김희석;김중곤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1호
    • /
    • pp.1116-1124
    • /
    • 2007
  • 목 적 : 소아기 피부근염은 피부와 근육을 침범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비교적 드문 질환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산발적인 증례 보고는 있어 왔으나 종합적인 분석은 두가지의 보고가 있을 뿐이다. 이에 저자들은 진단 당시에 소아기 피부근염 환자들의 임상적 증상 및 검사 소견을 분석하였다. 방 법 : 1985년 1월부터 2007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 면역 질환 분과에서 소아기 피부근염으로 진단받거나 타병원에서 진단 후 전원된 환아 47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령 및 성병분포, 초기 임상 증상, 증상 발현으로부터 진단까지의 시간, 혈청근효소, 자가항체, 근전도, 근생검, 자기공명영상, 합병증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들은 모두 47명으로 남자가 25명 여자가 22명으로 남녀 비율은 1.14:1이었다. 진단 당시 연령은 $6.51{\pm}0.88$세(1.5-13.25세)였다. 피부 발진은 모든 환아에서 나타났으나 3례의 환아에서는 진단 후 발생하였고, 얼굴 발진이 가장 많았다. 진단 당시 근쇠약감은 44례의 환아에서 나타났으며, 2례는 진단 후 나타났다. 근위부 근쇠약감은 계단을 잘 오르지 못하는 것이 가장 흔한 증상이었다. 질병 활성도는 평균 10.8점(3-17점)이었으며, 근쇠약감은 평균 4.91점(0-9점), 피부 병변은 평균 5.89점(0-9점)이었다. 피부와 근육의 증상 이외의 증상은 43%에서 관찰되었고, 석회증이 30%, 관절 구축이 21%, 흡인성 폐렴이 13 %로 관찰되었다. 석회증이 발생한 환아 중 47%는 진단 당시부터 관찰되었고 석회증이 발생한 위치는 골반과 둔부가 50%에 해당하였다. 혈청 근효소의 상승은 LDH가 96%, AST가 80%였다. 자가 항체 중 항핵항체가 59%로 가장 많은 양성을 나타내었으며, 이중 반점 모양이 58%에서 관찰되었다. 근전도는 88%에서 근염에 합당한 소견을 보였고, 근생검은 91%에서 피부근염에 합당한 소견을 보였다. 자기공명영상은 9례에서 시행되었고 모두 T2 강조 영상에서 고신호 강도 변화를 보여 근염에 합당하였다. 결 론 : 소아기 피부근염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진단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얼굴 발진, Gottron 발진, heliotrope 발진과 같은 피부 발진과 상하지 근위부 근육의 쇠약감과 같은 임상증상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간질 환아에서 Lamotrigine 초기 단독 요법의 효능 및 안정성에 대한 연구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of lamotrigine monotherapy in newly diagnosed pediatric patients with epilepsy)

  • 한지혜;오정은;김선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4호
    • /
    • pp.565-570
    • /
    • 2010
  • 목 적: LTG의 국외에서의 임상 연구는 다양한 발작과 간질증후군에 단일 또는 보조요법으로서 넓은 범위의 작용을 한다고 보고되었다.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소아연령에서의 LTG 초기 단일요법에 대한 연구보고가 거의 없다. 이에 저자들은 단일 병원의 전향적 자료 분석을 통한 소아 간질 환자에서의 단일 LTG 약물요법의 효용성과 안정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2년 9월부터 2009년 6월까지 간질약 복용 병력이 없이 간질로진단 받고 LTG을 복약하였던 소아 환자 148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통해 효용성과 안정성을 연구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 중 초기 단일 요법으로 LTG을 복용 후 최소 6개월간 외래 추적 관찰했을 때 발작이 전혀 없었던 환아(완전 관해군)는 87명(78.4%, n=111)이었고 발작 감소를 보인 환아(부분 관해군)는 13명(11.7%), 발작이 이전과 같은 빈도이거나 오히려 악화된 경우(발작 지속군)는 11명(9.9%)이었고 부작용인 피부발진과 틱 장애로 LTG복약을 중지해야만 했던 환아가 8명이었다. 발작의 유형에 따른 치료 결과는 완전 관해군을 기준으로 할 때 부분 간질에서 전신간질보다 발작 완해률이 81.6% vs 44.8 %로 더 높았다(${\kappa}^2$=26.75, $P$<0.05). 발작 유형별로는 각각 CPS가 41명(75.9%, n=54), BRE가 30명(90.9%, n=33) absence seizure가 3명(30.0%, n=10) JME가 5명(35.7%, n=14), IGE가 5명(100.0%, n=5)으로 완전 관해 되었고 IGE와 BRE에서 완전 관해률이 각각 100.0%, 90.9%로 높았다. 투약 기간 중 부작용이 관찰된 환아는 모두 17명(14.3%, n=119)이었다. 피부 발진이 11명, 틱 장애가 3명, 간염이 1명, 결막염이 1명, 졸림이 1명에서 관찰되었고 피부 발진이 생긴 환아 11명 중 7명은 발진이 심하여, 1명은 틱 증상이 심하여 투약을 중지하였다. Stevens-Johonson 증후군 같은 심각한 부작용이 생겼던 환아는 없었다. 결 론: 본 연구 결과 LTG 초기 단일요법의 효용성은 국외 보고와 비교하여 우수하거나 큰 차이가 없었으며, 위중한 부작용 사례는 없었다. 소아 간질 환자, 특히 양성 로란딕 간질 환자와 특발성 전신발작 환자에서 LTG의 초기 단일 요법 치료에 매우 우수한 것으로 사료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