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VA 3D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51초

Java3D를 이용한 실영상 기반 분산가상환경 구축 (Development of Real-Image-Based Distributed Virtual Reality System)

  • 금승우;박종일;원유집;박용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2)
    • /
    • pp.259-26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되는 가상공간에 참가자가 분신(아바타) 또는 실물 동영상의 형태로 자유로이 참가하여 가상세계를 현실감 있게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Java3D를 이용하여 컴퓨터그래픽과 실영상을 실시간에 합성 렌더링함으로써 3차원 가상공간을 구현하고 있다. 분산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해 기술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한 대의 USB port 카메라를 이용한 물체추적 과 3차원 정보 추출 (3D Position Analysis and Tracking of an Object using Monocular USB port Camera)

  • 이동엽;이동활;배종일;이만형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0년도 제15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277-277
    • /
    • 2000
  • This paper's purpose obtain information of three dimension using a camera. This system embody to know the height of object using triangle method between reference point of circumstance and object. As I use java program, it is possible to make system regardless of operating system, set up the system. By using comportable USB port camera, we used to everywhere without the capture board. We can use the internet by using the java's JMF and applet everywhere, we regard the camera as fixed.

  • PDF

웹 기반 솔리드 모델러의 설계 (Design of Web Based Solid Modeler)

  • Yoon, Bo-yul;Kim, Eung-kon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233-240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플랫폼에 구애받지 않으며, 특정한 3차원 그래픽스 소프트웨어 없이 웹 상에서 솔리드 모델을 설계할 수 있는 꾑 기반 3차원 솔리드 모델러를 설계하였다. Java 3D를 이용하여 개발하기 위한 시스템 라이브러리의 설계 결과와 구현방법을 제시하였다. 클라이언트는 솔리드 모델러 서버에 접속하여 설계를 한 후 원하는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 있으며, 다른 CAD 시스템에서 기존에 설계된 데이터를 볼 수 있도록 하며, 렌더링 및 애니메이션과 같은 3차원 그래픽스 기능이 가능함으로써 정확한 설계를 지원하도록 한다.

  • PDF

자바를 이용한 3차원 웹 그래픽 라이브러리의 개발 (Development of 3-D Web Graphic Library Using Java)

  • 정갑중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709-1715
    • /
    • 2005
  • 본 논문은 3차원 웹 그래픽 라이브러리의 개발에 관한 논문이다. 본 3차원 웹 그래픽 라이브러리는 웹 응용 서비스에서 사용자에게 2차원 웹 응용 서비스 또는 기존의 3차된 점 서비스에서 시야각이 한정된 그래픽 제공의 경우 보다 다양한 동적 입체감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웹 응용서비스를 개발하는데 이용 가능한 3차원 웹 그래픽 라이브러리이며 다양한 3차원 웹 객체 및 현실감 있는 드로잉 기법의 적용으로 더욱 복합적이고 동적인 3차원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3차원 웹 응용 서비스의 개발에 응용이 가능하다. 특히, 3차원 웹 게임이나 웹을 이용한 동적 광고 매체 제작에 효과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본 3-D 웹 그래픽 라이브러리는 자바 언어를 이용하여 작성되었으며 자바 가상 머신과 연동하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웹 상에서 수행되는 응용 소프트웨어의 개발에 적용 가능하다.

WWW에서 VRML과 Java기반의 3차원 채팅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3D Chatting System Using VRML and Java WWW)

  • 지현상;남철희;김대진;이명원;최재희;김성국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3)
    • /
    • pp.647-649
    • /
    • 1998
  • 최근 WWW상에서 VRML 기반의 3차원 가상공간 구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시스템이 VRML기능의 한계로 인해 다수사용자의 참여와 사용자 상호작용 구현 기이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능을 포함하는3차원 채팅시스템을 VRML과 Java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다수 사용자 참여 기능은 Java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으로 구성하였으며 사용자 상호작용 기능은 3차원 가상공간을 걸어 다니는 효과 (walkthrough)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EAI(External Authoring Interface)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에서 각 3차원 가상공간에서의 채팅 지원을 위해 여러개 서버를 둘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서버를 통해 채팅을 위한 가상공간을 추가 혹은 변경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모바일 3D 게임 엔진을 위한 효율적인 스킨드 메시 처리 (An Efficient Skinned-Mesh Process For Mobile 3D Game Engine)

  • 조종근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87-93
    • /
    • 2008
  • 기존에는 모바일 표준 3D 그래픽 API(C언어 기반)인 OpenGL-ES를 사용하여 모바일 3D 게임 엔진을 제작해, 핸드폰에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켰으나, 저수준(Low-Level)의 다양한 기능만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콘텐츠 제작 및 콘텐츠 호환성에 제약이 많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OpenGL-ES보다 더욱더 다양한 고수준(High-Level)의 API를 제공하면서도 GSM 폰을 중심으로 J2ME상에서 자바환경에 최적화된 모바일 표준 3D API(Java언어 기반)인 JSR-184로 모바일 3D 게임 엔진을 제작한다. 또한, 스킨드 메시(Skinned-Mesh) 형태를 가지는 3D 모델의 처리속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실험 결과로 엔진의 성능을 증명해 보인다.

  • PDF

자바 기반 휴대용 임베디드 기기의 삼차원 엔진 성능 향상을 위한 바인딩 구현 (Design of a Binding for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3D Engine based on the Embedded Mobile Java Environment)

  • 김영옥;노영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460-1471
    • /
    • 2007
  • 휴대용 임베디드 기기에서의 삼차원 엔진은 크게 바이트 코드를 실시간으로 해석하며 실행하는 자바 기반의 JSR184와 C언어 기반의 OpenGL/ES가 있다. 이들 두 표준에서 자바 객체를 지원하는 JSR184는 OpenGL/ES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프로세서의 자원을 사용하여 제한된 연산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임베디드 기기에 적용할 경우 제약이 따를 수 밖에 없다. 반면에 기존 개인용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되는 삼차원 컨텐츠는 자바의 장점을 이용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유럽에서 많은 사용자 층을 확보하고 있고, 또한 그 컨텐츠의 품질이 우수하여 상용 통신망인 GSM 망에서 많이 서비스 되고 있다. 따라서 GSM 망에서 사용되는 휴대용 임베디드 기기에 기존의 자바 기반 삼차원 컨텐츠를 별도의 변환 과정 없이 지원할 수 있는 JSR184의 지원이 필요하지만, 현재 개발되어 사용되는 자바 기반 삼차원 엔진은 휴대용 기기가 보유한 연산능력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연산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용제품에 적용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논문에서는 휴대용 임베디드 기기가 가지고 있는 충분하지 않은 연산능력을 바탕으로 자바 객체의 장점을 수용하면서 삼차원 컨텐츠의 처리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바인딩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바인딩 기법은 자바를 이용한 삼차원 컨텐츠를 지원하기 위하여, JSR184의 표준 인터페이스를 상위 계층에서 지원하고, OpenGL/ES와 JSR184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이기종 코드 변환 언어인 KNI(Kilo Native Interface)를 중간 계층에서 사용하였고, 하위 계층에서 OpenGL/ES의 표준을 구현하였다. 제안하는 바인딩 기법은 모의실험을 통하여 기능을 검증하였고, ARM을 장착한 FPGA를 사용하여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 PDF

온라인 교육을 위한 동영상과 가상현실 데이터의 동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nchronization of Video and Virtual Reality Data for On-line Education)

  • 선복근;한광록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89-39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교육을 위해 사용되는 동영상 데이터와 VRML 컨텐츠간의 동기화 기술에 대해 연구한다. 미디어 동기화를 위한 HTML+TIME과 스크립트(Script), VRML 제 어를 위한 Java EAI 및 applet, VRML의 애니메이션을 조절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저작 템플릿을 만들어 온라인 교육시스템에 적용한다. 구현된 시스템의 애니메이션 제어성능 및 처리속도와 미디어간의 동기화 성능 평가를 수행하여 기존의 온라인 가상 교육 시스템의 동기화 성능보다 다소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본 논문을 통해 HTML+TIME 미디어 동기화 기술과 VRML Web3D 가상현실 저작 기술 그리고 자바를 사용하여 시간에 따른 동영상 미디어의 제어와 3D 애니메이션의 제어에 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교육 시스템의 구축이 간단하고 다양한 멀티미디어를 적용 할 수 있는 미디어 동기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웹 기반 협동 CAD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b-based Collaborative CAD System)

  • 윤보열;김응곤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4권4호
    • /
    • pp.767-773
    • /
    • 2000
  • 오늘날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발달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공유된 가상 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컴퓨터 지원 협동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하드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그래픽 분야와 CAD시스템은 그리 많지 않다 여기에서 제안하는 협동CAB시스템은 인터넷 망을 통하여 웹 상에서 플랫폼에 구애받지 않고 협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VRML과 Java3D API를 이용하여 쉽게 도형을 생성하고 편집하여 전송하거나 출력ㆍ저장할 수 있도록 하며, 채팅을 통해 인터액티브한 작업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로 클라이언트는 자바 애플릿을 통해 웹 상에서 접근하고 서버는 자바애플리케이션으로 접속을 통제하는 접속관리자, 작업 그룹의 동기화를 유지하며 공유작업공간을 확보하는 작업관리자, 그리고 3차원 도형 객체를 생성해 내는 솔리드 모델러로 이루어져 있다.

  • PDF

가상과학 박물관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yber Science Museum Construction)

  • 강순덕
    • 정보학연구
    • /
    • 제4권4호
    • /
    • pp.101-112
    • /
    • 2001
  • 본 논문의 목적은 가상 과학 박물관 구축에 있다. 소프트웨어의 신기술을 지닌 과학적이고도 기술적인 역량에 집중된 JAVA 3D 와 VR 3D, 멀티미디어와 교육적 자료의 공헌은 가상 과학 박물관을 현실화 시켰다. 즉, 이는 고수준의 정보서비스를 현실화했다. 가상공간의 3차원 서비스와 유용한 과학 정보를 가진 교육적 자료를 제공한다. 결국에는 IT산업에 공헌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