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IP analysis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3초

건조스트레스가 수리취의 광합성 및 수분관련 특성에 미치는 영향 (Drought Stress Influences Photosynthesis and Water Relations Parameters of Synurus deltoides)

  • 이경철;이학봉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3호
    • /
    • pp.288-299
    • /
    • 2017
  • 이 연구는 건조스트레스가 수리취의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으며, 건조스트레스는 25일 간의 단수처리를 통해 유도하였다. 건조스트레스가 진행됨에 따라 새벽 녘 수분포텐셜(${\Psi}_{pd}$)과 정오의 수분포텐셜(${\Psi}_{mid}$)이 모두 감소하였으며, 수분불포화도(WSD)는 약 7배 증가하였다. 특히 일중 수분포텐셜차(${\Psi}_{pd}-{\Psi}_{mid}$)는 처리 후 10일까지 0.22~0.18 MPa 범위로 큰 차이를 나타냈으나 이후에는 차이가 크게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수리취는 건조스트레스 처리 후 15일부터 기공전도도와 기공증산속도의 감소가 두드러졌고, 처리 20일 이후에는 최대광합성 속도와 순양자수율 역시 큰 폭으로 감소한 반면 수분이용효율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기공을 통한 $CO_2$와 수분의 조절이 원활하지 못해 광합성량의 감소가 일어난 것을 의미한다. JIP 분석을 통해 단수처리 15일 이후에 기능지수($PI_{ABS}$) 및 에너지전달 효율의 감소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계 2의 활성이 감소한 것을 보여준다. 엽의 원형질 분리시 삼투포텐셜 ${\Psi}_o{^{tlp}}$은 -0.4 MPa, 최대포수시의 삼투포텐셜 ${\Psi}_o{^{sat}}$은 -0.35 MPa의 삼투적 적응 반응을 나타냈으며, 최대탄성계수($E_{max}$)의 탄성적 적응은 9.4 MPa로 나타나 수리취는 건조스트레스에 따라 삼투적 적응과 탄성적 적응이 모두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Vo/DW, Vt/DW와 같은 수분특성인자는 건조스트레스에 따라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수리취는 새벽녘 엽수분포텐셜이 -0.93 MPa 이하로 저하되면 광합성 활성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고, 건조스트레스에 따라 삼투적 적응과 탄성적 적응이 나타나 이것이 이 식물의 중요한 적응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FASTRAC 연소기에서 음향공을 이용한 연소불안정 제어 사례 연구 (Case Study on Combustion Stabilization in FASTRAC Thrust Chamber Using Acoustic Cavities)

  • 김홍집;김성구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29-36
    • /
    • 2012
  • 연소시험을 통한 성공/실패 사례가 있는 FASTRAC 연소기에 대해, 효용성이 검증된 3차원 선형 음향해석을 수행하여 음향공의 물성치 변화에 따른 감쇠 특성을 파악하였다. 음향공의 동조주파수와 감쇠능력을 정량화하기 위해 음향 임피던스 개념을 도입하였다. 기하학적 형상이 주어진 상태에서, 음향공 내부의 음속 변화에 따라 최적의 동조가 가능한 음속을 파악하였다. 최적의 동조가 이루어지기 위한 음향공 내부의 음속 예측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여러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는 음향공에 대하여 적용하여 감쇠능력을 정량화함으로써 연소안정성의 확보 여부에 대한 검토가 가능할 것이며, 안정성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에 대해서는 그 이유를 명확하게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Kaempferol의 MAPK 신호 조절을 통한 심근염 유발 엔테로바이러스 증식 억제 (Kaempferol Inhibits Enterovirus Proliferation through MAPK Signal Regulation)

  • 장진화;정해인;임병관;남상집
    • 생약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73-178
    • /
    • 2017
  • We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single compound of plant extract in coxsackievirus B3 (CVB3) infection. CVB3 is a main cause of Hand-foot-mouth diseases (HFMD) and viral myocarditis in children and adult. Several single compounds of plant extract were purified by HPLC and tested as antiviral drug candidate. Among them, kaempferol was selected to effective anti-enterovirus compound by HeLa cells survival assay. CVB3 infected HeLa cells were treated with kaempferol ($100{\mu}g/ml-100ng/ml$) and their antiviral effect was confirmed. After 16 hours of treatment, HeLa cells were lysed and proteins were extracted for western blot analysis. CVB3 viral capsid protein VP1 production and transcription factor eIF4G-1 cleavag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100{\mu}g/ml$ kaempferol treatment. Virus replication was observed by virus RNA amplification. Kaempferol strongly reduced virus positive and negative strand RNA amplification. Moreover, MAPK signal induced by CVB3 infection, pERK and pmTOR, kaempferol treatmen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activity. Plant extract single compound, kaempferol, is a strong candidate to be developed non-toxic anti-enterovirus treatment agent.

음향공 형상에 따른 연소 불안정 제어 효과 (The effects of the Control of Combustion Instabilities in accordance with various Acoustic Cavities)

  • 차정필;양재준;서주형;김홍집;고영성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6년도 제26회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3-76
    • /
    • 2006
  • 액체 로켓엔진에서의 고주파 연소불안정 제어를 위한 수동 안정화 제어 기구로 음향공을 적용하여 감쇠 효과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음향공의 기하학적 형상에 따른 음향 감쇠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주요 설계 변수를 변화시킨 음향공 모델에 대해 유해 공진주파수 감쇠 효과를 정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선형음향해석과 실험적 방법 모두 만족할만한 일치성을 나타내었으며, 오리피스 입구 면적이 가장 크거나 오리피스 길이가 가장 짧은 경우에서 감쇠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음향공을 이용한 최적의 음향공 제어를 위해서는 음향공 부피를 고려한 최적기 음향공 설계가 절대적으로 필요함을 입증한다.

  • PDF

막냉각 모형을 이용한 액체로켓엔진 연소기의 열해석 (A Thermal Analysis of Liquid Rocket Combustors using a Modelling of Film Cooling Performance)

  • 김홍집;조원국;문윤완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85-92
    • /
    • 2006
  • 액체로켓엔진의 막냉각 성능 예측을 위한 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저혼합비 가스층이 가지는 열차단 효과를 CFD를 적용하여 해석하였다. CFD 해석 결과에 기반한 1차원 막냉각 모델을 기존의 재생냉각 프로그램에 적용하였다. 축소형 calorimetric 연소기와 실물형 연소실의 열유속 시험 데이터비교를 통하여, 비록 과다예측 특성을 보이기는 하지만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 이로서 막냉각이 로켓엔진의 노즐목의 열하중 감소에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막냉각량에 따른 축소형 칼로리미터의 열유속 특성에 관한 연구 (Film cooling Effects on Wall Heat Flux of a Subscale Calorimetric Combustion Chamber)

  • 김종규;임병직;서성현;한영민;김홍집;최환석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93-99
    • /
    • 2006
  • 막냉각량과 작동점의 변화에 따른 축소형 칼로리미터의 열유속 특성을 실험과 해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칼로리미터의 실린더 부분은 8개의 채널로, 노즐부는 11개의 채널로 구성되어 있다. 설계점 연소시험 시 막냉각량이 전체 연료유량의 10.5%일 때 노즐목에서의 열유속은 막냉각이 없을 때보다 약30% 감소하였다. 또한 막냉각이 없을 경우, 고압-고혼합비 조건 연소 시험 시 노즐목에서의 열유속이 설계점 시험 시보다 약 31% 증가함을 보였다.

지반특성을 고려한 연직배수재의 통수능 시험 및 선정 (The Discharge Capacity Test & Vertical Drain Adoption Considering the Ground Condition)

  • 정헌철;신경하;정기문;허집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7년 가을학술발표회
    • /
    • pp.373-382
    • /
    • 2007
  • In the vertical drain method, discharge capacity is generally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ch affect on the estimation of the drain efficiency. However, adopting the drain considering discharge capacity only is not sufficiently considered method so that systematic criteria for adoption is necessary to choose the most suitable drain. Therefore, this study represents the application method considering behavior of the ground and vertical drain which is coupled together and ground improvement efficiency analyzing various cases of discharge capacity test performed in the recent soft ground improvement projects. According to the analysis, most drains tend to satisfy the required discharge capacity. It presents that deformed shape of the drains and well resistance estimation along the ground settlement, improvement efficiency by water content ratio along the depth and shear strength obtained after ground improvement should be considered altogether with the discharge capacity to select the proper drain. Also, appropriate adoption of drain material considering the ground condition is vital through analyzing the field measured data and comparing the result of the discharge capacity test as various vertical drain materials are being constructed continuously.

  • PDF

액체로켓엔진 연소실에서의 상온 음향 시험 (Acoustic Tests on Atmospheric Condition in a Liquid Rocket Engine Chamber)

  • 고영성;이광진;김홍집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28권1호
    • /
    • pp.16-23
    • /
    • 2004
  • Acoustic characteristics of unbaffled and baffled combustion chamber a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under atmospheric condition to preliminarily determine baffle for mitigation of combustion instabilit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baffle which has several configurations such as radial baffles and hub/blade baffle, resonant-frequency shift and damping factors of the chamber were analyzed and compared quantitatively with those of the unbaffled combustion chamber. From a view of acoustic characteristics, radial baffles with several configurations have not much difference in resonant-frequency shift and damping factor ratio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hub and blade baffle is very effective to suppress the first tangential mode which was found to be the most harmful acoustic mode in KSR(Korean Sounding Rocket)-III engine. But more study on design parameters such as hub size and axial length should be done for complete optimization of hub and blade baffle. The present study based on linear acoustic analysis is expected to be a useful confirming tool to predict acoustic field and design a passive control devices such as baffle and acoustic cavity.

범주형 자료분석을 위한 최대절사우도추정 (Maximum Trimmed Likelihood Estimator for Categorical Data Analysis)

  • 최현집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6권2호
    • /
    • pp.229-238
    • /
    • 2009
  • 범주형 자료분석을 위해 고려할 수 있는 모형들은 일반적으로 최우추정에 의하여 적합이 이루어지므로 이상값에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할표 자료에 포함된 이상칸(outlying cell)에 영향을 받지 않는 최대 절삭우도 추정 값(maximum trimmed likelihood estimates)을 얻기 위한 추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우도에 의존하여 분할표에 포함된 칸을 제거해나가며 절사우도의 최대값을 찾기 때문에 완전탐색(complete enumeration)에 비해 계산의 양이 매우 적다. 따라서 일반적인 다차원 분할표 자료분석을 위해 쉽게 적용될 수 있다. 실제 자료분석 예를 통해 제안된 추정방법을 설명하였으며, 모의실험을 통해 문제점과 특징을 토론하였다.

SNUFOAM을 이용한 2차원 선박단면 형상의 입수 충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WATER ENTRY OF TWO-DIMENSIONAL CROSS-SECTIONAL SHAPE USING SNUFOAM)

  • 장동진;최영민;최학규;이신형
    •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5-63
    • /
    • 2016
  • Nowadays, large container ships are continually developed and that's why the bow and stern structural stability problems by slamming become a significant more and more. However, due to the complexity of slamming, it is difficult to consider those problems at the design stage. For this reason, we attempt numerical analysis through SNUFOAM by generating the bow and stern two-dimensional cross-sectional grid in WILS JIP experiment at KRISO.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for the computation time saving, by setting the inlet flow conditions referred to the model test, we analyzed the slamming without applying the grid deformation method. As a result, when the stern model, as in the previous studies, it was possible to obtain quantitatively the fluid impulse is close to the experimental results. When the bow model, we can found the change by the position of force sensors which are derived for the bulbous bow and obtained fluid impulse and flow shape at slamming similar to the model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