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CP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18초

Challenges in Cancer Control Services Provided by Family Physicians in Primary Care: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y From Karabuk Province in Turkey

  • Ozdemir, Raziye;Ural, Sevda;Karacali, Merve
    •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23권4호
    • /
    • pp.176-182
    • /
    • 2018
  • Background: Family physicians (FPs) play an important role in cancer contro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functions of FPs in cancer control and to explore FPs' perceptions of their own roles and the difficulties they face in cancer control in Karabuk province, Turkey. Methods: The study consisted of two methodological parts. The qualitative part included a descriptive study in which data were collected from 87.5% (n=56) out of all FPs in Karabuk using a questionnaire. In the quantitative part, in-depth interviews with 15 FPs were conducted and analyzed through content analysis. Results: Half of the FPs (50.0%) provided cancer prevention information for their registered people, focusing on especially smoking cessation. In the last three months, the proportion of FPs who had not invited anyone to screenings was 37.5% for the pap test, 26.8% for the mammography, 19.0% for the fecal occult blood test and 34.5% for the colonoscopy. Only 16.1% of them reported that they made home visits for cancer patients. In the qualitative part of study, the following themes were highlighted: the perceived responsibilities of FPs regarding cancer control; the effect of geographically undefined working area of FPs; the issues with coordination between FPs and specialists; the effect of the number of primary care team members. Conclusions: Cancer control services provided by FPs have significant problems in terms of the FPs' approach to the services and their content, continuity and coordination.

Validation of Administrative Big Database for Colorectal Cancer Searched by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10th Codes in Korean: A Retrospective Big-cohort Study

  • Hwang, Young-Jae;Kim, Nayoung;Yun, Chang Yong;Yoon, Hyuk;Shin, Cheol Min;Park, Young Soo;Son, Il Tae;Oh, Heung-Kwon;Kim, Duck-Woo;Kang, Sung-Bum;Lee, Hye Seung;Park, Seon Mee;Lee, Dong Ho
    •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23권4호
    • /
    • pp.183-190
    • /
    • 2018
  • Background: As the number of big-cohort studies increases, validation becomes increasingly more important. We aimed to validate administrative database categorized as colorectal cancer (CRC) by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ICD) 10th code. Methods: Big-cohort was collected from Clinical Data Warehouse using ICD 10th codes from May 1, 2003 to November 30, 2016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The patients in the study group had been diagnosed with cancer and were recorded in the ICD 10th code of CRC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Subjects with codes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or tuberculosis colitis were selected for the control group. For the accuracy of registered CRC codes (C18-21), the chart, imaging results, and pathologic findings were examined by two reviewers.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PPV),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NPV) for CRC were calculated. Results: A total of 6,780 subjects with CRC and 1,899 control subjects were enrolled. Of these patients, 22 subjects did not have evidence of CRC by colonoscopy, computed tomography, magnetic resonance imaging, or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hospitalization data for identifying CRC were 100.00% and 98.86%, respectively. PPV and NPV were 99.68% and 100.00%,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big-cohort database using the ICD 10th code for CRC appears to be accurate.

상악 전치부의 심미적 임플란트 수복을 위한 육아 조직(Granulation tissue)을 이용한 치조제 보존술 (Alveolar ridge preservation using granulation tissue for esthetic implant restoration on maxillary anterior tooth)

  • 이창균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2
    • /
    • 2023
  •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수복의 성공에 있어서 심미적인 요소는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하지만 심미적인 결과를 얻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특히 치주염으로 인해 치조골 소실이 심하게 발생한 경우라면 더욱 그러합니다. 상악 전치부의 경우, 발치 직후부터 시작되는 치주 조직의 위축이 심미적 수복을 방해하므로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발치 즉시 임플란트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치조골 소실이 심한 경우 발치 즉시 식립은 심미적 실패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고, 이런 결과는 돌이킬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합니다. 그래서 치조제 보존술(Alveolar ridge preservation)을 시행하고 이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방법으로 접근하기도 합니다. 2019년 JCP에 발치 후 임플란트 식립 시기와 발치와 처치에 대한 유럽치주학회의 consensus가 수록되어 있는데 여기서도 '심미적으로 중요한 부위에서 순측 치조골의 소실이 심하게 발생한 경우 치조제 보존술을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치조제 보존술을 하게 되면 primary closure가 어렵기 때문에 open membrane technique으로 이차치유를 유도하거나 FGG, CT graft를 시행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차 치유 과정은 골재생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연조직 이식은 환자와 술자에게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 치조골 결손이 심한 발치와에 있는 육아 조직(Granulation tissue)을 이용하게 되면 연조직 이식 없이도 primary closure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육아 조직에 조직 재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줄기세포가 함유되어 있다는 연구들이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치조골 및 연조직 결손이 심한 상악 전치부 치아를 육아 조직을 이용한 치조제 보존술을 통해 임플란트 수복을 시행하였습니다. 결손이 심한 발치와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심미적인 임플란트 수복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무근 콘크리트포장 초기균열 거동 연구 (Behaviors of Early-Age Cracks on the JCP)

  • 박대근;서영찬;안성순;김형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47-59
    • /
    • 2004
  • 콘크리트포장에 초기균열을 일으키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는 콘크리트 내부의 초기온도이다. 따라서 콘크리트포장의 초기균열 발생원인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초기온도를 계측하여 분석하는 일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균열이 발생하는 슬래브 장소와 초기균열의 발생시간이 초기온도패턴에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검증하였고 더불어, 줄눈부에서 발생하는 균열의 발생시점과 시공시간과의 관계도 알아보았다. 본 논문을 위해서 "중부내륙고속도로 여주-충주간 제 1공구 시험도로 건설공사구간 STATION 1+400$\sim$1+700" 지점에서 시험시공이 이루어졌으며, 시공 후 72시간 동안 i-Button(온도계측센서)을 이용하여 온도계측을 시행하였으며, 초기균열의 거동은 Demec gauge를 사용하였으며, 초기균열 및 줄눈부 균열은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초기온도패턴과 초기균열의 분석 결과, 콘크리트의 초기온도패턴은 슬래브에 초기균열이 발생하는 위치와 시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균열균열은 온도낙차폭이 가장 큰 슬래브에서 발생하였으며, 그 시각은 슬래브의 온도가 급강하하는 새벽이었다. 또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거동이 인근 줄눈부에 발생한 초기균열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줄눈부에 발생한 균열의 발생시기가 서로 다를 경우에 균열의 거동이 달라질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그 외에도, 오전에 시공한 슬래브에서의 균열 발생률이 오후에 시공한것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균열의 발생 간격이 큰 균열이 그렇지 않은 균열보다 더 큰 균열틈을 보였다.

  • PDF

줄눈 콘크리트포장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이용한 슬래브의 컬링형상 추출기법 개발 (Development of Extraction Method of Slab Curling Shape of jointed Concrete Pavement Using Profile Data)

  • 전범준;이승우;문성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9-18
    • /
    • 2008
  • 줄눈 콘크리트포장(JCP-Jointed Concrete Pavement)의 경우 포장단면 온 습도차에 의해 슬래브 내의 컬링이 발생하게 된다. 컬링에 의해서 발생하는 슬래브의 휨 형상 및 크기는 포장내 응력 및 평탄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포장의 구조적, 기능적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슬래브의 휨 형상을 직접 측정하는 것은 시공초기에 포장내에 다량의 계측기를 매설하여야 하며, 시공초기부터 거동의 정교한 측정이 필요하고 고가의 실험비용 및 기술적 인 어려움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손쉽게 획득할 수 있는 프로파일 데이터(Profile Data)에 파워 스펙트럼 분석(Power Spectrum Density Analysis) 및 역 푸리에 변환(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기법 등을 적용하여 임의의 시간에서 줄눈 콘크리트포장의 슬래브 휨 형상을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기법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중부내륙에 위치한 시험도로 줄눈 콘크리트 포장에서 시간대별 프로파일을 측정하고 이 데이터로부터 슬래브 휨 형상을 도출하여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동 시간대의 연속철근 콘크리트포장(CRCP- Continuous Reinforced concrete Pavement) 구간에서의 프로파일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줄눈 콘크리트포장에서의 결과와 비교하여 개발한 슬래브 휨 형상 추출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Differential MicroRNA Expression Between Gastric Cancer Tissue and Non-cancerous Gastric Mucosa According to Helicobacter pylori Status

  • Lee, Jung Won;Kim, Nayoung;Park, Ji Hyun;Kim, Hee Jin;Chang, Hyun;Kim, Jung Min;Kim, Jin-Wook;Lee, Dong Ho
    •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22권1호
    • /
    • pp.33-39
    • /
    • 2017
  • Background: MicroRNAs (miRNAs) are key post-translational mechanisms which can regulate gene expression in gastric carcinogenesis. To identify miRNAs responsible for gastric carcinogenesis, we compared expression levels of miRNAs between gastric cancer tissue and non-cancerous gastric mucosa according to Helicobacter pylori status. Methods: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the cancerous regions of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s of H. pylori-positive (n = 8) or H. pylori-negative (n = 8) patients with an intestinal type of gastric cancer. RNA expression was analyzed using a 3,523 miRNA profiling microarray based on the Sanger miRBase. Valida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aqMan miRNA assays for biopsy samples from 107 patients consisted of control and gastric cancer with or without H. pylori. And then, expression levels of miRNAs were compared according to subgroups. Results: A total of 156 miRNAs in the aberrant miRNA profiles across the miRNA microarray showed differential expression (at least a 2-fold change, P < 0.05) in cancer tissue, compared to noncancerous mucosa in both of H. pylori-negative and -positive samples. After 10 promising miRNAs were selected, validations by TaqMan miRNA assays confirmed that two miRNAs (hsa-miR-135b-5p and hsa-miR-196a-5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one miRNA (hsa-miR-145-5p) decreased in cancer tissue compared to non-cancerous gastric mucosa at H. pylori-negative group. For H. pylori-positive group, three miRNAs (hsa-miR-18a-5p, hsa-miR-135b-5p, and hsa-miR-196a-5p) were increased in cancer tissue. hsa-miR-135b-5p and hsa-miR-196a-5p were increased in gastric cancer in both of H. pylori-negative and -positive. Conclusions: miRNA expression of the gastric cancer implies that different but partially common gastric cancer carcinogenic mechanisms might exist according to H. pylori status.

LTPP Data를 이용한 확률론적 줄눈폭 예측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Probabilistic Joint Opening Model using the LTPP Data)

  • 이승우;전성재;정진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D호
    • /
    • pp.593-600
    • /
    • 2006
  • 줄눈 콘크리트포장의 줄눈폭의 크기는 인접한 슬래브의 온습도 변화에 따른 체적변형에 기인하여 발생하고 인접 슬래브 간 하중 전달율에 영향을 미치며 줄눈채움재의 설계를 위한 중요한 인자이다. 슬래브의 온도가 하강하거나 습도가 감소하면 줄눈폭은 증가며 일반적으로 최대 줄눈폭은 AASHTO Guide에서 제안된 식을 사용하여 예측하고 있다. 동일한 포장 구역 내에서도 각각의 줄눈별로 발생되는 줄눈폭의 크기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반면, AASHTO 줄눈폭 예측식은 동일 포장 구역 내에서는 각 줄눈들에서 동일한 줄눈폭이 발생한다는 가정을 갖고 개발되었다. 이러한 가정은 AASHTO 줄눈폭 예측식이 임의 포장구역 내에서의 줄눈폭의 평균값에 대한 예측만을 가능하게 하여 상당부분의 줄눈에 대해서는 과소평가를 초래한다는 단점을 갖게 한다. 이로인해 최대 줄눈폭이 과소평가된 줄눈에서는 줄눈채움재가 조기파손하고, 하중 전달율이 불량하여 단차가 발생할 소지가 높고, 수분의 하부침투 및 세골제등이 줄눈폭 사이에 침입하여 스폴링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파손들은 포장 설계시 고려되지 않기 때문에 계획된 포장 수명이 도달하기 전에 포장공용성이 저하되게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선 다양한 줄눈콘크리트포장의 줄눈폭 모니터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LTPP SMP Data를 이용하여 임의 포장 내에서의 최대 줄눈폭의 크기가 어떤 분포양상을 나타내는지 고찰하고 줄눈폭이 과소평가되는 비율을 포장설계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확률론적 줄눈폭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