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eju native chicke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감귤 부산물을 급여한 제주도 토종 닭고기가 흰쥐의 지질대사, 단백질 농도 및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ing Jeju Native Chicken Meat Fed a Tangerine By-product on Lipid Metabolism, Protein Levels and Enzyme Activities in White Rats)

  • 문윤희;양승주;정인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63-368
    • /
    • 2009
  • In this experiment, three different diets were produc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Jeju native chicken meat, from chickens that were fed a tangerine by-product, on physiological activities in rats. The first diet did not contain any chicken (TS), the second diet contained 10% chicken that had not been fed the tangerine by-product (T0), and the third diet contained 10% that had been fed the by-products (T1). These diets were provided to 11-week-old male rats for four weeks. Weight gain, feed intake, feed efficiency, liver, kidney, and epididymis fat weigh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S, T0, and T1 groups. Total lipid, triglycerides, and cholesterol levels in the live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0 and T1 than in TS (p<0.05). And total lipid, phospholipid,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DL+VLDL-cholesterol, HDL-cholesterol/total cholesterol, and atherogenic index levels in the blood serum were similar between T0 and T1, which did not presen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feed containing the tangerine by-product did not cause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rum protein, glucose, or hemoglobin. Finally, T0 and T1 showed similar trends in terms of $\gamma$-GTP, ALT, AST, and ALP activities, which again did not present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 PDF

Native Pig and Chicken Breed Database: NPCDB

  • Jeong, Hyeon-Soo;Kim, Dae-Won;Chun, Se-Yoon;Sung, Samsun;Kim, Hyeon-Jeong;Cho, Seoae;Kim, Heebal;Oh, Sung-J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0호
    • /
    • pp.1394-1398
    • /
    • 2014
  • Indigenous (native) breeds of livestock have higher disease resistance and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due to high genetic diversity. Even though their extinction rate is accelerated due to the increase of commercial breeds, natural disaster, and civil war, there is a lack of well-established databases for the native breeds. Thus, we constructed the native pig and chicken breed database (NPCDB) which integrates available information on the breeds from around the world. It is a nonprofit public database aim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genetic resources of indigenous pig and chicken breeds for their conservation. The NPCDB (http://npcdb.snu.ac.kr/) provides the phenotypic information and population size of each breed as well as its specific habitat. In addition, 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of genetic resources across the country. The database will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the breed's characteristics such as disease resistance and adaptation to environmental changes as well as the conservation of indigenous genetic resources.

Application of genomic big data to analyze the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Korean domestic chickens

  • Eunjin Cho;Minjun Kim;Jae-Hwan Kim;Hee-Jong Roh;Seung Chang Kim;Dae-Hyeok Jin;Dae Cheol Kim;Jun Heon Le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5호
    • /
    • pp.912-921
    • /
    • 2023
  • Genetic diversity analysis is crucial for maintaining and managing genetic resources. Several studies have examined the genetic diversity of Korean domestic chicken (KDC) populations using microsatellite markers, but it is difficult to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genome in this manner. Hence, this study analyzed the genetic diversity of several KDC populations using high-density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genotype data. We examined 935 birds from 21 KDC populations, including indigenous and adapted Korean native chicken (KNC), Hyunin and Jeju KDC, and Hanhyup commercial KDC populations. A total of 212,420 SNPs of 21 KDC populations were used for calculating genetic distances and fixation index, and for ADMIXTUR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digenous KNC groups were genetically closer and more fixed than the other groups. Furthermore, Hyunin and Jeju KDC were similar to the indigenous KNC. In comparison, adapted KNC and Hanhyup KDC populations derived from the same original species were genetically close to each other, but had different genetic structures from the other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ntinuous evaluation and management are required to prevent a loss of genetic diversity in each group. Basic genetic information is provided that can be used to improve breeds quickly by utilizi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native chickens.

OCX-32 유전자 내 c.494A>C 및 c.267T>G SNP이 한국 재래닭 산란형질에 미치는 효과 분석 (Effects of c.494A>C and c.267T>G SNPs in OCX-32 Gene of Korean Native Chicken on Egg Production Traits)

  • 이지연;최소영;김종대;홍영호;정동기;이성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91-196
    • /
    • 2014
  • 가금 사육 프로그램에서 경제적으로 중요한 형질에 잠재적인 후보 유전자의 식별 및 활용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Ovocalyxin-32(OCX-32) 유전자는 닭의 9번 염색체에 위치하며, 난각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재래닭의 OCX-32 유전자 내 SNP의 유전자형 결정과 산란 형질과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PCR-RFLP 방법을 통해 한국 오골계 46수, 백색 46수, 회색 43수, 흑색 46수를 포함한 총 181수의 한국 재래닭 암컷 4종의 SNP을 분석하였다. 산란 형질은 시산일령, 시산난중, 산란율, 난중의 4가지 항목을 포함하여 측정하였다. OCX-32 유전자 내 c.494A>C SNP은 오골계의 산란율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며(p<0.001), 백색 재래닭에서는 난중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c.267T>G SNP은 오골계의 난중과 유의적인 연관성이 나타났다(p<0.05). 하지만 회색과 흑색 재래닭에서는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한국 재래닭의 사육 프로그램에서 산란형질을 선발하는 마커로 사용되기까지 추후 더 많은 개체군을 통한 연구가 요구되나, OCX-32 유전자 내 c.494A>C와 c.267T>G의 단일염기변이가 한국 재래닭 중 오골계와 백색 재래닭에서 산란 특성에 따른 DNA 선발 마커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토종닭 계란의 성분조성에 미치는 감귤부산물 급여의 영향 (Effects of Feeding Citrus Byproducts on Nutritional Properties of Korean Native Chicken Eggs)

  • 양승주;정인철;문윤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41-846
    • /
    • 2008
  • 본 연구는 감귤부산물을 급여한 토종닭 계란의 성분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토종닭 계란은 감귤부산물을 급여하지 않은 것(T0구), 그리고 감귤부산 물을 4% 급여한 것(T1구)으로 나누어 각각 54수씩 3반복 사육하고 $29{\sim}30$주령에 산란한 것을 시료로 하였다. 난백과 난황의 일반성분, 구성 아미노산 총량,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모두 T0구 및 T1구 사이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난황의 무기질, 비타민 및 xanthophyll 함량은 모두 T0구 및 T1구 사이에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아서 감귤부산물급여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난황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T0구의 1,207 mg/100 g보다 T1구의 1,168 mg/100 g이 유의적으로 낮으며 난백의 유리아미노산 중 L-glutamic acid 함량은 T0구의 39.22 ppm에 비하여 T1구의 58.54 ppm가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므로 감귤부산물은 양계사료에 첨가하여 토종닭에 급여할 수 있으며 이는 효율적인 감귤부산물 처리 방안이 될 수 있겠다.

토종닭 고기의 영양 성분에 미치는 감귤부산물 급여의 영향 (Effects of Feeding Citrus by Products on Nutritional Components of Korean Native Chickens)

  • 양승주;정인철;문윤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369-1376
    • /
    • 2008
  • 본 연구는 감귤부산물 첨가 사료를 급여한 토종닭 고기의 영양성분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토종닭은 감귤부산물을 급여하지 않고 산란계 배합사료로 39주령까지 사육한 것(T0구), 그리고 감귤부산물을 급여한 것(T1구)으로 나누어 각각 54수 씩 5반복 사육하였다. T1구의 사료는 16주령까지 T0구와 동일하게, $17{\sim}39$주령에는 T0구에 감귤부산물을 4%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토종닭 고기($1.30{\pm}0.5\;kg$)는 도계 후 냉장 2일째 실험에 이용하였다. 토종닭의 가슴살 및 다리살의 열량,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구성아미노산 총량, 유리아미노산 총량 및 포화지방산/불포화지방산 조성비는 모두 감귤부산물 급여에 의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0구와 T1구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가슴살이 각각 48.4 mg/100 g 및 47.6 mg/100 g, 다리살이 각각 75.7 mg/100 g 및 72.8 mg/100 g으로 나타나서 감귤부산물을 급여한 T1구가 다소 낮은 값을 보였다. 가슴살의 경우 대부분의 무기질, 비타민, 아미노산 및 지방산 함량이 감귤부산물 급여에 의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다리살은 무기질의 인, 칼륨, 마그네슘, 그리고 비타민 B2, 유리아미노산의 L-glutamic acid, 지방산의 oleic acid 및 linoleic acid 함량이 T1구가 유의하게(p<0.05) 높게 나타나서 감귤부산물 급여 효과가 있었다.

감귤 껍질을 급여한 토종닭 계란이 흰쥐의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Korean Native Chicken Egg Fed with Citrus Peel on Profiles in Sprague-Dawley Rats)

  • 문윤희;양종범;정인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79-584
    • /
    • 2009
  • 감귤 껍질 첨가 사료로 사육한 토종닭 계란이 흰쥐의 영양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흰쥐의 식이에 계란을첨가하지 않은 표준군(TS), 감귤 껍질을 첨가하지 않고 사육한 계란을 10% 첨가한 대조군(T0) 및 감귤 껍질을 첨가하여 사육한 계란을 10% 첨가한 감귤 껍질 급여군(T1)의 식이를 제조하였다. 이 식이들은 각각 생후 11주령의 숫쥐에 4주간 급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얻었다. 흰쥐의 체중 증가량, 식이 섭취량 및 식이 효율은 TS, T0 및 T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흰쥐 간의 무게는 T0 및 T1이 TS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0.05), 신장 및 부고환 지방의 무게는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청의 총지질, 인지질,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LDL + VLDL-콜레스테롤 농도는 TS, T0 및 T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DL-콜레스테롤 및 HDL-콜레스테롤/총 콜레스테롤의 비율은 T1이 가장 높았고, 동맥경화지수는 T1이 가장 낮았다(p<0.05). 혈청의 총 단백질 농도는 TS가 T0 및 T1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며, 알부민 농도는 T1이 가장 높았다(p<0.05). 알부민/글로불린의 비율은 TS가 T0 및 T1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크레아티닌 농도는 T0가 TS 및 T1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러나 혈당 및 혈색소의 농도는 TS, T0 및 T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gamma$-GTP는 T1이 가장 낮았으며(p<0.05), ALT, AST 및 ALP는 TS, T0 및 T1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이 감귤 껍질을 급여한 계란이 흰쥐의 지질 조성, 단백질 농도, 혈당, 헤모글로빈 함량 및 효소 활성에서 정상 수준을 유지하여 감귤 껍질의 양계 사료로서의 가능성이 기대되며, 고품질 양계산물의 생산도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PDF

초위성체 마커를 활용한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DAD-IS) 등재 재래닭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Genetic Diversity of Korean Native Chicken Populations in DAD-IS Database Using 25 Microsatellite Markers)

  • 노희종;김관우;이진욱;전다연;김승창;고응규;문성실;이현정;이준헌;오동엽;변재현;조창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65-75
    • /
    • 2019
  • 본 연구는 세계식량농업기구(FAO)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DAD-IS)에 등재되어 있는 우리나라 재래닭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및 외래품종과의 차별성을 분석하기 위해 25개의 초위성체(MS) 마커를 이용하여 총 18개 집단 548수의 유전자형을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기대($H_{\exp}$) 및 관측이형접합도($H_{obs}$), 다형정보지수(PIC), 유전거리, 유전적 균일도 등을 계산하였다. 마커별 다형성 분석 결과, 총 195개의 대립유전자가 나타났으며, $H_{\exp}$와 PIC의 경우 MCW0145에서 각각 0.646, 0.569로 가장 높았으며, $H_{obs}$의 경우 ADL0278에서 0.773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었던 반면, MCW0078에서는 $H_{\exp}$, $H_{obs}$, PIC가 각각 0.263, 0.291, 0.217로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단간 다양성 분석 결과로는 MNA, $H_{\exp}$, $H_{obs}$, PIC 모두 황갈색재래종(KNY) 집단(각각 4.60, 0.627, 0.643, 0.563)에서 가장 높게, 횡성약닭(HYD) 집단(각각 1.84, 0.297, 0.286, 0.236)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대립유전자형의 빈도를 바탕으로 계산된 18개 품종간의 DA 유전거리 분석 결과, 횡성약닭(HYD)와 화이트레그혼F(LGF) 집단 사이에서 0.675로 가장 먼 유전거리를 형성하고 있었으며, 같은 품종인 로드아일랜드레드 두 집단(RRC, RRD) 사이에서 0.027로 가장 가까운 유전거리를 보였다. 한편, 같은 품종임에도 불구하고, 코니시 두 집단(COS, COH)사이에서는 0.313의 비교적 먼 유전거리를 나타내고 있었다. 집단의 실제 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집단별 균일도 분석 결과, K=15에서 최적의 K값(${\Delta}K:66.22$)을 얻을 수 있었으며, 18개의 집단 중 14개의 집단에서 90% 이상의 높은 유전적 균일도를 나타내며 독립적인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또한, 황갈색재래종(KNY), 현인흑계(HIC), 연산오계(KNO) 집단에서도 각각 88.9%, 83.9%, 76.3%로 독립적인 군락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제주재래닭(JJC)의 경우 독립적인 군락을 형성하지 못하고, 황갈색재래종(KNY) 집단이 속해 있는 2번 군락에서 가장 높은 44.3%의 균일도를 보이고 있었으며, 3번 군락(17.7%)과 8번 군락(19.1%)에도 일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집단 조성 과정에 있어 타집단과의 교잡이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되며, 독립적인 집단으로 구분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추후 개체식별을 통한 지속적인 계획교배를 실시하여 유전적 고정화 작업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 DAD-IS에 등재되어 있는 우리나라 재래닭 집단이 외래 토착종 집단과 확연하게 구분이 되며, 각 재래닭 집단간에도 비교적 뚜렷하게 구분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고유 종자로서의 과학적인 근거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추후 재래닭 유전자원에 대한 국가 수준의 관리 및 평가를 통해 다양한 육종 소재로 이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 재래계의 HNF4α 유전자 내 SNP와 성장과의 연관성 분석 (Association of SNPs in the HNF4α Gene with Growth Performance of Korean Native Chickens)

  • 양송이;최소영;홍민욱;김훈;곽경록;이효정;정동기;손시환;홍영호;이성진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53-260
    • /
    • 2018
  • $HNF4{\alpha}$ 유전자는 인간의 지질 수송 및 대사에 관여하는 간 전사인자로써, 닭의 지방 축적에 관련된 잠재적 후보유전자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HNF4{\alpha}$ 유전자 내 A543G SNP은 외래 육계뿐만 아니라, 외래 육계와 유전적 차이를 가지는 한국 재래계의 생시체중과 생체중에 유의적 연관성을 보인 바 있으나, 해당 SNP의 정확한 위치는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equencing을 통하여 A543G SNP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A543G SNP의 주변 부위의 한국 재래계의 산육형질에 유의적 연관성이 있는 SNP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Genomic DNA는 128수의 한국재래계의 혈액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PCR 뒤 sequencing에 사용되었다. Sequencing 결과, 증폭범위 내에서 총 14개의 SNP가 탐색되었으며, 이 중 $HNF4{\alpha}$ 유전자의 intron 4 상에서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1개의 새로운 SNP를 발견하였다. 확인된 14개의 SNP 중 rs731246957과 rs736159604가 재래계의 생시체중 및 생체중에 유의적 연관성(P<0.001)을 보였다. rs731246957은 닭의 20번 염색체의 5,566,970번째에 위치하며, 선행논문에서 체중과의 연관성이 보고된 A543G SNP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기존의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반면에 선행논문에서 닭의 성장형질과의 연관성이 보고된 적 없는 rs736159604 SNP는 GG 유전자형 그룹이 GA, AA 유전자형 그룹에 비해 꾸준히 높은 체중 관측치를 보였으며, 특히 40주령의 체중은 다른 유전자형 그룹에 비해 약 1.8배 높게 관측되었다. 뿐만 아니라 신규 발견한 SNP의 T allele을 가지는 계군이 G allele을 가지는 계군보다 성장면에서 고능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한국재래계의 산육형질과 연관된 후보유전자로써 $HNF4{\alpha}$ 유전자의 기초정보를 제공하며, 해당 유전자내 특정 단일염기의 변이가 재래계의 체중 관련 유전자 마커로 유용하게 활용 가능할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