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proterenol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9초

뇌내(腦內) Norepinephrine, Clonldine에 의한 심박(心搏) 및 혈압변동(血壓變動)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anges in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Induced by Central Norepinephrine and Clonidine)

  • 이정청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4권1_2호
    • /
    • pp.13-23
    • /
    • 1978
  • 1) Urethane 마취가토(痲醉家兎)의 내뇌(腦內)(측뇌실(刻腦室) 또는 소뇌연수조내(小腦延髓槽內)에 norepinephrine (NE), clonidine을 주입(注入)할 때 일어나는 심박감소(心搏減少), 혈압하강(血壓下降)에 관한 이들 약물(藥物)의 작용점(作用點)을 조사(調査)할 것을 시도(試圖)하였다. 2) NE의 뇌내주입(腦內注入)은 심박감소(心搏減少)를 일으켰으나 혈압(血壓)에 미치는 영향(影響)은 뚜렷치 않았다. Clonidine은 심박감소(心搏減少), 혈압하강(血壓下降)을 일으켰다. 3) 측뇌실내주입(刻腦室內注入) 소뇌연수조내주입간(小腦延髓槽內注入間)에는 NE, clonidine, phenylephrine, isoproterenol의 심박(心搏), 혈압효과(血壓效果)에 차이(差異)가 없었다. 또 NE에 의한 심박감소효과(心搏減少效果)의 출현(出現)은 소뇌연수조내주입시(小腦延髓槽內注入時) 더 빨랐다. 4) 약(約) 2시간(時間) 간격(間隔)으로 NE를 반복(反復) 주입(注入)할 때 심박효과(心搏效果)에는 거의 변동(變動)이 없었으나 혈압효과(血壓效果)는 반복주입(反復注入)함에 따라 혈압상승효과(血壓上昇效果)가 현저(顯著)히 나타났다. Clonidine의 심박감소(心搏減少) 및 혈압하강효과(血壓下降效果)는 반복주입(反復注入)에 따라 점차 약화(弱化)되었다. 5) NE 주입후(注入後) NE 효과(效果)가 지속(持續)하고 있을 때 clonidine은 더 이상(以上)의 심박감소(心搏減少)를 일으키지 않고, 혈압하강(血壓下降)도 일으키지 않았다. Clonidine 주입후(注入後) clonidine 효과(效果)가 지속(持續)하고 있을 때 NE는 더 이상(以上)의 심박감소(心搏減少)를 일으키지 않았고 현저(顯著)한 혈압상승(血壓上昇)을 일으켰다. 6) Regitine 또는 desmethylimipramine의 뇌내주입후(腦內注入後) NE는 심박(心搏)에 거의 변동(變動)을 일으키지 않았으나 현저(顯著)한 혈압상승(血壓上昇)을 일으켰다. Clonidine은 심박(心搏), 혈압(血壓)에 거의 변동(變動)을 일으키지 않았다. 7) Reserpine 처리가토(處理家兎)에서는 NE는 심박증가(心搏增加)와 혈압상승(血壓上昇)을 일으켰으며, clonidine은 심박(心搏)에는 거의 변동(變動)을 일으키지 않았고 경미(輕微)한 혈압상승(血壓上昇)을 일으켰다. 8) NE 및 clonidine에 의한 심박감소(心搏減少), clonidine에 의한 혈압하강(血壓下降)은 주(主)로 presynaptic ${\alpha}$-adrenoceptor를 중개(仲介)하여 일어나나, NE 및 clonidine에 의한 혈압상승(血壓上昇)은 presynaptic site 이외(以外)의 부위(部位)를 중개(仲介)하여 일어나는것 같다.

  • PDF

위대망동맥의 혈관 수축제 및 이완제에 대한 반응 (Reactivity of Human Isolated Gastroepiploic Artery to Constrictor and Relaxant Agents)

  • 이종태;이응배;박창률;김인겸;유완식;유영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9호
    • /
    • pp.884-892
    • /
    • 1998
  • 우측 위대망동맥이 관상동맥 우회로 이식술에 사용되는 이식혈관으로서 관심을 끌게 된 것은 1980년대 중반 관동맥 우회로 이식술후 내유동맥의 장기 개통성이 복재정맥에 비하여 우수하다는 것이 알려진 다음부터였다. 처음에는 재수술을 하는 경우 등에서 사용 가능한 다른 이식혈관이 없을 때만 선택되었고 이식장소도 심장 후면에 위치하고 있는 후하행지 등에 제한되었으나, 최근에는 좌전하행지에도 이식되고 있고 위대망동맥의 중단기 개통성이 내유동맥의 것과 비슷한 것으로 보고된바 있으며, 일차 수술에서도 선택되는 경우가 늘어 나서 내유동맥과 복재정맥 다음으로 중요한 이식혈관이 되었다. 아직 장기 개통성이 알려 있지 않은 위대 망동맥에 대하여 이식도관으로서의 기능과 개통성 등을 연구하기 위해서 이 혈관의 수축성 및 이완성이 조사된 바 있으나 결과들이 일치하지 않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위절제술을 받는 환자들에서 수술 중에 위대망동맥을 채취하여 고리절편으로 만든 후 organ bath내에 장치하여 혈관 수축제 및 이완제에 대한 반응을 측정함으로써 도관으로서의 가치 평가를 함과 동시에 이식된 도관의 경련발생 및 이의 치료를 위한 이완제 투여 등에 관해 연구하였다. 수축제들 중 epinephrine, noprepinephrine 및 KCl은 강한 수축력을 보였고 5-HT의 수축력이 가장 약했으며 전자들의 것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Nitroprusside과 histamine은 norepinephrine으로 유도된 수축의 거의 전부를 이완시켰으며 acetylcholine의 이완력은 이들의 것에 비해 유의하게 약했다. 이완제들중 isoproterenol의 이완력이 가장 약했으며 나머지 이완제들의 것과 비교했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에서 위대망동맥의 강한 내피세포 의존성 이완력은 본 혈관이 관상동맥우회로이식술에 도관으로 사용되었 을 때 개통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고, 위대망동맥은 catecholamine에 대한 반응이 커서 관상동맥우회 로이식술후 혈중 catecholamine치료가 상승하는 경우에는 이식된 위대망동맥에 경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의 치료에는 nitroprusside가 효과적일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내피세포가 보존된 위대망동맥의 beta-adrenoceptor 촉진제 및 5-HT에 대한 반응은 약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고리췌장을 동반한 초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나타난 굴기능부전증후군 1례 (A Case of Sick Sinus Syndrome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 with Annular Pancreas)

  • 김지은;바우어 지그프리드;부윤정;이장훈;장기영;최병민;박문성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395-398
    • /
    • 2011
  • 굴기능부전증후군은 매우 드물지만 신생아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소아 환자의 경우 대부분 선천심장병이 있거나 심장수술 후에 발생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심질환의 선행 요인이 없는 신생아에서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인지가 필요하다. 굴기능부전증후군은 대부분 특발성으로 발생하며 증상도 다양하고 24시간 심전도 검사상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관찰된다. 본 증례에서는 초극소저체중출생아에서 선천심장병 없이 발생한 굴기능부전증후군에 대해 보고하였다. 환아는 심전도상 굴느린맥과 함께 심방세동이 동반된 느린맥과 빠른맥이 반복되어 관찰되었으며 무호흡, 산소포화도의 저하, 청색증의 징후를 나타냈다. 증상이 있는 굴기능부전증후군의 경우 대부분 심장박동조율기의 삽입이 필요하나 본 환아는 당시 체중 750 g으로 심장박동조율기의 삽입에 실패하여 약물 치료를 시작하였다. Isoproterenol과 atropine으로 치료하면서 환아의 체중이 1,500 g을 넘어서자 증상과 심전도상의 호전을 보였다. 향후 본 환아에서처럼 심장박동조율기의 삽입이 어려운 소아 환자의 경우에 대한 치료 체계에 대해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beta$-차단제의 약효검색범

  • 안형수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2년도 제1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47-47
    • /
    • 1992
  • $\beta$수용체에 대한 차단약으로 propranolol이 1964년에 도입된 후, 현재까지 수십여종의 $\beta$-차단약이 개발되었다. 그중 특이 $\beta$1 수용체에 대해 선택적인 억제효과를 지닌 atenolol, metoprolol, betaxolol, celiprolol 및 최근에 bisoprolol 등이 개발되어 임상적으로 부정맥, 협심증, 고혈압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그 작용기전으로는 심박출량의 감소, renin 유리억제, 중추억제효과 등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들의 약효검색은 주로 $\beta$1수용체가 많이 존재하는 심장에 대한 억제효과를 중심으로 실시한다. 즉, SHR 및 개를 사용한 생체실험과 심장, 심방 ($\beta$1) 및 기완지, 혈관($\beta$2)을 이용한 적출장기실험을 통하여 isoproterenol에 대한 억제효과를 용량반응 곡선으로 그리고, Van rossum 법에 의해 pA$_2$ 치를 구하여 $\beta$-차단제의 효력을 평가한다. 특히, pA$_2$ 치가 클수록 $\beta$-차단제의 효력이 큰 약물이다. 또한 수용체 결합실험으로 소의 심실 세포막을 분리하여 $^3$H-DHA 와의 결합실험을 통해 해리항수(Kd) 를 측정하고, 이어서 $^3$H-DHA의 일정농도와 함께 미지의 $\beta$-차단제를 여러 농도로 변화시켜 가하여 치환곡선을 작성한다. 여기에서 얻은 치환약의 $IC_{50}$/ 치로부터 치환약의 해리항수(Ki)를 산출한다. 이때 약물과 수용체의 친화력은 해리항수의 역수이므로 해리항수가 적을수록 $\beta$ 수용체에 대한 친화력이 큰 약물이다. 시사되었으며, 이 조직에서 또한 5-$HT_2$와 5-$HT_3$ 수용체의 존재를 확인하고 각각의 기능을 분명히 했다.가 수월하게 하였고 메모리를 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기존의 smpl에 디버깅용 함수 및 설비(facility) 제어용 함수를 추가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작성을 용이하게 하였다. 예를 들면 who_server(), who_queue(), pop_Q(), push_Q(), pop_server(), push_server(), we(), wf(), printfct() 같은 함수들이다. 또한 동시에 발생되는 사건들의 순서를 조종하기 위해, 동시에 발생할 수 있는 각각의 사건에 우선순위를 두어 이 우선 순위에 의하여 사건 리스트(event list)에서 자동적으로 사건들의 순서가 결정되도록 확장하였으며, 설비 제어방식에 있어서도 FIFO, LIFO, 우선 순위 방식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확장하였다. SIMPLE는 자료구조 및 프로그램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기능을 쉽게 추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SMPLE에서 새로이 추가된 자료구조와 함수 및 설비제어 방식등을 활용하여 실제 중형급 시스템에 대한 시뮬레이션 구현과 시스템 분석의 예를 보인다._3$", chain segment, with the activation energy of carriers from the shallow trap with 0.4[eV], in he amorphous regions.의 증발산율은 우기의 기상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결과 0.05 - 0.10 mm/hr 의 범위로서 이로 인한 강우손실량은 큰 의미가 없음을 알았다.재발이 나타난 3례의 환자를 제외한 9례 (75%)에서는 현재까지 재발소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보고자들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증례가 많지 않기 때문에 생존율을 얻기에는 미흡한 점이

  • PDF

혈소판 농축액이 이식된 지방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latelet-Rich Plasma(PRP) on the Survival of the Autologous Fat Graft)

  • 김승준;최원일;이병일;박승하;박철;구상환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3호
    • /
    • pp.291-297
    • /
    • 2007
  • Purpose: Platelet-rich plasma(PRP) contains protein growth factors, which are actively secreted by platelets to promote wound healing. However, it is not clear whether the injection of PRP into the autologous fat grafts increases the survival rate and the degree of angiogenesis. Methods: New Zealand White rabbit ears were injected fat with PRP, saline, insulin or isoproterenol (n=8/each group) for observation of the survival and degree of angiogenesis of the injected fat. The volume of the harvested fat and the degree of angiogenesis from dorsum of rabbit ears were evaluated 4, 8, and 12 weeks after the autologous fat graft. The degree of angiogenesis was measured with microvascular density (MVD) counts. Results: The volume of harvested fat de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after autologous fat grafts, but the decrease rate in volume of harvested fat was slower in PRP-injected group compared to that of other control groups. The difference in the volume of the harvested fat between PRP-injected group and other control groups became significant from 4 weeks after the autologous fat graft, and was maintained up to 12 week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P-injected group and insulin-injected group 8 and 12 weeks after the autologous fat graft. On the contrary, MVD counts increased in a time-dependent manner after autologous fat grafts. The MVD cou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RP-and insulin-injected groups than in other control groups from 4 weeks after the autologous fat graft, and these differences were maintained up to 12 weeks.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mean platelet numbers and the volume of harvested fat.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PRP-injection into autologous fat grafts increases the survival rate and the degree of angiogenesis. Thus, PRP injection with autologous fat grafts would be a promising tool for maintaining the volume of the grafted fat.

Prostaglandin $E_1$ Increases cGMP Levels in Beating Rabbit Atria: Lack of Effects of $PGE_1$-induced Cyclic Nucleotides on Secretory and Contractile Functions

  • Jin, Xuan Shun;Quan, He Xiu;Kim, Sun-Young;Park, Sung-Hun;Kim, Sung-Zoo;Lee, Ho-Sub;Cho, Kyung-Wo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1권5호
    • /
    • pp.175-182
    • /
    • 2007
  • Members of prostaglandin(PG) E-series elicit cellular effects mainly through adenylyl cyclase-cAMP signaling. The role of $PGE_2$-induced increase in cAMP has been shown to be compartmentalized in the cardiac myocytes: $PGE_2$-induced increase of cAMP is not involved in the control of cardiomyocytic contrac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fine the effect of $PGE_1$ on the cGMP levels and the role of $PGE_1$ in the atrial secretory function.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perfused beating rabbit atria and atrial contractile responses, cGMP and cAMP efflux, and atrial natriuretic peptide(ANP) secretion were measured. $PGE_1$ increased cGMP as well as cAMP efflux concentr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in atrial secretory responses were observed(with $1.0{\mu}M\;PGE_1$; for cGMP, $144.76{\pm}37.5%$, n=11 versus $-16.81{\pm}4.76%$, n=6, control, p<0.01; for cAMP, $187.60{\pm}41.52%$, n=11 versus $7.38{\pm}19.44%$, n=6, control, p<0.01). $PGE_1$ decreased atrial dynamics slightly but transiently, whereas $PGE_2$ showed similar effects but with lower potency. Isoproterenol increased atrial cAMP efflux(with 2.0 nM; $145.71{\pm}41.89$, n=5 versus $7.38{\pm}19.44%$, n=6, control, p<0.05) and mechanical dynamics and decreased ANP secretion. The $PGE_1$-induced increase in cGMP efflux showed a bell-shaped concentration-response curve. $PGE_1$-induced increase of cGMP efflux was not observed in the presence of L-NAME, an inhibitor of nitric oxide(NO) synthase, or ODQ, an inhibitor of NO-sensitive guanylyl cyclase. L-NAME and ODQ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PGE_1$-induced transient decrease of atrial dynamics. These data indicate that $PGE_1$ increases cGMP levels via NO-soluble GC signaling in the cardiac atrium and also show that $PGE_1$-induced increases in cGMP and cAMP levels are not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atrial secretory and contractile functions.

The alterations of $Ca^{2+}$-activated $K^+$ channels in coronary artery during cardiac hypertrophy

  • Kim, Nari;Lee, Sang-Kyeong;Chung, Joon-Yong;Seog, Dae-Hyun;Kim, Euiyong;Jin Han
    • 한국생물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물리학회 2003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23-23
    • /
    • 2003
  •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impairment of smooth muscle cell (SMC) function by alterations in the $Ca^{2+}$-activated $K^{+}$ ( $K_{Ca}$ ) channels accounts for the reduction in coronary reserve during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 However, this hypothesis has not been fully investigated. The main goal of this study was to assess whether the properties of $K_{Ca}$ channels in coronary SMCs were altered during LVH. New Zealand white rabbits (0.8-1.0 kg) and Sprague-Dawley rats (300-400 g) were randomly selected to receive either an injection of isoproterenol (300 $\mu\textrm{g}$/kg body weight) or an equal volume of 0.9% saline (1 mL/kg body weight). The animals developed LVH 10 days after injection. In patch-clamp experiments, the unitary current amplitude and open probability for the $K_{Ca}$ channe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LVH patches compared with control patches. The concentration-response curve of the $K_{Ca}$ channel to [C $a^{2+}$]$_{i}$ was shifted to the right. Inhibition of the $K_{Ca}$ channels with TEA was more pronounced in LVH cells than in the control cells. The whole-cell currents of $K_{Ca}$ channels were reduced during LVH. Western blot analysis indicated no differences in $K_{Ca}$ channel expression between the control and LVH coronary SM membranes. In contraction experiments, the effect of a high $K^{+}$concentration on the resting tension of the LVH coronary artery was greater than on that of the control. The effect of TEA on the resting tension of the LVH coronary artery was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effect on the control. Our findings imply a novel mechanism for reduced coronary reserve during LVH.ing LVH.

  • PDF

$TNF{\alpha}$ Increases the Expression of ${\beta}2$ Adrenergic Receptors in Osteoblasts

  • Baek, Kyung-Hwa;Lee, Hye-Lim;Hwang, Hyo-Rin;Park, Hyun-Jung;Kwon, A-Rang;Qadir, Abdul S.;Baek, Jeong-Hwa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6권4호
    • /
    • pp.173-178
    • /
    • 2011
  •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 is a multifunctional cytokine that is elevated in inflammatory diseases such as atherosclerosis, diabetes and rheumatoid arthritis. Recent evidence has suggested that ${\beta}2$ adrenergic receptor (${\beta}2AR$) activation in osteoblasts suppresses osteogenic activity. In the present study, we explored whether $TNF{\alpha}$ modulates ${\beta}AR$ expression in osteoblastic cells and whether this regulation is associated with the inhibition of osteoblast differentiation by $TNF{\alpha}$. In the experiments, we used C2C12 cells, MC3T3-E1 cells and primary cultured mouse bone marrow stromal cells. Among the three subtypes of ${\beta}AR$, ${\beta}2$ and ${\beta}3AR$ were found in our analysis to be upregulated by $TNF{\alpha}$. Moreover, isoproterenol-induced cAMP production was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enhanced in $TNF{\alpha}$-primed C2C12 cells, indicating that $TNF{\alpha}$ enhances ${\beta}2AR$ signaling in osteoblasts. $TNF{\alpha}$ was further found in C2C12 cells to suppress bone morphogenetic protein 2-induced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and the expression of osteogenic marker genes including Runx2, ALP and osteocalcin. Propranolol, a ${\beta}2AR$ antagonist, attenuated this $TNF{\alpha}$ suppression of osteogenic differentiation. $TNF{\alpha}$ increased the expression of receptor activator of NF-${\kappa}B$ ligand (RANKL), an essential osteoclastogenic factor, in C2C12 cells which was again blocked by propranolol. In summary, our data show that $TNF{\alpha}$ increases ${\beta}2AR$ expression in osteoblasts and that a blockade of ${\beta}2AR$ attenuates the suppression of osteogenic differentiation and stimulation of RANKL expression by $TNF{\alpha}$. These findings imply that a crosstalk between $TNF{\alpha}$ and ${\beta}2AR$ signaling pathways might occur in osteoblasts to modulate their function.

참취 및 씀바귀 첨가식이가 고지혈증 흰쥐의 심혈관 수축과 이완 및 혈관내피세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ster scaber and Ixeris dentata on Contractility and Vasodilation of Cardiovascula and Endothelial Cell in Hyperlipidemic Rat)

  • 임상선;이종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00-307
    • /
    • 1997
  • 국화과에 속하는 식용식물중 참취 및 씀바귀가 고지혈증 흰쥐의 지질대사와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S.D.계 흰쥐에게 각각의 분말 5%와 그에 상당하는 열수추출물을 급이하여 4주간 실험사육한 후 적출한 심장과 혈관의 수축 이완반응 및 혈관 내피세포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심방근의 isopreterenol에 대한 반응에서 우심방근의 박동수는 각 분말급이군에서 대체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흉부 대동맥의 phenylephrine과 calcium 투입에 의한 혈관의 수축반응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 시료급이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특히 분말군이 추출물군 보다 수축반응이 낮게 나타났다. 흉부 대동맥의 acetylcholine에 의한 이완반응은 각 시료급이군이 대조군에 비해 이완도가 대체로 큰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참취 분말군이 유의하게 높았다. 혈관 내피세포의 전자현미경적 관찰결과에 의하면 참취 분말군이 내피세포의 손상이 가장 적었으며 씀바귀 분말군에서도 손상이 상당히 지연되었으나 추출물군에서 대조군 보다 손상의 정도는 약하지만 각각의 분말군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참취와 씀바귀는 혈중 콜레스테롤과 LDL 및 VLDL 등의 농도를 저하시키므로써 혈관수축과 이완반응 및 혈관내피세포의 변화를 지연시킨 것으로 생각되며 참취나 씀바귀의 분말상태로의 급여는 분말중의 섬유소나 열수로 추출되지 않는 성분들로 인하여 추출하였을 때 보다 이러한 효과가 더욱 뚜렷한 것으로 나타나는데 참취와 씀바귀의 이러한 작용은 심장 순환기계질환의 치료와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A. keiskei에 의한 혈장 cholesterol의 감소는 cholesterol 흡수의 감소 및 cholesterol을 cholestanol으로의 전환과 담즙산으로의 배설이 증가됨에 일부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를 유도할 수 있었다. 또한 식이 kg당 3g의 Met과 0.45mg의 Se 동시 공급시 원활한 알코올대사를 유도하여 알코올성 간손상을 가장 효율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sim}17$%로 다양(多樣)하였다. 7. 1000립중(粒重)은 개화(開花) 소요일수(所要日數)와 초장(草長) 그리고 성숙립수(成熟粒數)와 등숙율(登熟率)과는 고도(高度)의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나 잎마름병 발생율(發生率)과 조명나방 발생율(發生率)과는 5%의 유의(有意)한 부상관(負相關)를 보였다. 농도가 감소되었을 때, ATPase 활성은 증가하였다. 위의 조건에서 실제 마이크로솜 내부로의 $Ca^{2+}$ 유입 여부는 $‘Ca^{2+}’$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마이크로솜 막에 위치한 ATPase의 내부 및 외부에 $Ca^{2+}$에 의한 효소활성 조절부위가 각각존재함을 시사한다. $10{\sim}11.99\;ppm$, 14품종(21.5%)이 $12{\sim}13.99\;ppm$, 9품종(13.8%)이 $14{\sim}15.99\;ppm$, 10품종(15.4%)이 $16{\sim}17.99\;ppm$, 4품종(6.2%)이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