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ssa falcata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Redescription of Jassa slatteryi (Crustacea: Amphipoda: Ischyroceridae)

  • Lim, Byung-Jin;Park, Ja-Yang
    • 환경생물
    • /
    • 제24권3호
    • /
    • pp.300-305
    • /
    • 2006
  • Jassa slatteryi was redescribed as a new record to Korean fauna, accompanied by the morphological account in comparison with Jassa falcata Montagu, 1808. This work was based on the specimens which were collected from the screw of the international trade ship, named Hanjin, anchored in Samcheon-po bay of the south coast of Korea in 2004.

韓國 南海岸 得粮灣에서 실시한 附着板實驗에서 大量發生했던 管棲 端脚類 三種의 分類 및 生態學的 硏究 (Three Tube-Building Amphipods from Experimental Plates in Deukryang Bay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Hong, Jai-Sa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5-153
    • /
    • 1983
  • 汚損生物 (fouling organisms)을 조사하기 위하여 1981년 1월부터 7월까지 한국 남해안에 위치하고 있는 得粮灣에서 附着板實驗을 실시한 결과 底棲性端脚類가 優占動物群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다음의 옆새우類 三種 (Jassa falcata, Corophium acherusicum, Ericthonius brasiliensis)은 부착판의 全 表面에 silty tubes를 형성하면서 附着生物의 群集 形成 초기단계가 괄목할만한 量的 增殖이 관찰되었는데 이들 3種의 형태적 특징과 生態에 관하여 기재하였다.

  • PDF

동해안 조식성 무척추동물과 해조류 간 상호작용 (Interaction between Invertebrate Grazers and Seaweeds in the East Coast of Korea)

  • 유재원;김효진;이현정;이창근;김창수;홍재상;홍정표;김동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2권3호
    • /
    • pp.125-132
    • /
    • 2007
  • 조식동물-해조류 상호작용의 크기 분포를 추정하기 위하여 12종의 조식동물에 대하여 개체 당 일평균 섭식률 (PCGR, per capita grazing rate, g seaweeds/individual/day)을 구하고, 다른 종들의 섭식률을 추정할 수 있는 회귀모형을 만들었다. 조식동물의 생체량과 사제곱근 변환 PCGR은 power curve($y=0.2310x^{0.3290}$)에 적합되었고 모형의 r값은 0.8864였다. 이로부터 조식동물의 PCGR 변동은 생체량과 관계가 있으며, 섭식 효율성은 관찰된 생체량 범위내에서 균일하지 않다는 것이 파악되었다. 따라서 각 종별 생체량 효과가 보정된 PCGR을 추정하였고, 작은 몸체를 갖는 종일수록 보다 효율적인 섭식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서식밀도를 감안한 개체군 별 상호작용(grazing impact, $mg/m^2$)을 계산한 결과, 해조장에 가장 큰 영향을 갖는 개체군은 군소(Aplysia kurodai, 약 $2,513mg/m^2$)인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은 둥근성게(Strongylocentrotus nudus, 약 1,500 mg/)와 새치성게(S. intermedius, $733mg/m^2$)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각류 가운데 단위 면적당 밀도가 4,000 개체 이상인 멜리타옆새우류, Elasmopus sp.와 2,000 개체 이상인 가시꼬리육질꼬리옆새우붙이, Jassa falcata의 섭식량은 각각 3.435와 $1.697mg/m^2/day$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추정한 조식동물 군집의 종 조성과 서식 밀도가 동일할 때 상호작용의 총합은 $5,045mg/m^2/day$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과 모형 연구로부터 성게류와 군소 외에도 적잖은 상호작용이 높은 밀도를 갖는 많은 수의 종들로부터 해조류에 가해지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성게류의 경우 3 개체/$m^2$의 평균 서식밀도에서 발생하는 섭식량은 국내 천해 양식업의 평균 해조류 생산량(약 5 ton/ha)을 초과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미소 갑각류 역시 낮은 포식압 조건에서 서식밀도가 증가하면 적잖은 충격(해조류 생산량의 약 16%)을 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해조장에 서식하는 조식동물의 밀도가 어류에 의해 강도 높게 조절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어류와 조식동물 간 상호작용에 대한 인간의 간섭(어류의 남획 등)은 해조장에 커다란 변화를 유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