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ND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8초

실내 공간 내 지향성 마이크 어레이에서의 음성 명료도 개선을 위한 벽면 흡음 처리 방법 (A method of wall absorption treatment for enhancing the speech intelligibility at a directional microphone array in a room)

  • 고병윤;이정권;조완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49-659
    • /
    • 2021
  • 벽면 흡음 처리는 잔향의 제어에는 효과적이나, 잔향이 큰 공간의 경우에는 넓은 면적에 대한 적용이 필요하며, 각 벽면의 흡음은 음성 명료도에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 음성 명료도의 관점에서 빔포밍 수음장치에 대한 잔향 제어를 위해 흡음 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벽을 선택하는 모사 방법을 제안한다. 고정된 위치의 빔포밍 수음어레이에 대해, 화자 혹은 스피커에서 방출된 음향이 각 벽면과 충돌하는 변수를 이용해 벽면 중요도 계수를 정의하고, 이를 이용해 흡음 처리에 따른 수음부의 음성개선 효과를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검증을 위해 체적이 107 m3, 잔향 시간이 1.1 s인 직육면체형 실내공간에 대해 모사 실험을 진행했다. 중요도 계수가 가장 높은 벽면에 헬름홀츠 흡음기를 적용할 때 수정된 음성 명료도는 500 Hz, 1 kHz에서 각각 5.1 dB와 4.8 dB, 또 음성전달 지수는 0.06만큼의 향상이 예측되었는데, 이는 상용코드의 계산 결과와 차이인지 역치(Just-Noticeable Difference, JND) 이내의 차이로 일치했다. 분석결과, 벽면 중요도가 가장 높은 곳에 흡음 처리한 결과는 면적이 가장 넓은 천장에 같은 흡음률을 적용할 때보다 음성 명료도 지수가 JND 이상으로 더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냉장고 소음 ACF 요소의 최소인지한계량 조사 (Just noticeable difference of autocorrelation function (ACF) parameters of refrigerator noise)

  • 유진;정충일;전진용;조문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442-1445
    • /
    • 2007
  • Just noticeable differences (jnds) of autocorrelation function (ACF) parameters - Phi (0), Tau 1 and Phi 1 - of household refrigerator noise were investigated by psychoacoustical analyses. Phi (0) of five refrigerators' noise was changed with equal (${\pm}$) interval level of 0.5-1.0 dB up to five intervals by manipulating sound pressure level of the noise. Tau 1 and Phi 1 were varied with equal (${\pm}$) interval of around 0.10 ms and 0.02, respectively. Pitch shifting and strengthen methods were applied for the Tau 1 and Phi 1 variations. As results of subjective evaluations, about 2.0 dB was shown as jnd of Phi (0). The values of 0.30 ms and 0.06 were found as jnds of Tau 1 and Phi 1, respectively. The jnd results of each ACF parameter can be applied to explain substantial amount of sound quality (SQ) enhancement in the SQ prediction indices which were proposed in the authors' previous study [Sato et al. (2007) J. Acoust. Soc. Am.].

  • PDF

An Investigation of Perceived and Performed Sound Durations

  • Jeon, Jin-Yo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5권3E호
    • /
    • pp.86-94
    • /
    • 1996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the way in which sound durations are perceived, and to attempt to explain the hidden mechanisms of the duration perception in music performances. Thre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difference limen for the perception of sound duration and to find the effects of frequency and intensity on duration discrimination. For short duration tones ranging from 25 to 100 msec, a linear improvement in discrimination judgements was found with increasing duration of signal. The JND was constant for durations between 100 msec and 2 sec. However, for extended stimulus durations (more than 2 sec) the JND was again linearly improved. Subjects were also presented with a pair of stimuli, composed of high and low frequency pure tones, and asked to discriminate differences in duration of the two tones and ignor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the tones. It was found that subjects perceived the higher frequency to be longer in duration. When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nsity on duration discrimination it was found that a 20 phon difference makes subjects perceive the louder stimulus as longer than the quieter stimulus. Finally, in a performance study, an analysis of musical performances revealed the effect of frequency. It was found that the musicians played the higher notes shorter than the lower notes. This agrees with what was previously found in the work on the perception of tones.

  • PDF

Content Adaptive Watermarkding Using a Stochastic Visual Model Based on Multiwavelet Transform

  • Kwon, Ki-Ryong;Kang, Kyun-Ho;Kwon, Seong-Geun;Moon, Kwang-Seok;Lee, Joon-Jae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ITC-CSCC -3
    • /
    • pp.1511-1514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content adaptive image watermark embedding using stochastic visual model based on multiwavelet transform. To embedding watermark, the original image is decomposed into 4 levels using a discrete multiwavelet transform, then a watermark is embedded into the JND(just noticeable differences) of the image each subband. The perceptual model is applied with a stochastic approach fer watermark embedding. This is based on the computation of a NVF(noise visibility function) that have local image properties. The perceptual model with content adaptive watermarking algorithm embed at the texture and edge region for more strongly embedded watermark by the JND. This method uses stationary Generalized Gaussian model characteristic because watermark has noise properties. The experiment results of simulation of the proposed watermark embedding method using stochastic visual model based on multiwavelet transform techniques was found to be excellent invisibility and robustness.

  • PDF

개선된 영상 생성 모델에 기반한 칼라 영상 향상 (Color Image Enhancement Based on an Improved Image Formation Model)

  • 최두현;장익훈;김남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3권6호
    • /
    • pp.65-8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영상 생성 모델을 제시하고, 제시된 모델에 기반한 칼라 영상 향상을 제안한다. 제시된 영상 생성 모델에서는 입력 영상을 전역 조명 성분과 국부 조명 성분, 그리고 반사율 성분의 곱으로 표현한다. 제안된 칼라 영상 향상에서는 RGB 입력 칼라 영상을 HSV 칼라 영상으로 변환한 다음, 백색광 조명 상태라는 가정 하에 개선된 영상 생성 모델에 근거하여 V 성분 영상만을 향상한다. 전역 조명 성분은 입력 V 성분 영상에 유효 영역이 넓은 선형 저대역 필터를 적용하여 추정하고, 국부 조명 성분은 입력 V 성분 영상에서 추정된 전역 조명 성분이 제거된 영상에 유효 영역이 좁은 JND (just noticeable difference) 기반의 비선형 저대역 필터를 적용하여 추정한다. 그리고 반사율 성분은 입력 V 성분 영상에 추정된 전역 조명 성분과 국부 조명 성분을 나누어 추정한다. 이어서 이들 추정된 성분에 감마 수정을 각각 적용하고 그 결과들을 곱하여 출력 V 성분 영상을 얻은 다음 히스토그램 모델링을 적용하여 최종 출력 V 성분 영상을 얻는다. 마지막으로 최종 출력 V 성분 영상과 입력 H 성분 영상 및 S 성분 영상으로부터 출력 RGB 칼라 영상을 얻는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은 NASA 홈 페이지로부터 다운받은 칼라 영상과 MPEG-7 CCD 칼라 영상으로 구축한 시험 영상 데이터 베이스에 대하여 후광 효과가 거의 억제되고 색상 변화가 거의 없으면서 전역 대비와 국부 대비를 동시에 잘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HDR 영상 복원을 위해 대비와 텍스쳐 영역 정보를 고려한 혼합 톤 매핑 기법 (Hybrid Tone Mapping Technique Considering Contrast and Texture Area Information for HDR Image Restoration)

  • 강주미;박대준;정제창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96-508
    • /
    • 2017
  • 본 논문은 전역적 대비를 보존하는 동시에 경계 정보를 정확히 보존할 수 있는 혼합 톤 매핑 기법 (Tone Mapping Operator: TMO)을 제안한다. 우선, 넓은 동적 영역 (High Dynamic Rangae: HDR) 영상을 낮은 동적 영역 (Low Dynamic Range: LDR) 디스플레이에 적합하게 압축하기 위해 인간의 시각 시스템 (Human Visual System: HVS)에 기반한 임계 값 대 밝기 값 (Threshold vs. Intensity: TVI) 함수와 영상의 대비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영상의 전역적인 대비를 보존할 수 있었다. 또한, 가이디드 영상 필터링 (Guided Image Filtering: GIF)을 이용하여 검출된 경계 정보와 변화감지역 (Just Noticeable Difference: JND) 모델의 공간적 마스킹을 이용하여 검출된 경계 정보를 결합함으로써 영상의 경계를 보존하고 출력 영상의 인지적 화질을 향상시켰다. 기존에 TMO들은 크게 전역적 톤 매핑 (Global Tone Mapping: GTM)과 지역적 톤 매핑 (Local Tone Mapping: LTM)으로 분류되었다. GTM은 전역적인 대비를 보존하며 구현이 단순해 실행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영상의 경계 정보가 손실되며 지역적 대비를 보존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 LTM은 영상의 지역적 대비와 경계 정보를 잘 보존하였지만 경계 영역에서의 헤일로 열화 현상의 발생과 같이 일부 영역이 부자연스럽게 표현되는 경우가 발생하였으며 GTM과 비교하여 높은 계산 복잡도를 가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GTM과 LTM의 장점을 결합하여 전역적인 대비를 보존하는 동시에 영상의 경계 정보를 보존하는 TMO를 제안하였으며 실험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톤 매핑 기법이 인지적 화질 측면에서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변형된 영상 생성 모델을 이용한 칼라 영상 보정 (Color Image Rendering using A Modified Image Formation Model)

  • 최호형;윤병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1호
    • /
    • pp.71-79
    • /
    • 2011
  • 이미징 파이프라인(imaging pipeline)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되는 영상을 원영상과 비슷하게 변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감마 조정 혹은 히스토그램기반 방법이 영상대비와 세부 영역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조도성분과 색도성분이 위치에 따라 변화하므로 영상 개선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MSR (Multi-Scale Retinex) 기법이 제안되었으며, 이는 영상에 따른 가우시안 필터의 크기에 의존하며, 독립적인 로그 신호를 기반으로 한다. 그러므로 영상 보정 후 후광효과(Halo), 색상변화(Color change or graying-out), 특정 색상의 두드러짐 등의 영상 왜곡(image distortion)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영상을 전역조명성분, 국부조명성분, 반사성분으로 나누는 새로운 색상 보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 전역조명성분은 가우시안 필터를 작용하여 획득하며, 국부 조명성분은 JND(Just-noticeable difference)기반 적응적 필터를 적용하여 획득한다. 반사성분은 원 영상에 획득된 전역조명성분과 국부조명성분으로 나누어 줌으로써 획득된다. 개선된 영상은 멱함수(power function)를 수행한 후 이들의 곱으로 획득되며, sRGB로 표현된다. 실험 결과에서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영상특성에 기반한 통계적 판정법을 이용한 적응 워터마크 검출 알고리즘 (Adaptive Watermark Detection using Stochastical Decision Rule Based on Image characteristics)

  • 황의창;김희정;김현천;김종진;권기룡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상)
    • /
    • pp.104-10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웨이브릿 영역에서 HVS 및 NVF 함수를 사용하여 영상특성에 기반한 통계적 판정법을 이용한 적응 워터마크 검출 알고리즘을 판정법을 제안한다. 워터마크는 4레벨로 분해된 웨이브릿 영역에서 JND(just noticeable difference) 특성과 NVF(noise visibility function)를 이용한 통계적 특성을 기반으로 정상상태 가우시안 모델에 따라 지각적 동조 특성을 이용하여 적응적으로 삽입하고, Bayes 이론 및 Neyman-Pearson 정리를 이용한 통계적 판정법을 이용하여 워터마크를 추출함으로써 기존의 통계적 판정법 보다 정확하게 워터마크 존재 유무를 판정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JACE 그룹통신시스템을 이용한 JNDS의 설계 (Design of JNDS using JACE group communication system)

  • 문남두;김진홍;안건태;박양수;이명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3)
    • /
    • pp.284-286
    • /
    • 2000
  • 명명(Naming) 서비스 및 디렉토리(Directory) 서비스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사용자 PC, 서버, palm, 인터넷 응용서비스, 네트워크 장치, 자바 객체 등에 표준 이름을 부여하여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논리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이다. JNDI(Java Naming and Directory Interface)는 기업 내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명명 서비스와 디렉토리 서비스에 대하여 단일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룹통신 시스템인 JACE 시스템을 이용하여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산된 명명 서비스와 디렉토리 서비스가 프로세스 그룹으로 동작될 수 있는 JNDS(Java Naming and Directory System)의 설계에 관하여 기술한다.

  • PDF

Fuzzy Logic을 이용한 영상분할 알고리즘 (Image Segmentation Algorithm with Fuzzy Logic)

  • 이상진;황성훈;려지환;정호선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28B권9호
    • /
    • pp.719-726
    • /
    • 1991
  • The symplified segmentation method was proposed for hardware implementation based on the human visual system. The segmentation method using fuzzy logic and just noticeable difference(JND) is composed of pre-filtering, initial segmentation and post processing. Experimental coding results show that reconstructed image using the proposed method is good on visual percerption even at a high compression ratio of 30: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