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i-yong

검색결과 7,902건 처리시간 0.04초

정지용의 월트 휘트먼 시 번역 작업의 목적: 일제 강점기와 해방 공간의 근본적 차이 (The Purpose of Walt Whitman's Poetry Translation by Chung Ji Young)

  • 정헌
    • 영미문화
    • /
    • 제18권2호
    • /
    • pp.79-104
    • /
    • 2018
  • Chung Ji Yong is a well-known poet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firstly as a lyrical and traditional poet as a member of the literary journal Simunhak(Poetry Literature) along with Park Yong Chul and Kim Young Rang and later as a prominent modernist poet in the late years of the Period. He is always highly estimated as a poet of pictorial images and lyricism, but his ardor for translations, especially Walt Whitman has been neglected so far. Before him, Ju Yohan, Yi Kwang Soo, Yi Un Sang, Kim Hyung Won and many other poets and critics had been interested in Whitman's democratic ideas and his poems. Chung Ji Young also translated Whitman's three poems in the hard days of 1930s. After the Imperial Japan surrendered to the Allied forces on 15 August 1945, ending 35 years of Japanese occupation, Korea was under the American forces and Russian troops. In this critical days of Korean's debating only one korea or separated Koreas, strangely enough, Chung ji Yong fully immersed in translating Whitman's poems only for four years as an English literature professor just before being abducted by North Korean Army, while almost discarding his own poetic ability and sense of duty as a leading poet in the literary circle with only just a few exceptions. Why did Chung Ji Yong focused on the translation of Whitman's poems in this important period as a poet and intellectual in the newly independent country? He may want to warn people too much ideological conflicts or at least express his frustration through translating Whitman's poems. Until now, academic endeavors on Chung Ji Yong's poems and life are focused on his lyrical and modernistic works of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naturally little interested in the days of Independence period and his true motivations on translating Whitman's poems. As a proposal, this short article can be a minor trigger for the sincere efforts of Chung Ji Yong's last days.

수학교육에서의 스토리텔링 방식 적용을 위한 소재 연구: 지수용육도와 지수귀문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finding topics for th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method in mathematics education: centered on JiSuYongYukDo and JiSuGuiMunDo)

  • 박교식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155-169
    • /
    • 2012
  • 본 연구는 최석정이 제시한 지수용육도와 지수귀문도의 수학사 탐구형 스토리텔링을 위한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다. 학생들은 최석정이 제시한 지수용육도와 지수귀문도의 해로부터, 기댓값을 마법수로 택했고, 서로 보수가 되는 두 수의 쌍을 이용했고, 다른 쌍의 배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독립된 네 쌍이 있고, 보수가 되는 두 수를 바꾸어 놓아도 역시 해가 된다는 특징을 탐구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학생들은 지수용육도의 해를 구하는 것은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6개의 수를 찾는 것으로, 그리고 지수귀문도의 해를 찾는 것은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11개의 수를 찾는 것으로 바꾸어 탐구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은 이 전략을 통해 많은 시행착오를 겪지 않아도 최석정 스타일의 해를 나름대로 다양하게 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중용질서(中庸疾書)』 연구(硏究) (A Study on SungHo Lee Yik(星湖 李瀷)'s ZhongYongJiShu(『中庸疾書』))

  • 서근식
    • 동양고전연구
    • /
    • 제54호
    • /
    • pp.77-102
    • /
    • 2014
  •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중용질서(中庸疾書)"를 중심으로 그의 생각을 살펴보겠다. 오직 '회의(懷疑)를 통한 자득(自得)'을 통해 "중용장구(中庸章句)"에서 말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 말한 것이 "중용질서(中庸疾書)"라고 한다. 성호(星湖)는 "후설(後說)"에서 복숭아의 비유를 든 것과 마찬가지로 '회의(懷疑)를 통한 자득(自得)'을 통해 얻은 것을 바탕으로 "중용질서(中庸疾書)"를 지은 것이다. 성호(星湖)의 "중용질서(中庸疾書)"에서는 분장체계(分章體系)를 달리한다. 2장(章)부터 11장(章)까지를 '공자중용(孔子中庸)' 즉, 경문(經文)으로 여기고 있다. 12장(章)부터 32장(章)까지는 경문(經文)을 설명하는 전문(傳文)으로 생각하였다. 1장(章)은 머리말이 되고, 33장(章)은 맺음말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주장되기 위해서는 1장(章)의 내용과 33장(章)의 내용이 왜 머리말과 맺음말이 되는가에 대해 명확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 성호(星湖)는 '중용(中庸)'이라는 책이름이 등장하게 된 이유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1장(章)의 의미를 살리자면 '중화(中和)'라고 해야 하지만 1장(章)의 공자중용(孔子中庸)의 머리말이므로 공자중용(孔子中庸)으로부터 "중용(中庸)"이라는 책이름을 따 왔다고 하고 있다. 성호(星湖)는 1장(章)과 20장(章)의 해석에서 성즉리(性卽理)를 따랐다. 성호(星湖)가 이렇듯 성(性)에 대한 규정을 하면서 성즉리(性卽理)라고 하는 성리학적(性理學的) 명제를 따른 것은 그의 "중용(中庸)"해석이 여전히 주자(朱子)에 매몰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성호(星湖)는 "중용(中庸)"은 성(誠)을 주로 하는 책이라고 하면서 "중용질서(中庸疾書)"에서 성(誠)을 다루었다. 성(誠)은 "중용(中庸)"의 후반부에 중용한 개념이므로 성호(星湖)도 "중용질서(中庸疾書)" 후반부를 성(誠)으로 집중시키고 있다. 그러나 성(誠)은 '공자중용(孔子中庸)' 에 비해 그렇게 주목받지 못한 개념이 되었고, 성호(星湖)의 주장에 따르면 전문(傳文)에 불과한 부분일 뿐이다.

전력선 통신의 결합 캐피시터의 전기적 특성 (Electronical Properties On Coupling Capacitor of PLC)

  • 김병호;이헌용;김지균;김유경;최용호;박귀남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530-1532
    • /
    • 2002
  • 전력선 통신 시스템을 간략히 살펴보면 송전단과 수전단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송전단은 전력을 송전하기 위한 설비와 신호를 싣고 분리하는 결합회로로 구성되며 수전단은 수전설비와 결합회로로 분리된다. 결합회로는 $BaTiO_3$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유전율 및 대용량의 캐패시터로 구성되었다. 이 캐패시터를 변압기 외부에 사용하므로, 직사광선에 의한 온도 변화가 생길 것이며 이 변화에 따라 캐패시턴스 값의 변화가 생길 것이므로 HPF로 사용할 때 캐패시턴스 값의 변화로 주파수에 영향을 줄 것이다. 주위온도에 따른 캐패시턴스의 변화가 HPF의 동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고자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전단의 10KV이하 배전 선로에 사용되는 Coupling Capacitor의 외부온도를 변화시켜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고찰함으로서, HPF로서의 사용될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 PDF

조지훈의 한용운 인식방법 비판 (Criticism on Cho Ji-hoon's Recognition of Han Yong-un)

  • 이선이
    • 비교문화연구
    • /
    • 제45권
    • /
    • pp.85-107
    • /
    • 2016
  • 조지훈은 해방 이후 한용운에 대한 인식을 주도적으로 생산한 논자이다. 그는 한용운을 민족시인으로, 그의 시를 저항적 민족시의 한 전형으로 평가함으로써 한용운에 대한 현재적 인식의 시각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는 조지훈이 남긴 세 편의 '한용운론'을 분석하면서, 한용운에 대한 조지훈의 인식이 어떻게 논리화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시인론과 작품론에 대한 인식을 분리하고, 각각의 인식이 조지훈의 역사인식 및 문학인식과 어떤 정합성을 갖는지에 대해 추적해 보았다. 그 결과, 조지훈이 한용운의 생애와 작품을 파악하는 인식의 근저에는 정신사로서의 세계인식이 전제되어 있었다는 점, 절대가치로 상정된 민족이 이질적인 차이들을 봉합하는 논리였다는 점, 민족정신과 시의 결합이 시인지사론(詩人志士論)과 민족시의 논리로 표출되었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그의 논리에는 인권과 민족주권의 결합, 민족과 선(禪)의 결합으로 인한 논리적 균열이 내재해 있으며, 시인의 사명에 대한 다른 가능성이 충분히 논리화되지 못한 채 미완인 채로 논의가 끝나버렸음을 밝혔다.

과도 해석 시뮬레이션을 위한 IGBT소자의 논리적인 모델링 (Analytical Modeling of the IGBT Device for Transient Analysis Simulation)

  • 서영수;장성철;김영춘;조문택;서수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3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 /
    • pp.148-150
    • /
    • 1993
  • The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s a power semiconductor device that has gained acceptance among power electronic circuit design engineers for motor drive and Power converter applications. The device-circuit interaction of power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for a series-inductor load, both with and without a snubber are, simulated. An analytical model for the transient operation of the IGBT is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load circuit state equations for the simula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