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Separation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2초

취업모의 분리불안, 직업만족도 및 과보호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분리불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rking Mothers' Separation Anxiety, Job Satisfaction, and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on Preschoolers' Separation Anxiety)

  • 류정민;신나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0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working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of working mothers' separation anxiety and job satisfaction on preschoolers' separation anxiety. Methods: A total of 251 working mothers with preschool-age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Mothers completed a questionnaire concerning their separation anxiety, job satisfaction,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and preschoolers' separation anxiety.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s, partial correlations and path analysis. Results: In terms of direct effects, working mothers' separation anxiety had a 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separation anxiety. However, job satisfaction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separation anxiety. With respect to indirect effects, working mothers' separation anxiety indirectly influenced preschoolers' separation anxiety through their overprotective parenting behavior. However, mothers' job satisfaction did not have an indirect effect on preschoolers' separation anxiety. Conclusion/Implications: Findings from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ducing mothers' separation anxiety in order to prevent preschoolers' separation anxiety.

방사선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Radiologists'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of Separation)

  • 여진동;고인호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1-12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the job satisfaction and separation intent of radiologists from secondary medical institutes, providing basic information needed to earlier prevent radiologists' separation, improve their quality and effectively manage them. 1. The subjects' job satisfaction was 2.32 points in mean score, which was below the average. 2. Concerning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among the subjects in accordance with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radiologis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m in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age and position. 3. The surveyed radiologists' intent of separation was 2.89 points in mean score, which was not significantly high. 4. Concerning difference in the intent of separation among the participants in accordance with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radiologis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m in the intent of separation according to their age, marital status, position and average monthly income. 5.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ubjects' job satisfaction and intent of separa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radiologists are in job satisfaction, the lower they are in the intent of separation.

구직률과 이직률을 활용한 자연실업률의 추정 (A New Estimate for the Natural Rate of Unemployment based on Job Finding and Separation Rates)

  • 권규백;김형석;이윤수
    • 노동경제논집
    • /
    • 제38권2호
    • /
    • pp.1-24
    • /
    • 2015
  • 본고에서는 구직률과 이직률을 이용해서 한국의 자연실업률을 추정하였다. 추정 결과, 한국은 IMF 경제위기 이후 구직률과 이직률이 모두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자연실업률의 추세가 상승했다고 결론을 내릴 수는 없었다. 칼만필터 추정법에 의한 구직률, 이직률, 자연실업률의 추세 간의 관계를 볼 때, '일자리창출(Job Creation)'과 '일자리 파괴(Job Destruction)'가 동반 상승했음을 추론할 수 있다.

  • PDF

외식산업 조리종사자의 직무만족과 이직성향에 대한 실태분석 (The Condition Analysis about Job Satisfaction and Separation Propensity of Foodservice Industry Culinary Employee′s)

  • 이선호;김선희;김민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7-53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efficient control plan for productivity increase. To analyze the data, the measure of question a paper was used to 5 a point measure, statistics disposition was used to SPSS, the analyze method was used to frequency analyze, trust degree analyze, difference analyze useful average value, person's correlation analyze, revolution analyz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explained as follow: First, find out high change separation propensity. Secondly, was subjected important for atmosphere composition and was required strategy consideration for stable job recognition. Third, was operated affirmative to recognition about separation and was increased to job satisfaction according as a colleague relation and team work. Fourth, was increased to comparative separation propensity in case that high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required interesting labor item and treatment development about personal evaluation.

  • PDF

방사선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Relations between Radiologists' Job Stress and Intent of Separation)

  • 여진동;김혜숙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35-5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 between the job stress of radiologists, who are serving at secondary medical institutions, and their intent of separation, providing basic information necessary to earlier prevent the separation, improve the quality of radiologists and ensure a more effective personnel management of the professionals.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conduc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of 221 radiologists from Nov 1 to 30, 2010 who were serving at secondary medical institutions located in Busan.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urveyed radiologists were scored 2.82 points in average in terms of job stress. This indicates that they are suffering from job stress higher than moderate. 2) Th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job stress according to their age, total service period, department where they were serving, satisfaction with their hospital and satisfaction with the foresaid department. 3) The subjects were scored 2.59 points in average in terms of the intent of separation. This indicates that the surveyed radiologists are not so willing to change their job. 4) Those radiologis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intent of separation according to thei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average monthly income, total service period, the period of service at a department where they belonged now, position, satisfaction with their hospital and satisfaction with the foresaid department. 5)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ubjects' job stress and intent of separation.

이직사유별 일자리 이행경로 및 결정요인 분석 (Job Transition Process by Reasons of Job Separation and Its Determining Factors)

  • 윤윤규
    • 노동경제논집
    • /
    • 제33권2호
    • /
    • pp.91-134
    • /
    • 2010
  • 본 연구는 고용보험 DB(2000~2007)를 사용하여 이직사유별로 일자리 이행 경로 및 성과를 비교하고, 미취업탈출 및 취업탈출 확률의 결정요인에 대한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자발적 이직의 경우 자발적 이직에 비해 새로운 일자리에서 일자리 기간이 크게 감소하고 실질임금 증가율도 매우 낮다. 이러한 일자리 이행성과의 차이는 체계적인 직장탐색 부족에 따른 우수한 일자리 매칭 확보의 어려움, 노동시장에서의 부정적 신호효과, 이전 일자리에서 축적된 인적자본의 활용 가능성 저하 등 비자발적 이직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업급여 수급 여부는 미취업탈출 확률을 줄이는 효과를 가지지만 동시에 실업급여 수급 후 진입한 새로운 일자리에서는 취업탈출 확률을 낮추는 긍정적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고령화연구조사(KLoSA) 패널을 활용한 중고령 자영업자의 일자리 이탈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Job Separation by Middle and Old aged Self-Employed using KLoSA Panel)

  • 최화영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1호
    • /
    • pp.119-138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중고령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일자리 이탈 시점 및 일자리 이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고령화연구조사(KLoSA) 2006년 1차 조사대상자 중 자영업 시작 시기가 40세 이상인 684명을 대상으로 2014년 5차 조사 시기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콕스비례위험모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5년 자영업을 운영하던 중고령 자영업자의 일자리 지속기간은 평균 15.5년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684명 중 214명(31.3%)의 자영업자가 조사기간 내에 일자리를 이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개인적 특성에서 성별, 창업 시 연령, 교육수준이 중고령 자영업자의 일자리 이탈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일 때, 창업 시 연령이 많을 때, 대학 이상의 학력일 때 자영업 이탈에 대한 위험이 증가하였다. 셋째, 자영업 특성에서 업종과 직무만족이 중고령 자영업자의 일자리 이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어업보다 숙박 및 음식업에 종사할 경우, 자영업에 만족하는 정도가 낮을수록 자영업 이탈에 대한 위험이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여성 중고령 자영업자와 60대 이후에 자영업을 시작하는 고령 창업자에 대한 지원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진입장벽이 낮은 업종에서 창업하기보다 자신의 적성 및 경력을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로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노동환경에서 직무만족을 증진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고학력 자영업자에게는 자영업에 의한 다양한 보상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노동조합이 고용안정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프로빗-로짓의 Oaxaca 비선형분해 - (Study on the Effect of Labor Unions on Job Stability - Oaxaca Non-linear Decomposition of Probit-Logit -)

  • 조동훈;조준모
    • 노동경제논집
    • /
    • 제30권3호
    • /
    • pp.43-75
    • /
    • 2007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을 사용하여 2002~2005년 3년 동안 직장이직률 추세와 이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 가운데 노동조합의 역할을 중심으로 실증분석하였다. 기초통계량에 있어서는 노동조합에 가입된 근로자의 직장 유지율이 노조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근로자보다 평균 28.3%포인트 높게 나타났으나, 직장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관측되는 변수를 통제한 결과에서는 노동조합이 직장유지율을 11~13%포인트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노동조합이 근로자의 고용안정에 미치는 효과를 세부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Fairlie(2003)가 개발한 비선형분해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비선형분해(Non-linear decomposition) 방법을 사용하여 노조-비노조 간 직장이 직률의 차이를 근로자의 관측되는 변수에 의해 설명되는 부분과 설명되지 못하는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볼 때 설명되는 부분의 기여도가 67~74%로서 추정되고 설명되지 못하는 부분이 나머지 26~33%를 차지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노동조합이 조합원들의 고용안정에 기여한 부분 외에도 노조에 가입된 근로자의 직장이직 성향이 노조에 가입되지 않거나 노조가 조직되어 있지 않은 사업장에 종사하는 근로자보다 평균적으로 낮음을 시사한다. 실증분석 결과는 노동조합의 고용안정 효과는 최대 7~9%포인트 경계 안에서 한정됨을 시사한다. 노동조합의 고용안정에 미치는 효과가 이처럼 작은 원인은 기업별 단체교섭구조, 외환위기 이후 기업경쟁의 심화, 기업규모별 노동시장 분절화 등 다양한 원인을 추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 PDF

중소기업 취업자의 직장선택과 이동 그리고 임금 수준 분석 (Job Selection, Separation, and Wage Level of SME Workers: based on a Follow-up Survey on Recent College Graduates)

  • 박재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9호
    • /
    • pp.387-398
    • /
    • 2010
  • 최근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은 심각한 수준의 인력부족현상을 경험하고 있다. 많은 선행연구는 이것이 중소기업의 열악한 근무 환경과 낮은 임금 그리고 이에 따른 졸업생의 중소기업 기피에 주로 기인한다고 보았다. 반면 중소기업 취업자가 노동시장에서 차별을 경험하기 때문이라는 노동시장분절 시각에서 접근 되기도 하다. 특히 이 같은 차별이 하향취업과 비전공 취업으로 연계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빈번한 이직이나 안정적이지 못한 일자리로 이어짐으로써 장기적으로는 효과적인 경력축적을 저해하게 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그 동안 대부분의 연구는 주로 대학 졸업생의 미취업 탈출에 초점을 둔 반면, 이들의 초기 직업력에 대한 연구는 대단히 적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졸업생의 직업력에 대한 추적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 취업자의 이직 경로를 분석하고, 노동시장 진입 과정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대학 졸업생의 중소기업 경력은 더 많은 그리고 더 장기간의 교량적 일자리를 경험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과 고용불안정을 수반하며, 이 같은 직장이동이 긍정적인 노동시장성과를 동반하지 못하는 등 노동시장에서 인적 자본이나 교육의 질로써 설명되지 못하는 '중소기업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양종결 이후 산재근로자의 취업기간 분석 (An Analysis on the Employment Duration of the Workers Injured in Industrial Accidents)

  • 이승렬
    • 노동경제논집
    • /
    • 제27권3호
    • /
    • pp.25-52
    • /
    • 2004
  • 1998~2000년에 신규로 장해등급이 판정된 남성 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하여 산재보상 수급자 데이터베이스와 고용보험 피보험자 데이터베이스를 결합함으로써 취업력(labor history)을 재구성하였다. 이 자료에 기초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먼저 원직장복귀가 산재근로자의 주요한 직장복귀 경로이며 고용유지에도 유효하였던 반면, 요양종결 이후의 취업자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이직률을 보였다. 그리고 직장복귀자의 약 6할은 이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자 가운데 77%는 이전 직장의 취업기간이 1년 미만이었다. 한편 다중위험모형을 이용한 취업기간 분석에서 사업장 규모가 작을수록 그리고 비자발적 이직의 경우에는 직업탐색기간이 길수록 산재근로자의 취업기간이 짧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요양종결 이후의 첫 직장에서 일자리를 유지하는 기간이 길수록 이후의 취업과 고용유지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