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Ji-Cheon

Search Result 1,21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ll}$소문(素問).천원기대론(天元紀大論)${\gg}$ 에 대한 연구(硏究)

  • 박경;금경수;김남수;육상원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02-116
    • /
    • 2000
  • In Cheon Won Gi Dae Ron(天元紀大論), Cheon(大) means Nature, Won(元) means sources, Gi(紀) is Gang Gi(綱紀) that means rules or regulations, so Cheon Won Gi(天元紀) means sources and rules of change that make Nature phenomenons. This volume treats of cause that weather change of Nature caused by, and its general rules, and presents fundamental notions and systems of measuring of 'Five elements' evolutions and Six kinds of natural factors(五運六氣)'. So named Cheon Won Gi Dae Ron(天元紀大論). This article of the research on the Cheon Won Gi Dae Ron(天元紀大論) can be divided into 3 chapters. Chapter 1 presents a theory that the principle of changes of creations' birth, groth and extinction is complished by sympathizing with Hyeong(形) of Ji(地) and Gi(氣) of Cheon(大) by rules of movement of O Un Yum Yang(五運陰陽). Chapter 2 presents theories that Tae Heo(太虛) makes Won Gi(元氣), and this Won Gi(元氣) makes the change of creations' birth, groth and extinction, and movement of O Un(五運) controls creation of nature. And treats of that 'excessive and short(太過不及)' that is made by a quality of Gi(氣) and ups and dons of Hyeong(形) controls weather of year. In Chapter 3, Cheon O Ji Yuk(天五地六) regard six and five as Yong(用). And A Cycle that movment that sympathizing with O Un(五運) and Yuk Gi(六氣) is Il Gi(一氣) as 30 years, and Il Ju(一周) as 60 years. And presents that O Un(五運) and Yuk Gi(六氣) that Gan Ji(干支) control.

  • PDF

금강 유역 호소에서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특성 분석 (Analyses of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in Reservoirs Located in the Geum River Watershed in South Korea)

  • 최용범;신윤근
    • 생태와환경
    • /
    • 제54권4호
    • /
    • pp.280-290
    • /
    • 2021
  • 본 연구는 금강 유역 호소들의 추계시기와 춘계시기의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 및 군집구조를 조사하고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2019년 9월과 11월, 2020년 4월과 5월에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초평지 7강 31속 49종, 송악지 6강 29속 51종, 청천지 7강 32속 49종, 예당지 6강 45속 82종, 간월호 6강 40속 70종이 출현하였으며, 총 7강 74속 143종이 출현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초평지 223~3,533 cells mL-1, 송악지 881~176,018 cells mL-1, 청천지 402~6,139 cells mL-1, 예당지 262~10,460 cells mL-1, 간월호 20,413~330,695 cells mL-1의 범위였다. 조사한 5개 호소 중 출현종수가 가장 높은 호소는 간월호였고 가장 낮은 호소는 초평지와 청천지였으며 식물플랑크톤 평균 현존량이 가장 높은 호소는 간월호였고 가장 낮은 호소는 초평지였다. 종다양성지수는 초평지 1.10~2.60, 송악지 0.56~2.03, 청천지 0.21~2.03, 예당지 0.65~2.57, 간월호 0.44~1.12의 범위였다. 풍부도지수는 초평지 1.91~4.99, 송악지 1.82~3.26, 청천지 1.26~4.17, 예당지 2.07~5.37, 간월호 1.90~2.43의 범위였다. 균등 도지수는 초평지 0.38~0.78, 송악지 0.18~0.69, 청천지 0.08~0.71, 예당지 0.22~0.72, 간월호 0.14~0.38 범위였다. 우점도지수는 초평지 0.40~0.83, 송악지 0.55~0.96, 청천지 0.44~0.99, 예당지 0.42~0.93, 간월호 0.89~0.97 범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