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ol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25초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rosslinked Sodium Alginate Membranes for the Dehydration of Organic Solvents

  • Goo, Hyung Seo;Kim, In Ho;Rhim, Ji Won;Golemme, Giovanni;Muzzalupo, Rita;Drioli, Enrico;Nam, SangYong
    • Korean Membrane Journal
    • /
    • 제6권1호
    • /
    • pp.55-60
    • /
    • 2004
  • In recent years, an increasing interest in membrane technology has been observed in chemical and environmental industry. Membrane technology has advantages of low cost, energy saving and environmental clean technology comparing to conventional separation processes. Pervaporation is one of new advanced membrane technology applied for separation of azeotropic mixtures, aqueous organic mixtures, organic solvent and petrochemical mixtures. Sodium alginate composite membranes were prepared for the enhancement of long-term stability of pervaporation performance of water-ethanol mixture using pervaporation. Sodium alginate membranes were crosslinked with CaCl$_2$ and coated with polyelectrolyte chitosan to protect washing out of calcium ions from the polymer. The surface structures of PAN and hydrolysed PAN membrane were confirmed by ATR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Jeol 6340F) operated at 15 kV. Concentration profiles for Ca in the membrane surface and membrane cross-section were taken by an energy dispersive X-ray (EDX) analyser (Jeol) attached to the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Jeol 6340F). Pervaporation experiments were done with several operation run times to investigate long-term stability of the membranes.

고구려 의장기 절(節)의 3D 디지털 복원 (3D Digital Restoration of Koguryo Ceremonial Flag "Jeol")

  • 공전영;공석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5권3호
    • /
    • pp.6-20
    • /
    • 2022
  • 고구려 벽화고분에 나타난 도상 자료인 절(節)에 대한 3D 디지털 복원을 시도하였다. 기존 연구는 그림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표면적인 디지털 복원을 진행하였는데, 근본적으로 문화유산에 대한 역사·문화적 이해가 부족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려고 학제 간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대상인 절은 제왕의 권력을 상징하는 위세품이다. 절은 고구려 시대 깃발의 일종으로서, 세계유산인 안악 3호분에 의장기로 나타나고 있다. 동북아지역에서 고대 시기 절의 원형을 가장 잘 유지하고 있어 복원할만한 가치가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자료와 고고미술 관련 자료를 교차 검증하여 절에 대한 문화원형을 복원하였다.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절에 대한 형태, 색깔 등을 추출하고 이를 다른 그림 자료를 통해 교차 검토하였다. 2D로 복원된 자료는 다양하게 활용하기가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그래픽자료인 3D로 디지털 복원하였다. 3D 자료는 동영상을 비롯하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하여 다양한 플랫폼에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복원 과정을 통해 절이라는 도상 자료에 대한 문화재 가치를 심층적으로 인식하고 보다 구체적인 활용방안까지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복원된 결과물은 3D 형태의 문화콘텐츠이다. 이는 우리 문화유산에 대한 문화 향유권 증진과 그 우수성을 대내외에 홍보할 수 있는 원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 차후 고구려 벽화무덤에 나타나는 도상 자료에 대한 디지털 복원 체계를 구축하고, 문화유산 3D 디지털 복원방식 확산에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