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anese red pine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2초

방사성 추적자에 의한 솔잎혹파리 방제용 살충제 phosphamidon의 소나무 수간이동 구명 : I. 소나무 품종 및 계절별 이행 (Elucidation of the translocation of phosphamidon used for the control of pine leaf gall midges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n the trunks of pine trees by means of a radiotracer. Part 1. Translocation as affected by pine tree species and the treated season)

  • 이재구;이형래;경기성;변병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6호
    • /
    • pp.463-468
    • /
    • 1993
  •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방제용으로 소나무의 수간에 주입된 침투성 살충제 phosphamidon(2-chloro-2-diethylcarbamoyl-1-methylvinyl dimethyl phosphate)의 이행 및 분포를 구명하기 위하여 $[vinyl,\;carbonyl-^{14}C]phosphamidon$을 약 10년생의 적송과 해송에 각각 수간주사하였다. 이 약제의 최고이행속도는 적송(Pinus densiflora Sieb. et Zucc.)과 해송(Pinus thunbergii Parl.)에서 각각 약 10 cm/hr(7월)와 2 cm/hr(12월)이었다. 처리된 방사능은 하계의 적송에서는 75일까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동계의 해송에서는 150일까지 유지하였다. 본 약제가 살충가능한 농도로 top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적송(7월)에서는 3일 이내인 반면 해송(12월)에서는 15일 이내이었으며, 그 이행정도는 약제처리시기 및 수종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솔잎에 잔류하는 phosphamidon과 그 대사산물은 methanol로 잘 추출되었으며, 솔잎시료의 methanol 추출액을 autoradiography한 결과 phosphamidon은 소나무내에서 신속히 분해되어 7일 내에 약 80% 정도가 분해되었다.

  • PDF

방사성 추적자에 의한 솔잎혹파리 방제용 살충제 phosphamidon의 소나무 수간이동 구명 : II. 소나무 체내에서의 대사 (Elucidation of the translocation of phosphamidon used for the control of pine leaf gall midges (Thecodipi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in the trunks of pine trees by means of a radiotracer. Part II. Metabolism in pine trees)

  • 이재구;이형래;경기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6호
    • /
    • pp.469-475
    • /
    • 1993
  • 솔잎혹파리(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방제용으로 소나무의 수간에 주입된 침투성 살충제 phosphamidon(2-chloro-2-diethylcarbamoyl-1-methylvinyl dimethyl phosphate)의 대사를 구명하기 위하여 $[vinyl,\;carbonyl-^{14}C]phosphamidon$을 약 10년생 소나무의 수간에 주사하고 그 솔잎 추출액을 autoradiography한 결과 phosphamidon은 소나무 체내에서 신속히 분해됨을 알 수 있었다. 솔잎의 phosphate buffer 추출액 중에서 phosphamidon은 주대사산물인 ${\alpha}-chloroacetoacetic$ acid diethylamide를 비롯하여 ${\alpha}-chloroacetoacetic$ acid ethylamide, 3-hydroxy-N,N-diethylbutanamide, acetoacetamide, 그리고 trimethyl phosphate 등의 대사산물을 생성하였으며, 이 대사작용은 소나무 체내에서도 유사하리라 추정된다. 또한 주 대사경로는 구조식중 P-O-vinyl 결합의 가수분해와 관련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

Effect of Moisture Content and Wood Structure on the Amenability of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to Liquid Treatment

  • Ali Ahmed, Sheikh;Chong, Song-Ho;Hong, Seung-Hyun;Kim, Ae-Ju;Chun, Su-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8권2호
    • /
    • pp.108-116
    • /
    • 2010
  • This paper explains the effects of wood drying on treatability (as determined by water uptake) of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at the sevenmoisture content (MC) levels above and below the fiber saturation point (FSP).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found that water uptake (as the percentage of void volume filledwith distilled water, VVF%) was influenced by level of moisture content and percentage of void volume filled was improved effectively by kiln drying proces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oisture content and treatability was established. Permeability and liquid uptake were decreased above the FSP due to the effect of the less void space available in wood. Even though increased liquid uptake was observed at lower moisture conten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as observed moisture content below 20%. Therefore, this species need to be initially dried below FSP before treated with liquids. But drying moisture content below 10% might not be economical for the commercial purpose comparing drying the wood between 10 and 20% moisture content. The result of this study inferred that the treatability of pine wood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moisture content up to a certain level of 10~20% for allowing better performance.

수엽(樹葉) 정유함량에 미치는 생물.화학적 (Induction Effect of Biotic and Chemical Elicitors Treatment for the Increase of Essential Oil Content from Trees)

  • 강하영;최인규;이성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8-12
    • /
    • 2002
  • 수목에 스트레스를 가하여 정유를 증수할 목적으로 화학적 스트레스 자극제 5종과 생물적 스트레스 자극제 4종을 선발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정상적인 수목의 정유함량은 편백 2% 전후, 화백 1.6%, 소나무 0.4%, 잣나무 0.7%였으며, 상기 수종들은 모두 7월에 최대의 정유함량을 기록하였다. 또한 9종의 스트레스 자극제 처리 6개월 후 잎의 정유함량을 측정한 결과, 스트레스 자극제 처리에 의해 대체로 정류함량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자극제의 종류에 따라 변화가 없거나 또는 감소하는 경우도 있었다. 정유 증수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종별 최적 스트레스 자극제로 소나무는 치마버섯(SCC), 잣나무는 과산화수소수, 편백은 치마버섯(SCC), 화백은 ${\beta}-pyridone$이 선발되었으며, 특히 과산화수소와 ${\beta}-pyridone$은 공시한 4수종에 광범위하게 효과를 나타내는 스트레스 자극제였다. 그러나 뽕나무버섯(ARM)과 소나무잔나비버섯(FOP)의 잣나무 처리군 및 치마버섯(SCC)의 화백 처리군에서는 오히려 정유함량을 감소시켰다.

Insecticidal Activity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and Pine Sawyer (Monochamus saltuarius) Using Abamectin and Emamectin benzoate

  • Lee, Dong-Hyeon;Suh, Dong Yeon;Seo, Sang-Tae;Lee, Sang-Hyu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3호
    • /
    • pp.255-258
    • /
    • 2020
  • Pine wilt disease (PWD) caused by pine wood nematode (PWN), Bursaphelenchus xylophilus, which is transmitted by Monochamus alternatus and M. saltuarius, is a serious threat to coniferous forests in the Northern Hemisphere, including Korea. The efficacy of abamectin and emamectin benzoate for preventing the PWD in the field and its effect on the vectors Monochamus alternatus and M. saltuarius (Coleoptera: Cerambycidae) were evaluated. An experimental plot was delimited, of which consists of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in South Korea, and trunk injection trials were made with abamectin and emamectin benzoate. Branches of each tree were collected, and are subsequently subjected to the analysis of residues for both nematicides.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howed that abamectin and emamectin benzoate showed over 90% mortality at the recommended concentration after 6 days and 8 days, respectively.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both insecticides have a higher effect on the susceptibility and persistence of two vectors of PWD, M. alternatus and M. saltuarius feeding on branches of the trees, and its application by trunk injection is confirmed as an option for pine wilt disease management programs in Korea.

소나무 치수림 가꾸기가 솔수염하늘소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Habitation of Monochamus alternatus by Tending of Sapling Japanese Red Pine(Pinus densiflora) Forest)

  • 전권석;박남창;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4호
    • /
    • pp.528-533
    • /
    • 2010
  • 소나무 치수림 가꾸기의 시기별 산물의 조합이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의 서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2008년 9월, 야외에 망사 시험구(크기 $1\;m{\times}1\;m{\times}1\;m$) 6개를 설치하였다. 각 시험구 내에 숲 가꾸기 시기별 산물을 10개(길이 1 m, 중앙직경 1~2 cm)씩 투입한 다음 솔수염하늘소 암수 7쌍을 방사하여 후식시킨 후 2009년 11월에 시료목에 서식하는 유충을 조사하였다. 각 시험구(케이지) 내에 솔수염하늘소를 방사한 결과 솔수염하늘소 방사 당년도인 2009년 2월 중순, 2월 하순, 3월 중순, 3월 하순, 4월 중순, 5월 중순, 6월 중순, 솔수염 하늘소 방사 전년도인 2008년 10월에 숲가꾸기 한 산물을 한 케이지에 넣어 조합한 경우 2009년 3월 중순부터 6월 중순까지의 산물에는 솔수염하늘소의 유충이 발견되었으나, 2009년 2월 중순, 2월 하순 및 2008년 10월 중순의 산물에서는 유충이 출현하지 않았다. 그리고 2009년 2월 중순, 2월 하순, 3월 하순 및 2008년 10월 중순의 산물을 한 케이지에 넣어 조합한 경우 2009년 2월 중순, 2월 하순, 3월 하순의 산물에서는 유충이 출현하였으나, 2008년 10월 중순 산물에서는 유충이 출현하지 않았다. 그리고 2009년 2월 중순, 2월 하순 및 2008년 10월 중순 산물을 독립적으로 처리한 경우, 모든 시험구에서 유충이 출현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소나무 유령림 가꾸기의 경우 솔수염하늘소 방사시기 전년도인 10월부터 익년 2월 까지 숲가꾸기 한 산물에서는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중부지역 수목생장에 미치는 엘니뇨-남방진동(ENSO)의 영향 (Effects of El Nino-Southern Oscillation (ENSO) on Tree Growths in Central Korea)

  • 박원규;구경아;공우석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3-6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엘니뇨-남방진동(ENSO)이 한반도 중부지역의 수목 생장에 미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잣나무, 소나무, 주목을 대상으로 연륜분석을 실시하였다. 잣나무와 소나무는 설악산에서 각각 4개, 7개 지역에서 채취하였으며, 주목은 소백산의 1개 지역에서 채취하였다. 연륜 생장과 월 평균기온과의 상관관계를 구한 결과, 설악산 잣나무와 소백산 주목은 대체적으로 기온과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악산 소나무는 기온과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륜생장과 월별 남방진동지수(SOI)와의 상관관계를 구한 결과, 잣나무의 경우는 고도상 생육하한선인 설악산 한계령 하부 지역에서 4월 SOI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나머지 지역 잣나무는 모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소나무의 경우는 백담산장 지역에서 생육전년도 8월과 9월 SOI와 연륜생장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고지대에 자라는 지역의 소나무는 모두 상관이 인정되지 않았다. 엘니뇨가 발생하면 중부지역의 생육하한선에 자라는 잣나무는 생장이 양호해지는 반면에 저지대에 자라는 소나무의 경우 생장이 저하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 PDF

Biological Pretreatment of Softwood Pinus densiflora by Three White Rot Fungi

  • Lee, Jae-Won;Gwak, Ki-Seob;Park, Jun-Yeong;Park, Mi-Jin;Choi, Don-Ha;Kwon, Mi;Choi, In-Gyu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5권6호
    • /
    • pp.485-491
    • /
    • 2007
  • The effects of biological pretreatment on the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was evaluated after exposure to three white rot fungi Ceriporia lacerata, Stereum hirsutum, and Polyporus brumalis. Change in chemical composition, structural modification, and their susceptibility to enzymatic saccharification in the degraded wood were analyzed. Of the three white rot fungi tested, S. hirsutum selectively degraded the lignin of this sortwood rather than the holocellulose component. After eight weeks of pretreatment with S. hirsutum, total weight loss was 10.7%, while lignin loss was the highest at 14.52% among the tested samples. However, holocellulose loss was lower at 7.81 % compared to those of C. lacerata and P. brumalis. Extracelluar enzymes from S. hirsutum showed higher activity of ligninase and lower activity of cellulase than those from other white rot fungi. Thus, total weight loss and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the Japanese red pine was well correlated with the enzyme activities related with lignin- and cellulose degradation in these fungi.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analysis of physical characterization of degraded wood by X-ray Diffractometry (XRD) and pore size distribution, S. hirsutum was considered as an effective potential fungus for biological pretreatment. In particular, the increase of available pore size of over 120 nm in pretreated wood powder with S. hirsutum made enzymes accessible for further enzymatic saccharification. When Japanese red pine chips treated with S. hirsutum were enzymatically saccharified using commercial enzymes (Cellulclast 1.5 L and Novozyme 188), sugar yield was greatly increased (21.01 %) compared to non-pre treated control samples, indicating that white rot fungus S. hirsutum provides an effective process in increasing sugar yield from woody biomass.

농촌 소나무림에서 산불에 의한 식생변화와 유용미생물의 적용 (Vegetation Change after A Forest Fire in a Rural Japanese Red Pine Forest and Applications of Effective Microorganism)

  • 여지선;김기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6-56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natural restoration of vegetation through monitoring of the development of a vegetation community from 2006 through 2007 after a forest fire. Approximately 5,000 $m^2$ in a forest near Topyeon-ri, Kangnae-myeon, Chungcheongbuk-do with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and its floor vegetation had been completely burned by a fire in April 2005. This area and another nearby Japanese red pine forest were selected as the experiment site and the control site, respectively. Vegetation survey was conducted at the experiment site and the control site. A seed bank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greenhouse to examine underground vegetation. Effective microorganism(EM) was applied to the seed bank experiment to estimate its effects on the direction of ecological succ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a total of 36 plant species including shrub and herbaceous species were discovered in the experiment site. Quercus serrata, Lespedeza cyrtobotrya, and Castanea crenata, Rubus crataegifolius, Oplismenus undulatifolius, and Carex lanceolata were among the most abundant species. Biomass in the experiment site reached 2.4 times biomass than those in the control site, indicating the productivities of shrub and herbaceous layers are better in the experiment sit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oil seed bank experiment of the experiment site, a total of 182 plants of 14 species were recorded. In addition, a total of 13 plants of 2 species were found from soil seed bank of the experiment site applied by EM. If EM is applied to the burned site, it will control the budding of herbaceous plants, creating the gap between herbaceous plants. This loss of competition is expected to help the restoration of trees in the burned area.

산불로 인한 지표층 연소량 및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Estimation of Biomass Loss and Greenhouse Gases Emissions from Surface Layer Burned by Forest Fire)

  • 이병두;윤호중;구교상;김경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286-290
    • /
    • 2012
  • 산불은 전 세계적으로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여 지구온난화에 기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산불로 인한 지표층 연료의 연소량과 이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1개 산불을 대상으로 소나무림과 활엽수림으로 구분하고, 다시 지표화와 수관화 피해 지역으로 나누어 잔존 연료량을 채취하여, 미연소 지역의 연료량과 일원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활엽수 지표화 지역은 8,361 kg/ha, 소나무 지표화 지역은 8,055 kg/ha, 소나무 수관화 지역은 12,333 kg/ha이 연소되어, 수종별 산불행태별로 차이가 있었다. 이때의 연소율은 각각 78, 59, 90%이었다. 이산화탄소, 메탄, 아산화질소 등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활엽수 지표화 연소지역 15,856 kg/ha, 소나무 지표화 연소지역 14,834 kg/ha, 소나무 수관화 연소지역은 약 22,709 kg/ha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