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Competence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25초

SW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속가능성과 개방형 관점에서의 산업클러스터 사례 비교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the Industrial Cluster Cases for Job Creation from the Viewpoint of Sustainability and Open Innovation)

  • 임규건;이지윤;최진호
    • 경영과학
    • /
    • 제34권2호
    • /
    • pp.85-101
    • /
    • 2017
  • Currently, the SW industry is the center of digital economy and it is very important industry in terms of market scale and ripple effect. Due to the suffering from poor working environment of the SW industry and the disproportion of manpower supply due to the lack of experienced SW manpower, it is hard to create jobs of high quality for the SW professionals who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vergence industries. In this study, we try to analyze the benchmarking cases of successful foreign industrial innovative clusters in order to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direction of SW industry and to create high quality SW jobs. First, the comparison criteria are derived from the viewpoint of creation of high quality SW jobs through an analysis of SW environment by using expert FGI (Focus Group Interview) technique.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CSFs) are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each industrial cluster cases in terms of SW job creation. This article presents the desirable implications of the cluster of SW industry that can generate SW jobs continuously from the viewpoint of ecosystem environment infrastructure.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 a meaningful direction of SW clusters for job creation, and solve the business inconsistency and suggest ways to increase the sustainability of core competence manpower.

소방공무원 회복탄력성에 대한 연구: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직무만족 간 영향관계에서의 조절효과 분석 (A Study on the Resilience of Fire-fighters: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Job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 이재무;김전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690-701
    • /
    • 2021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가 부정적 직무요인인 직무소진, 긍정적 직무요인인 직무만족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이들의 영향관계 속에서 회복탄력성이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함으로써 소방공무원의 관리 전략 기획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은 239명의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회귀분석 함으로써 이루어졌으며, 조절효과는 상호작용항을 산출, 적용하는 방식으로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은 낮은 수준, 직무만족은 보통 수준, 회복탄력성은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회복탄력성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소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수준에서 정적(+) 영향력을, 직무만족에 대해서는 부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울러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간 영향관계에서 충동통제력과 원인분석력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 영향관계에서 충동통제력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소방공무원 실정에 적합한 다양한 회복탄력성 프로그램의 선제적 적용, 감성역량 제고, 자기성찰을 돕는 코칭 인력 도입 등을 제안하였다.

병원영양사의 직무만족요인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of the Dietitians Working in Hospitals)

  • 이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6호
    • /
    • pp.651-660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nd analyze the degrees and the influenc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of dietitians working in hospitals in relation to performance of duty in their works and to provide effective management of hospital dietitians for high quality health and food service in hospital. The questionaire was prepared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studies on job satisfaction of dietitians working in hospitals throughout the nation. 201 dietitians in the country were surveyed. The period of research was from January 20 to February 28, 1995.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regard to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dietitians, they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s with fellow dietitians followed by worth and self-confidence, aptitude and interests, relationships with cooks, job stability,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dietitians competence, supervision of the superiors, degree of application of professional knowledge, work load, wage level,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duty,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load, wage level,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duty,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doctors, degree of performance of clinical work, the number of dietitians, the prromotion system, and welfare system in that order. On the other hand, they showed the highest dissatisfaction with food service facilities. 2) The influence factors on job satisfaction are as follows. (1) Wage factor : Shorter weekday working hours and higher bonuses make greaster job satisfaction (R2=0.3115). (2) Working condition factor : Larger number of monthly holidays(R2=0.5142), shorter weekday working hours(R2=0.1077), longer previous food service experience and computer utilization (R2=0.1432) make greater job satisfaction. (3) Welfare factor : Welfare system (R2=0.4132) and promotion system (R2=0.1624) have to do with computer utilization. Job stability has to do with marital status and computer utilization (R2=0.1165). consequently, those married dietitians who use computers show higher job satisfaction. (4) Human relationship factor : Smaller mumber of patients receiving food makes greater job satisfaction (R2=0.1334). (5) Superivision factor : Shorter weekday working hours and larger number of monthly holidays make greater job satisfaction (R2=0.1709). (6) Achievement factor : Marriage, larger number of dietitians(R2=9.2293), age, larger number of monthly holiday, higher monthly wages and computer utiliazation (R2=0.1088) make greater job satisfaction. (7) Speciality factor : Marriage, longer current hospital tenure, higher position and working in seoul(R2=0.1142) make higher job satisfaction. (8) Job inclination factor :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rather than in oriental hispitals, working in seoul(R2=0.1776) and better bonuses(R2=0.1078)make greater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is suggested for the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dietitions on the basis of this study : hospital dietitians can achieve miximum job satisfaction through smooth relationships with coworkers, and the responsible managers should improve welfare and working conditions for the job satisfaction of hospital dietitians.

  • PDF

대학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의사소통능력, 회복탄력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Resilience on Nursing Performance in University Hospital Nurses)

  • 박정화;정수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36-244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의사소통능력, 회복탄력성과 간호업무성과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경기도 및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2개의 대학병원 간호사 250명을 대상으로 2016년 2월 한 달 동안 자가보고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최종 분석에는 216부의 설문지가 포함되었으며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단계별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 중 여가활동 빈도에 따라 대학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F=3.679, p=.003), 회복탄력성(F=7.909, p<.003), 간호업무성과(F=2.331, p=.044)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간호업무성과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수는 나이(r=.242, p<.001), 근속연수(r=.278, p<.001), 감정노동(r=.211, p=.002), 의사소통능력(r=.585, p<.001) 및 회복탄력성(r=.431, p<.001)이었다. 다중 회귀분석결과,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의사소통능력(${\beta}=.581$, p<.001)과 근속연수(${\beta}=.268$, p<.001)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40.9%(F=75.356, p<.00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업무성과에 강력한 영향요인은 의사소통능력으로 나타나 간호사들의 간호업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병원 간호사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및 직무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간호사들의 여가활동을 통한 간호업무성과 향상을 위해 조직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과 기업가(Entrepreneur)의 정의의 통합모형: 직무관점 및 역량모델 관점의 적용 (A Conceptual Synthesis Model of the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 with Perspectives of Job and Competence Model)

  • 이춘우
    • 중소기업연구
    • /
    • 제41권1호
    • /
    • pp.97-129
    • /
    • 2019
  • 기업가정신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일반인들뿐만 아니라 많은 연구자들도 매우 혼란스러워 하면서, '통일된 정의가 없다'거나 '매우 다양하다' 또는 '모르겠다'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기업가정신을 정의하는데 마치 장님 코끼리 만지듯이 특정 측면을 강조하여 정의함으로써 매우 많은 다양한 정의들이 제시되어 기업가정신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혼란스러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기업가정신의 전체적인 개념적 모습을 알 수 있는 모델이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도 미흡한 상태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기업가정신 및 기업가를 '스스로를 고용(self-employment)하는 사람'으로도 정의하고 있음에 착안하여, 기업가를 자연인이 아니라 하나의 직무(경력/직업)로 보고, 선행연구문헌에서의 기업가정신과 기업가에 대한 정의들을 직무관점과 역량모델관점에서 분석적으로 재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기업가정신의 정의의 내용을 직무관점에서 담당자(주체)와 직무행동방식(동사), 직무내용(대상), 직무성과(결과/효과), 기타 측면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업가에 대한 정의들에 포함된 내용들을 역량모델관점에서 개인차원의 심리적 특질들과 '기업가가 수행하는 직무 측면 요인들로 나누고, Spencer and Spencer(1993)의 역량모델에 비추어 기업가직무역량모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직무관점과 역량모델관점을 토대로 선행 연구에서의 기업가정신의 정의와 기업가의 정의들을 재해석하고 체계화하여 앙트라프러뉴어십(기업가정신) 개념 전체를 조망하고 이해할 수 있는 개념적 통합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앙트라프러뉴어십 통합모형은 기업가정신에 대한 기존의 장님 코끼리 만지듯이 정의하고 논의했던 한계를 극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치위생전공 대학생들의 외모만족도, 자아효능감이 취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n Job-Seeking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me Dental Hygiene)

  • 지민경;이미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95-20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조절하고자 외모만족도, 자아효능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교육적 방향 구축과 심리적 자원을 탐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9년 11월 25일부터 12월 13일까지 충청·전라도 치위생학과에 재학 중인 연구에 동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편의추출하여 자기기입식 설문법을 작성하였다. 외모만족도는 자아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취업스트레스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자아효능감과 취업스트레스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취업스트레스의 영향요인은 자아효능감, 외모만족도, 전공만족도로 나타났다. 이에 치위생전공 대학생들의 취업역량 집중강화를 위해 올바른 미적 가치관에 기반한 긍정적인 외모 수용과 자아효능감 증진을 융합한 실제적인 상담프로그램이 고려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19 구급대원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powerment and the Job Satisfac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 한송이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7-63
    • /
    • 2010
  •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job-related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provide emergency patients with first ai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249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orking at fire stations in an area of Gyeonggi-do during the period from June 26 to August 21, 2009. Using SPSS 14.0 program, we obtained frequencie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and performed independent two sample t-test, one 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Results : 1) The mean score of the subjects' empowerment was 3.32, and that of their job satisfaction was 2.94. 2) As to differ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empowerment but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t = 2.296, p = .023). 3) As to difference according to job related characteristics, empower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license type(F = 3.767, p = .011), and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position(t = 3.222, p = .042), fire fighting experience(t = 2.689, p = .035), and first aid experience(t = 3.991, p = .007). 4) Empowerment was in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r = .502, p = .000) in general, and by the sub areas of job satisfaction, the correlation with empowerment was high in order of job itself(r = .695, p = .000), interaction area(r = .493, p = .000), organizational demand area(r = .328, p = .000), working condition area(r = .153, p = .015), and wage area(r = .137, p = .031). By the sub areas of empowerment, th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was high in order of significance(r = .424, p = .000), influence(r = .397, p = .000), competence(r = .372, p = .000), and self determination(r = .259, p = .000). Conclusion : Th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powerment was in a high correlation with their job satisfaction, and had a strong effect on it. This suggests that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performance can be enhanced by improving their empowerment.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seful in mak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plans to enhance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job satisfaction by empowering them.

  • PDF

전문건설업체 종사자의 업무수행수준 및 필요역량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Level and Competence Factors on Specialty Contractors' Employees)

  • 홍성호;정대운;오치돈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54-64
    • /
    • 2015
  • 최근 건설산업의 환경변화에 따라 전문건설업체 종사자의 업무수행능력 향상을 통한 업체 경쟁력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문건설업체 종사자의 능력향상에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교육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효과적인 교육, 나아가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직무별 경력별 업무수행수준 분석과 필요역량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문건설업체의 대표, 현장소장, 공사담당, 공무담당, 자재/노무담당, 안전담당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이들의 업무부담수준과 업무수행 능력수준비 등 업무수준을 분석하였으며, 직무별 필요역량요인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향후 전문건설업체 종사자의 직무별 경력별 특성을 반영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이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정도, 태도 및 요양업무 능숙도에 대한 융복합적 접근 (Convergence Approach about the Knowledg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Competence of Carers)

  • 박경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399-406
    • /
    • 2016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요양업무 능숙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장기요양시설에 종사하는 요양보호사 145명을 대상으로 2014년 6월부터 9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태도, 요양업무 능숙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방법은 서술통계, ANOVA, 독립 t-검정,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에 대한 지식수준, 태도와 요양업무 능숙도는 서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요양보호사에 대한 교육내용을 개발할 때 요양보호사의 낮은 지식수준을 고려하여 쉬운 교육내용과 다양한 교육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 개선을 통해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증진시켜 노인 요양서비스의 능숙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고위험 산모 신생아 통합치료센터(MFICU) 간호사의 교육 요구와 직무역량 인식조사 (A Survey on the Educational Needs and Competence of Nurses in Maternal Fetal Intensive Care Unit)

  • 김윤미;김증임;정금희;강희선;김미종;문소현;김미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4-206
    • /
    • 2019
  • Purpose: Maternal Fetal Intensive Care Unit (MFICU), which provides intensive care to high-risk mothers with increasing maternal age and high-risk newborns, has become a new field of nursing work in South Korea.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and self-assessing clinical competence of nurses in MFICU. Methods: The education needs and competencies of MFICU nurses were measured through prepared questionnaires by researcher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on job analysis of nurses in MFICU.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2019 to March 2019. The study involved 168 nurses working in MFICUs at 12 hospitals nationwide as study subjec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3.0 program. Results: The education needs of nurses in MFICU had an average of 4.21 points (${\pm}0.50$) and their nursing competence was average 3.38 points (${\pm}0.60$). The items reported as high education needs but low competency by nurses in MFICU were as following: 'postpartum hemorrhage and shock,'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for neonate,' 'CPR during pregnancy,'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sepsis,' and 'mechanical ventilation during pregnancy.'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roposed that a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in MFICU should be developed by considering low capabilities among MFICU nurses as a priority fa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