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anese Kimchi.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4초

파김치에 대한 중국인과 일본인 소비자의 인식 및 요구도 분석 (Perception and requirement of Green Onion Kimchi by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 이민아;김은미;오세욱;홍상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6-302
    • /
    • 2010
  • A survey on the quality improvement and preference for green onion kimchi by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was conducted by 30 Korean specialists in order to develop an improved green onion kimchi product. The long green onion shape, kimchi juice, seasonings, off-odor of fermented sea food, and stimulatory flavor of green onion were the main issues considered for the improvement of green onion product. Usage of the favorite ingredients of the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was also suggested. The percentages of Chinese and Japanese who already knew green onion kimchi were 54.1% and 30.3%, respectively, whereas 46.8% of Chinese and 28.1% of Japanese have actually tried green onion kimchi in Kore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for green onion kimchi between Chinese (3.25/5.0) and Japanese (3.17/5.0) consumers. For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green onion, Chinese consumers thought off-flavor, fibrous texture, and fermentation level were more significant while the Japanese considered red color, various taste, MSG content, and length of green onion. Seasoned tofu with green onion and rice were suggested as complementary foods to green onion kimchi by the Chinese and Japanese, respectively.

토하젓 첨가 배추김치의 숙성 중 한국인과 일본인의 관능적 특성 평가 (Sensory Evaluations of Characteristics in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during the Fermentation by Koreans and Japanese)

  • 박영희;이성숙;정난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2-43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by Koreans and Japanese. The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the following 9 items such as color, savory taste, carbonated taste, sour taste, hot taste, salty taste, off flavor,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Sensory evaluation of kimchi was tested by Koreans or Japanese whose ages vary from 30 to 50 years old and each group had 25~30 evaluators. Kimchi at different stages of fermentation day 0, 10 and 18th was evaluated. Saltiness of kimchi was 1.5~2.1% through the fermentation period and pH of kimchis was decreased from pH 5.4~5.6 to 4.3~4.4 during the fermentation. The sensory evaluation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by Koran and Japanese showed the differences in evaluation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The color,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fermentation for 10th days was scored significantly high by Korean group while the score for the savory taste was in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The hot taste preference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fermented 18th days scored significantly high and also in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by Japanese group. The overall preference of Toha-jeot added cabbage kimchi by Japanes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cabbage kimchi tested at 10 and 18th days fermentation.

  • PDF

김치에 대한 일본인의 인식 및 기호도 조사 (A Surrey of Japanese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imchi)

  • 한재숙;최영희;김영진;김태선;한준표;일본명;일본명;일본명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2-4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Japanese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imchi.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605 Japanese (male 224, female 381) residing in Kobe, Kyoto, Osaka, Himezi, and Tokyo. Of the respondents, 90.2% have not visited Korea however, 83.3% experienced Korean food. On their first impression of Kimchi, 56.9% answered that it was ‘good’, and 65.4% answered ‘good’ for their after taste impression. Total 92.7% of the respondents, answered nationality of kimchi is ‘Korea’. The most familiar kimchi is Baechu kimchi, and they preferred the part from white stem of the Chinese cabbage. On their perception of kimchi, ‘Kimchi is stamina food’ had the highest score of 4.17${\pm}$1.11 from male and 4.25${\pm}$0.85 from female, respectively. Their favorite sub-materials were red pepper (37.4%), radishes (33.6%) and garlic (28.4%), and unfavorable sub-materials were anchovy (28.4%) and garlic (16.5%). The most popalar dishes using Kimchi were Kimchi Ramyun (84.0%) and Kimchi Bokumbab (60.7%).

  • PDF

토하젓 첨가 갓김치의 숙성 중 관능적 특성 평가 - 전남지역 일부 한국인과 일본인을 대상으로 - (Sensory Evaluations of Characteristics in Toha-Jeot Added Mustard Leaf Kimchi during the Fermentation - By Koreans and Japanese in Jeonnam Province -)

  • 박영희;이성숙;정난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5-36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oha-jeot added mustard leaf kimchi by Koreans and Japanese in Jeonnam Province. The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the following 9 items such as color, savory taste, carbonated taste, sour taste, hot taste, salty taste, off flavor,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The test was done by the group of kimchi was tested by Koreans or Japanese with the age from 30 to 50 years, and each group contained 20~25 evaluators. Kimchi at different stages of fermentation day 0, 10 and 18th during fermentation at $4^{\circ}C$ for 4weeks was evaluated. During the fermentation period saltiness of kimchi was 2.25~1.77% and pH of kimchis was decreased from pH 5.6~5.8 to 4.2~4.6. The score for the sour taste, texture and overall preference of Toha-jeot added mustard leaf kimch increased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in Japanese group. The overall preference of Korean and Japanese groups for Toha-jeot added mustard leaf kimchi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mustard leaf kimchi tested at 10th and 18th days fermentation.

  • PDF

한국산 및 일본산 봄배추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김치의 품질특성과 기능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ies of Korean and Japanese spring Baechu cabbages and the kimchi prepared with such cabbages)

  • 박소은;봉연주;김희영;박건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54-86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봄배추와 일본산 봄배추의 품질특성과 기능성을 살펴보고, 이 배추를 이용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5^{\circ}C$에서 4주 동안 발효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in vitro 건강 기능성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품질특성으로 수분함량, pH, 산도, 총균수, Lactobacillus sp.의 수, Leuconostoc sp.의 수, 조직감, 관능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적숙기에서의 항산화, in vitro 항암 기능성 실험을 하였다. 일본산 배추는 97.1%의 수분을 함유하였고 한국산 배추는 92.4%의 수분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나 일본산배추가 한국산 배추에 비해 높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었다. 생배추와 절임배추에서 한국산 배추가 일본산 배추보다 탄력성이 높았고 4주간 숙성한 김치의 탄력성은 한국산 김치가 53.5%로, 일본산 김치(41.4%)보다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산 배추로 제조하여 발효한 김치는 총균수는 낮으면서 젖산균인 Lactobacillus sp.와 Leuconostoc sp.의 수는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한국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의 관능적 만족도가 높게 평가되었다. 발효 3주차의 김치를 이용하여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한국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는 83.2%, 일본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는 46.1%로 한국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에서 약 2배 정도 높은 DPPH radical 소거효과를 나타냈다. AGS 인체 위암세포에 김치의 메탄올 추출물을 1 mg/mL의 농도로 처리했을 때 한국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는 45%, 일본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는 26%의 암세포 성장 저해율을 나타냈고, 2 mg/mL의 농도에서는 각각 97%, 74%의 암세포 성장 저해율을 나타내어 한국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에서 저해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한국산 배추의 품질이 우수하고 이로 제조한 김치가 일본산 배추로 제조한 김치보다 품질이 우수하고 더 높은 항산화 및 항암기능성(AGS 위암세포)을 나타내었다.

한일 시판 배추김치의 품질특성 비교 (A Comparis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Commercial Baechu Kimchi)

  • 한재숙;조연숙;이신정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9호
    • /
    • pp.85-92
    • /
    • 2003
  • Recently, the consumption of commercial kimchi in Korea has increased over 30% and continues to grow rapidly. Similarly, over 50% of Japanese pickles(Tsukemono) have changed to kimchi and most of them are commerica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mopare and contrast Korean commerical kimchi to Japanese commerical kimchi. Furthermore, it is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the consumers and suppliers as well as to improve the quality of commercial kimchi. Five different kinds of materials were used; (A) and (B) kimchi that were made and sold in Korea, (C) and (D) kimchi that were made and sold in Japan, and (E) kimchi made in Korea, but sold in Japan. The kimchi purchased on April 20th, 2002 and sensory evaluation, respectively, and they were preserved at $5^{\circ}C$. For the quality index, the followings contents were measured; moisture, ash, protein, crude lipid, mineral and capsaicin. In addition, pH, acidity and sensory evaluation for kimchi stored at $5^{\circ}C$ were measured for four weeks.

한일양국(韓日兩國)의 전통식품에 관한 식품학적(食品學的) 비교연구(比較硏究) -한국김치, 일본지물(漬物)과 젓갈류(類) 중(中)의 무기질 함량의 차이(差異)- (Food Scientific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Korean and Japanese Foods -Difference of inorganic cation contents between Kimchi, Japanese pickles and Salted and fermented fish intestines-)

  • 김자헌태랑;김천호;김전상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15-222
    • /
    • 1991
  • 한국의 김치와 일본의 지물(漬物), 그리고 한일양국의 젓갈류는 공통(共通)의 전통식품이다. 이들 식품을 식품학적 관점에서 비교, 검토하는 것은 한일양국간의 식문화의 공통성과 상위성 그리고 독자성을 파악하는데 중요하다고 보아 금번 이들 전통식품의 무기질을 분석, 비교 검토했다. 1. 한국의 김치 중의 식염농도는 1.8%이고 일본지물(日本漬物)는 $1.8{\sim}5.3%$(저농도 조미지물(漬物) : 2.8%, 일본산김치 : 1.8%, 간장지물(漬物) : 5.3%)이다. 2. 김치의 Na/K치는 1.7이고 지물(漬物)의 Na/K치는 $2.6{\sim}27.3$(저조미농도지물(漬物) : 4.6, 일본산김치 : 2.6, 간장지물(漬物) : 27.3)이다. 3. 김치는 지물(漬物)보다 식염이 적고 Na/K치가 낮으므로 고혈압의 원인이 되는 식품으로 볼 수 없는 것으로 사려된다. 4. 김치 중의 K, Ca, Mg는 지물(漬物)보다 현저하게 높다. 5. 김치 중에는 어개류를 통해 들어온 Ca량(量)이 높고 지물(漬物)에는 식물성식품에 의한 Ca이 들어 있다. 6. 한국의 젓갈은 일본에 비해 식염과 Na양이 많고 Na/K치도 높다. 이상의 결과에서 양국간에 유사성이 보이는 김치와 지물(漬物)에서 그 재료와 식습관상의 차이점이 나타났고 김치는 다양한 식품이 혼합되어 복합적인 맛을 내나 일본은 단순, 단백한 맛을 기호하는 각각(各各)의 특징이 보이고 있다.

  • PDF

한국, 일본, 중국 김치의 품질 비교 분석 (Comparative quality analysis of kimchi products manufactured in Korea, Japan, and China)

  • 이혜진;정수연;김재환;유승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7호
    • /
    • pp.967-976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김치의 수출 촉진을 위한 품질 차별화를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위해서 현지 수출 시장에서 제조된 김치와 한국에서 제조된 김치의 품질을 비교 분석하였다. 한 중 일 삼국의 김치는 이화학적 특성(pH, 산도, 염도), 미생물적 특성, 관능적 특성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각국의 김치 재료 및 제조 방법 등이 김치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관능적 품질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저장 기간 동안 한국김치는 Lactic acid bacteria, Lactobacillus spp., Leuconostoc spp.와 전체적인 관능 기호도에서 높은 값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한국 김치 품질의 우수성을 증명하고 타 국가에서의 김치 소비 특성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산 및 일본산 배추를 이용하여 제조한 한국식 김치와 일본식 김치의 품질 특성과 기능성 비교 (Comparing the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of Kimchi Made with Korean or Japanese Baechu Cabbage and Recipes)

  • 김희영;길정하;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20-526
    • /
    • 2013
  • 한국산 배추와 일본산 배추를 이용하여 한국식 및 일본식 김치를 제조하여 $5^{\circ}C$에서 4주간 발효시켰다. 발효 2주차부터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는 일본산 배추로 만든 김치보다 pH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p<0.05), 산도는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가 일본산으로 만든 것보다 발효 시간이 지날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발효 3주차부터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는 일본산 배추로 만든 김치에 비해 총균은 낮고 유산균은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중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의 총균수가 가장 낮았고 유산균수는 가장 높았다. 조직감은 김치 제조 직후부터 4주차까지 한국산 배추의 조직감이 일본산 배추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평가에서 종합적인 평가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였으며, 일본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DPPH assay에서는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의 저해율이 9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서 한국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92%), 일본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91%), 일본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88%)로 나타났다. AGS 인체 위암세포를 이용한 in vitro 항암실험에서는 한국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의 저해율이 6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는 57%, 일본산 배추로 만든 한국식 김치38%, 일본산 배추로 만든 일본식 김치 26%로 나타나 DPPH assay와 같은 경향을 보여 일본산 배추보다 한국산 배추로 만든 김치의 항산화 및 항암 기능성이 더 높았다(p<0.05). 따라서 한국산 배추가 일본산 배추보다 김치의 주재료로서 더 적합하며, 이러한 한국산 배추를 이용하여 한국 전통 제조 방법으로 만든 김치가 일본인의 입맛에 맞게 변형된 방법으로 만든 김치보다 맛과 기능적인 면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 지리적표시제 도입에 대한 주요 수출시장 소비자 의향 및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Consumer's Intentions and Effects on the Introduction of Kimchi into a Geographical Indication System in Major Export Markets)

  • 박기환;서홍석;신성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8-175
    • /
    • 2019
  • Although Kimchi is a Korean traditional food, domestic consumption has been decreasing steadily and the trade inversion phenomenon has reached a serious level due to the surge of Chinese Kimchi imports. Moreover, cases where foreign Kimchi is transformed illegally into Korean Kimchi are frequent, which impedes the expansion of Korean Kimchi exports. To sustain the Korean Kimchi industry in a situation where the domestic and overseas conditions are deteriorating, it is necessary to positively review the introduction of Kimchi into a geographical indication (GI) system. This study examined the intention of foreign consumers to purchase Korean Kimchi with GI and analyzed the impact on the trade balance. Approximately 42.8% of 500 Japanese consumers answered that they would purchase Korean Kimchi with GI and they were willing to pay 7.8% more than the present price. Approximately 78.7% of 300 Taiwanese consumers replied that they purchase it and would pay 25.1% more. In addition, Japanese and Taiwanese consumers reported that they expected to increase their Korean Kimchi purchases by 21.9 and 22.4%, respectivel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effects of the trade balance were measured using the methodology of a preliminary impact assessment using the KREI-KASMO model. The trade balance of Kimchi is expected to improve slightly at an annual average of 11.718.6 million US$ to as much as 27.7~35.8 million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