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em response theory(IRT)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초

수평적 학습객체로 구성된 e-러닝 콘텐츠의 개인 맞춤형 학습시스템 구축 방안 (A Construction Scheme for the Personalized e-Learning System Composed of Horizontal Learning Objects)

  • 오용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725-73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대단원 밑에 형성되는 학습단위 혹은 학습마디에 계층성이 없는 수평적 학습객체가 다수 존재하는 e-러닝 콘텐츠에 대하여, 문항반응이론에 입각한 개인 맞춤형 학습시스템을 구축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된 학습시스템은 평가단계와 학습단계를 명백히 구분하여 제공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학습마디의 운영중에 평가를 진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피험자의 능력을 재추정하여 이를 다음 학습마디의 운영에 적용하는 평가-학습의 다이나믹한 연계를 추구한다. 또한 적절한 대단원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학습마디의 난이도 평균과 문항특성을 수정하고, 학습자 혹은 피험자들의 능력 추정치도 변경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개인 맞춤형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조치한다. 이러한 구축 방안은 e-러닝 콘텐츠 학습과정을 통하여 변화하는 학습자 능력을 추정하여 가장 적절한 학습내용과 문항을 제공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하며, 주기적으로 학습시스템 자체의 모수들을 수정함으로써 지속적인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PDF

K-EP(K-Engineering Professional) 자격을 위한 졸업생역량 평가방안 연구 (A Study on Graduate Attributes Assessment for K-EP (K-Engineering Professional) Qualification)

  • 최세휴;강상희;김정수;윤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6호
    • /
    • pp.30-39
    • /
    • 2021
  • The present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it is possible to objectively evaluate the competency (referred to as graduate attributes or program outcomes) of graduates of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s. To strengthen the link between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the qualification/certification system of engineering professionals, referred to as K-Engineering Professional (K-EP), individually assuring the quality of accredited graduates using multiple-choice test as main assessment tool is proposed. Test questions related to the basic vocational skills of NCS are developed for seven of the 10 program outcomes of the ABEEK KEC2015. The three program outcomes, PO1, PO3, and PO5, which need to fully accommodat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sciplinary field, are excluded. A pilot test involving graduates of eight accredited programs is conducted. Applying on Rasch model based on Item Response Theory (IRT), the item difficulty, fit and discrimination of multiple choice test are demonstrated. The pilot study strongly suggests that individual competency evaluation is possible at a certain level for seven program outcomes tested. For PO1, PO3, and PO5, however, questions that addres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sciplinary field need to be devised. If a suitable pool of questions is built, it can be used as a program outcomes assessment tool by the accredited programs.

소셜미디어 정서전염척도(SECS)의 개발 및 타당화: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ocial Media Emotional Contagion Scale(SECS) for 20s Adult)

  • 이찬주;박주은;신하영;최상민;서동기;김재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583-59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미디어 정서전염척도(Social Media Emotional Contagion Scale, SECS)를 개발하고 타당화를 하는 것이다. 전국의 20대 성인을 대상으로 결측을 제외한 총 326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SECS의 높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EFA와 CFA를 통해 SECS가 2요인 구조임을 확인하였고 한국판 정서전염 척도(K-ECS), 성인 공감척도(BES-A), Rosenberg 자아존중감척도(SES)와의 준거관련타당도를 확인하였다. SECS는 K-ECS와 BES-A의 정서적 전염과 관련된 하위요인과는 수렴하였지만, K-ECS와 BES-A 전체 척도와는 변별되었다. 이는 오프라인상에서 나타나는 정서전염과 소셜미디어상에서 나타나는 정서전염을 구별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SES와는 변별되었으나 SES의 하위요인과는 일부 수렴하고 일부 변별되었다. 더 나아가, IRT를 시행하여 SECS가 높은 변별도와 적절한 심각도 문항으로 구성된 타당한 척도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SECS 척도의 기준점을 제시하였고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사상소화기능검사의 개정 및 임상 타당화 연구 (Study on the Revision and Clinical Validation of the Sasang Digestive Function Inventory)

  • 이용재;이슬;김소형;이정윤;채한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4-71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se Sasang Digestive Function Inventory (SDFI) and improve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using clinical data. Methods The Sasang type and Cold-Heat pattern differentiation by certified clinical specialist and responses to SDFI items were acquired from 419 hospital patients. The revision of SDFI was performed using item analysis and Explorative Factor Analysis (EFA). Furthermo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evised SDFI (rSDFI) were investigat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Internal Consistency and Item Response Theory (IRT).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rSDFI was examined for the differentiation of Sasang types and Cold-Heat patterns. Results The number of the SDFI items were modified from 21 to 15. An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rSDFI subscale structure were found to be acceptable. The scores of rSDFI-total and rSDFI-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order of Tae-Eum (TE), So-Yang (SY), So-Eum (SE) types, and the rSDFI score of SE typ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E and SY types. The rSDFI-total score could differentiate Cold-Heat pattern in both SY and SE types. And the difference of digestive function between Cold and Heat pattern of SE type could be explained with the rSDFI-D score. The rSDFI-total score in Cold pattern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order of TE, SY, and SE types, and the rSDFI-total score of TE type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E type in Heat pattern. Conclusions Current results demonstrated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clinical usefulness of the rSDFI in clinical patients. Therefore, rSDFI can be utilized as an objective clinical measure supporting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Sasang typology.

국가 수준의 과학 지식 평가 체제 개발 (Developing National Science Assessment System:Scientific Knowledge Domain)

  • 권재술;최병순;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01-615
    • /
    • 1998
  • 과학교육의 정책 수립과 평가 및 과학교육과정의 개편과 효율성 점검 등은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주요 선진국에서는 국가 수준 과학 학력평가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발전시켜 왔다. 우리 나라에서 그 동안 실시된 국가 수준 과학 학력평가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과학 교육 정책 수립 및 평가 그리고 교육 과정 개편을 위한 자료 제공에 성공하지 못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우리 나라 초 중 고학생들의 과학 지식 성취의 경향성을 파악하고 향후 주기적으로 진행되어질 국가적 차원의 평가 지표를 만들기 위한 국가 수준의 과학 지식 평가 체제를 개발하는 것이다. 과학교육전문가와 초 중 고 교사들로 연구팀을 구성하고, 교육평가 전문가들과의 협조와 자문을 통해서 국가 수준 과학지식 평가 체제의 방향과 주요 요소를 결정하였다. 또한 문항 개발을 위한 세미나와 워크숍을 통해서 평가문항개발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계획한 문항을 개발하고, 수정하였으며, 초 중 고교생 958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문항을 380개를 선정하고 수정하였다. 최종 선정한 문항은 다시 초 중 고 학생 8766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여 문항반응이론(IRT)을 이용하여 문항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가 수준 과학 지식 평가는 매년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1학년과 2학년을 대상으로 학년말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집은 다단계 유층화 표집 방법을 사용하며, 검사지는 복수형으로 개 발하며 가교문항을 활용하여 검사지간 학교급간, 종단적 비교의 기초로 삼는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수준 과학지식 평가 체제를 위하여 각 모집단 별로 문제 은행에 포함시킬 80 내지 100문항씩 총 380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과 검사의 특성을 분석하여 본 결과 초등학교용 문항들은 중간 또는 중간 이하의 능력을 가진 학생들에게, 중학교용과 고등학교 1학년 용 문항들은 중간 또는 중간 이상의 능력을 가진 학생들에게, 고등학교 자연계용 문항들은 비교적 높은 능력을 가진 학생들에게 적합하였다. 개발한 문항들의 변별도는 우수하거나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서, 학생들의 과학 지식 성취를 정확하게 평가하는 데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