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ongjo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7초

정조시대 규장각의 교육적 의의 (The Study 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Kyujanggak(奎章閣))

  • 최두진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1호
    • /
    • pp.274-286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ducational functions of Kyujanggak(奎章閣) during King Jeongjo(正祖) and reflect its significance Kyujanggak was established by King Jeongjo in 1776. The main function of Kyujanggak was keeping and managing Eopil(御筆) and it continued to perform what Jiphyeonjeon(集賢殿) had done. Among the functions of Kyujanggak, there found several critical ones that today's educational institution needs to do: 1) library function including collecting, keeping, and utilizing books 2) education of elites like Chogyemoonsin(抄啓文臣) 3) writing and publishing to encourage writing customs(文風振作) 4) the classic-mat lectures(經筵) to facilitate King's learning. Across the ages and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education is the dynamic force and bulwark, Also, library is the treasure house and center of traditional culture. Especially, Kyujanggak has been estimated to perform the functions of both education and library successfull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actice of Kyujanggak reminds us that the educational mind and leadership of the top leader of nation is the primary and decisive factor in building a strong culture-nation.

전(傳) 정조대왕 초장지 출토 석물의 채석지에 대한 과학적 검토 (Scientific Examination of Quarries of the Stone Remains Excavated from the First Burial Site of King Jeongjo)

  • 이명성;안유빈;김지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3호
    • /
    • pp.196-212
    • /
    • 2023
  • 이 연구는 정조대왕 초장지에서 출토된 석물(박석과 난간석)의 암석광물학적 분석을 통해 채석산지를 해석하고 건릉 석물과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정조대왕 초장지에서 출토된 석물은 모두 담회색 세립질 흑운모화강암이고, 석영, 장석, 흑운모를 주성분광물로 함유한다. 이들의 전암대자율은 5.55~12.10(평균 7.00)(SI unit)에 분포한다. 고문헌에 채석산지는 앵봉과 여기산(수원시 고등동)으로 기록되었고, 지표 지질조사에서 앵봉(현 영광아파트) 뒤 노두에서 석물과 유사한 세립질 흑운모화강암을 확인하였다. 노두암석의 대자율은 5.15~7.24(SI unit)이고 암석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이 초장지 출토 석물 및 건릉 석물과 동일하였다. 기록상 초장지의 석물은 대부분 건릉 천릉 시 재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박석과 난간석은 다시 사용되지 않고 초장지에 그대로 폐기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효의왕후(정조 비) 승하 후 합장릉 조성 시 봉분의 크기가 커지면서 초장지의 난간석이 크기에 맞지 않아 재사용이 어려웠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연구결과를 통해 18세기 능묘 석물조성에 대한 문헌기록과 과학적 분석 결과를 비교검토할 수 있었으며 관련 연구분야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와 조선정조시대(朝鮮正禮時代)의 천문관측기록(天文觀測記錄) (ON THE ASTRONOMICAL RECORDS MADE IN THE DAYS OF KING JEONGJO OF YI DYNASTY)

  • 나일성
    • 천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5-40
    • /
    • 1979
  • Astronomical records in the days of King Jeongjo of Yi dynasty, 1777-1800, are examined for solar and lunar eclipses, meteors and comets. The books used for this investigation are Sung Jeong Won Il Gi, which are the original daily records written in the court. The records found in these Sung Jeong Won Il Gi are tabulated according to the four astronomical phenomena above, and they were cross checked with the records in the book, Jung Bo Mun Heon Bi Go. Although Jung Bo Mun Heon Bi Go has most frequently been used as the original records to those who work for the ancient Korean records, the inaccuracy and the deficiency are found.

  • PDF

정조연간의 백색복식(白色服飾) 착용풍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aring Practice of the White Costumes during King Jeongjo's Reign)

  • 최지희;홍나영
    • 복식
    • /
    • 제64권8호
    • /
    • pp.164-178
    • /
    • 2014
  • Historically, white clothes have been passed down through the generations as the symbol of the Korean people. This study was motivated after coming across a text written by Lee Ok(李鈺, 1760~1815), a writer during the Joseon dynasty. Lee wrote that "Koreans mostly wear blue clothes." This raised questions regarding the wearing practice of the white clothes at the time of King Jeongjo's reign(1776~1800), and led to further studies on the matter. The results show that discussions were held about changing the color of the government official's changui(氅衣) from white to blue. An order was also given replacing white boots with black boots. Therefore, it is supposed that blue clothes phenomenon was influenced from the blue changui policy. However, this change was temporary as later generations wore preferred white with the exception being women's skirts. Women preferred blue skirts to white skirts for a long period. Detailed analysis of the white changui showed that people were burdened by high dyeing costs, and this was a big factor as studies indicated a large gap in wealth disparity. In a society that put funeral and ancestral rites as one of its priorities, the white clothes could have been favored due to its multi-functional use. Also, the noblemen who set importance on Gija(箕子) Joseon connected white clothes custom to Gija. This connotes that the reason for wearing white clothes differed depending on the class. And as white clothes were widely worn, people developed different ways of wearing the clothes for aesthetic purposes.

연천 홍석주의 예술론(藝術論)에 대한 일고찰 - 정약용(丁若鏞)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 (A study about art theory of Yeoncheon Hong Seok-joo - Focused on difference with Jeong Yak-yong丁若鏞)

  • 윤종일
    • 동양고전연구
    • /
    • 제55호
    • /
    • pp.223-264
    • /
    • 2014
  • 연천 홍석주(淵泉 洪奭周: 1774-1842)는 정조의 문체반정 정책에 충실한 수행자의 역할을 한 사람이었다. 그는 1794년 이래 초계문신으로 정조를 가까이 대하면서 그 영향을 받았다. 뿐만 아니라 그는 정조 사후(1800) 이래 비교적 순탄한 사환기(仕宦期, 1795-1836)를 가지면서 자신의 독자적인 학문관을 정립했던 인물로 평가된다. 홍석주는 성리학적 문학론의 핵심개념인 '도본문말(道本文末)' 사상에 바탕을 둔 '문이재도(文以載道)'의 이론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문(文)과 시(詩)의 기능을 명교(明敎)와 감인(感人)으로 구분한다. 문의 방면으로는 교훈적 대사회적인 기능을, 시의 방면에서는 성정과 천기를 중시하는 감성적 이해에 주목하였다. 홍석주는 세교설(世敎說)에 입각하여 도덕적 감발과 그를 통한 사회적 교화를 예술 창작의 핵심에 놓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의 예술작품의 중요 요소로 언급되고 있는 '흥관군원(興觀群怨)'이나 '여항구요(閭巷謳謠)'와 같은 표현은 예술행위에 있어서의 객관적 대상의 실재를 중시하고 그 실상과 부합되는 묘사를 요구하는 태도에 연결되는데 이러한 표현방식은 마치 회화에 있어서 그가 풍속화적(風俗畵的)인 특성을 지향하고 있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의미망으로도 추정된다. 반면 정약용은 성리학적 문이재도론의 입장에서 주희의 '시경론'을 비판하는 데로 나아간 것이 특징이다. 그는 "시경"의 시편과 일반시의 정치사회적 기능을 부각시키고 있으며, 주희의 시에 관한 담론을 자신의 견해에 의하여 재해석한다. 작자(作者)가 정치적, 사회적 비판을 행한 것이 국풍의 시라는 것이다. 정약용의 국풍론은 사회정치적 맥락 속에서 사대부 계층의 실천적 역할을 강조하는 정약용의 사상을 여실하게 드러내고 있다.

정조대(正朝代) 장용영(壯勇營)의 경호학적 가치 (King Jeongjo's Jangyongyoung and its Value in Terms of Security)

  • 이성진
    • 시큐리티연구
    • /
    • 제28호
    • /
    • pp.131-152
    • /
    • 2011
  • 상정조대 장용영(壯勇營)은 정조 즉위 후에 신변안전(身邊安全)과 왕권강화(王權强化)를 이룩할 수 있도록 뒷받침한 친위부대(親衛部隊)였다. 이는 경호학적 관점에서 볼 때 경호제도 발전과 호위(扈衛) 성과, 경호환경(警護環境)조성의 문화적 가치가 있다. 장용영은 조선 후기의 호위제도의 변화 속에서 정조의 정치적 개혁을 실천해 나가는 데 있어서 합당한 제도로 거듭났다. 인조반정 이후에 역 쿠데타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호위청(扈衛廳)과 어영청(御營廳) 발족, 그리고 효종 때의 군사력 증강을 목표로 금군을 발전 시켰던 제도들은 임시변통적인 것이다. 그러나 장용영은 숙위소${\blacktriangleright}$장용위${\blacktriangleright}$장용영의 과정을 거치면서 보다 지속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제도로 거듭나 자신의 왕위 계승의 정통성을 지키면서 왕권강화와 민생안정에 대한 정치적 포부를 실현하는 데 실질적으로 뒷받침 할 수 있는 친위부대로 발전하였다. 장용영의 제도에는 효율적인 조직과 운영이 내포되어 있다. 장용영 조직의 특성은 통합성, 전문성, 대규모성을 지닌 것으로서 현대경호의 특성을 드러냈다. 장용영의 군사훈련(軍事訓鍊)과 호위(扈衛)는 분리된 것이 아니었다. 호위 작용에서도 정적인 신변보호(身邊保護)와 숙소경비(宿所警備)의 임무에 충실했으며, 이에 머무르지 않고 보다 폭넓은 활동의 범위에서 일어날 수 있는 돌발 사태에도 충분히 대비하였다. 그리하여 잦은 능행과 대규모의 화성행차 및 병사들의 훈련 참관 등의 폭넓고 자유로운 활동을 뒷받침할 수 있었다. 장용영은 단순히 군사적 기능만을 발휘한 부대가 아니고 문화적 기능을 발휘하여 왕실과 백성들이 위기를 극복하고 하나가 되어 왕의 행차(行次)에 참여하고 왕과 직접 만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왕과 병사가 하나가 된 장용영은 정조의 개혁정책을 뒷받침하는 핵심부대로서의 위용(偉容)을 보여줌으로써 왕실의 권위를 높이고 국왕과 신하와 백성들이 하나가 되는 경호문화행사(警護文化行事)의 모범을 보여주었다.

  • PDF

"정조국장도감의궤"를 중심으로 한 염습의대 고찰 (Study on Burial Dressing of King based on "Jeong-jo Gukjang Dogam Euigwe")

  • 고영
    • 복식
    • /
    • 제61권5호
    • /
    • pp.147-163
    • /
    • 2011
  • King Jeong-jo (正祖) was the 22nd king of Joseon dynasty (朝鮮王朝), who led the golden age of Korean culture during his ruling. This study is on the burial dressing of King Jeong-jo based on the publications during his ruling; such as "Gukjo Sangrye Bopyeon (國朝喪禮補編)", "Chungwan Tonggo (春官通考)", Jeong-jo "Gukjang Dogam Euigwe (國葬都監儀軌)", "Jeongjo Binjeon Honjeon Dogam Euigwe (正祖殯殿魂殿都監儀軌)" and "Jeong-jo Sillok (正祖實錄)", "Gukjo Sangrye Bopyeon (國朝喪禮補編)" was published in 1758. It compiled the funeral protocols of royal court, complementing the shortcomings of protocol documents published till then. "Chungwan Tonggo" was published in 1788, compiling all the protocols and customs practiced during Joseon dynasty in an organized manner. "Jeong-jo Gukjang Dogam Euigwe" and "Jeongjo Binjeon Honjeon Dogam Euigwe", record the burial dressing and the state funeral of King Jeong-jo in detail based on the contents of above protocol publications. In addition, the 'Daeryeom Euidae ', 'Soryeom Euidae', 'Seup Euidae' and 'Mokyok Euidae' that had been actually practiced were studied in detail based on the records in June/July, 1800 in Book 54 'Jeong-jo'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timing of King Jeong-jo's state funeral was when the most elaborated and complete protocol books of Joseon dynasty had been published.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solemn and magnificent funeral culture and King's burial dressing in late Joseon dynasty by way of King Jeong-jo's burial dressing.

창덕궁 측우대에 새긴 '측우기명' 연구 - 『澈齋眞蹟(철재진적)』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Changdeok Palace Chugudae and its Inscriptions - Focused on 『Cheoljae Jinjeok (澈齋眞蹟)』 -)

  • 전태일;이단;전영신
    • 대기
    • /
    • 제21권4호
    • /
    • pp.455-469
    • /
    • 2011
  • The Chugudae is a pedestal for the Chugugi. While many Chugudae were made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seven remained in existence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Only five of them remain to this day-Gwansanggam (Royal Office of Astronomy and Meteorology), the Seonhwadang in Daegu, the Changdeok Palace, Tongyeong, and Yeongyeongdang. The Changdeok Palace Chugudae is the only existing model made not only as a meteorological instrument but also as a memorial statue. It has been a challenge to decipher 41 of the 368 characters in 'Chugugi-myeong (The title of the inscriptions on the Changdeok Palace Chugudae)' as these had been eroded. However, the interpretation of the full text of 'Chugugi-myeong' became possible thanks to the "Cheoljae Jinjeok (澈齋眞蹟)" which was discovered through this study. The key sentences of the 'Chugugi-myeong' include the reason for creation, the size and functions of the Chugugi and a eulogy to the reigns of King Sejong, Youngjo and Jeongjo. Moreover, its splendid design is worthy of further study. To conclude its true meaning and value, the Changdeok Palace Chugudae requires a more extensive investigation from the viewpoint of an art history.

다산 정약용의 표류민과 해상국경에 대한 인식 (Jeong YagYong's Perceptions of Sea Refugees and Maritime borderlines)

  • 신재훈
    • Strategy21
    • /
    • 통권36호
    • /
    • pp.215-240
    • /
    • 2015
  • Jeong YagYong, who are the SilHak Scholar during 18th to 19th century, wrote the Sadaegore with his pupil Lee Cheong. This work is the guide of diplomacy, which are asked to write from King Jeongjo. Although this book was completed after King Jeongjo's death, it harbors the King's thoughts about diplomacy or the relationship with China. Haebanggo, one chapter of the book, is about marine policy and how to treat the castaways. In this chapter, Jeong YagYong provides various ways to deal with these problems in marine area and sea refugee I will examine the Jeong YagYong's thought about the problems and ways to address these problems. Futhermore, I will inquire Jeong's opinion on the boundary in marine area. He recognized that many border transgressions happened in marine area at that time and considered that as urgent political affairs. Haebanggo consists of two parts. First part of the book is about protect own island from other countries. The rest part is about cases of dealing with castaways and their transgression. I argue that Jeong YagYong intended to make distinct borderlines in marine area and empathized the necessity of protecting Joseon's islands from other countries.

창덕궁 후원의 시문분석에 의한 의경(意境)과 경관 특성 (A Study on Yijing and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Analysis of Poems in Changdeokgung's Rear Garden)

  • 손용훈;함광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24-13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의적 대상에 대한 해석방법으로서 의경(意境) 개념을 사용하여 창덕궁 후원의 경관 특성을 해석하는 것이다. 의경에서 경(境)은 경계를 의미하며, 사물을 인식하는 범주이다. 사의적 대상에 관한 인식의 범주는 감정적인 면을 대상으로 하는 정경이 있으며, 이보다 확대되어 진리 혹은 이상의 정신적 대상을 포함하는 의경의 단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경의 구조를 분석 틀로 하였으며, 조영 주체인 왕의 행적과 고전을 중심으로 창덕궁 후원의 의경과 경관 특성을 명확히 하였다. 연구결과, 창덕궁 후원 조영에 있어서 인조, 숙종, 정조 세 왕이 깊게 관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조는 후원 조영의 물리적 기반을 닦았고, 숙종은 상림십경(上林十景)을 통해 후원의 정경을 향유하였으며, 정조는 학식과 정치적 비전에 관한 뜻을 후원에 투영하여 의경의 범주를 넓혔다. 의경 개념은 정신적 대상의 범주를 체계화하고 이해하는데 유용한 사고방법으로, 형태보다 정신적 대상을 중시한 우리나라 전통조경의 효과적인 해석 방법론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