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sokinetic contraction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5초

Thera-Band를 이용한 단축성 & 신장성 수축 저항 훈련 프로그램이 어깨의 최대 토크와 최대 파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mbined Resistance Training Program of Concentric and Eccentric Contraction Using Theraband on Shoulder Rotation Torque Max and Peak Power)

  • 한동욱;안이레;이나정;이은주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39-148
    • /
    • 2009
  • 본 연구는 Thera-Band를 이용해 단축성 수축과 신장성 수축이 혼합된 저항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단축성 수축 저항 운동만을 실시하는 것보다 근력증진에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논문이다. 연구대상자는 부산광역시 소재 S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0명 이었으며, 30명을 무작위로 단축성 수축과 신장성 수축 운동군, 단축성 수축 운동군, 무운동군으로 나누어 4주 동안 운동을 실시하였다. 근력 측정은 등속성 운동기기인 CON-TERX를 이용하였으며, 각속도는 $60^{\circ}$/sec, $120^{\circ}$/sec이었다. 4주 운동 후, 단축성 수축과 신장성 수축 운동군의 경우 각속도 $60^{\circ}$/sec에서 단축성과 신장성 최대 토크와 최대 파워, 각속도 $120^{\circ}$/sec에서 단축성 최대 파워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단축성 수축 운동군은 각속도는 $60^{\circ}$/sec와 $120^{\circ}$/sec의 최대 파워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반면 무운동군은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Thera-Band를 이용해 단축성 수축과 신장성 수축이 혼합된 운동을 실시하는 것이 단축성 수축 운동만을 실시하는 것보다 근력증진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인공무릎관절의 단축법위 회전시 근력정가 (Strength Evaluation of Sin91e-Radius Total Knee Replacement (TKR))

  • Wan, Jin-Young;Sub, Kwak-Yi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84-489
    • /
    • 2004
  • 인공관절은 21세기 정형외과 발전의 주요변화들 중의 하나이다. 1997년이래 전 세계적으로 무릎인공관절(Total Knee Arthroplasty: TKA)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해마다 약 600,000명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고 미국에서만 인공관절을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이 210,000명에 달하고 있으며 그 시장은 대략 $5 billion을 넘고 있다(7). 무릎인공관절은 일상생활에서 의자에 앉았다 일어날 때 계단을 올라 갈 때 등, 무릎의 근 모멘트가 적당한 활동을 해서 무릎관절 근육에 지레와 같은 작용을 하게 하고, 완전한 무릎으로 정상인의 무릎과 같은 기능을 오랫동안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무릎인공관절 디자인 시 정상적인 무릎 회전축(normal knee's axes of rotation)들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인공관절 수술 후 무릎관절의 신전과 굴곡 운동을 하는 동안 하나의 회전축(single-axes)을 가진 하나의 회전 반경(single-radius)을 알아보는 것은 여러 축(multi-axes)으로 움직이게 된다는 다축 회전반경(multi-radius)을 분석하기에 앞서 중요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 서는 무릎이 신전운동과 굴곡 운동 시 신전과 굴곡 모멘트를 만들어내는 대퇴 사두근(quadriceps muscle)과 무릎 오금근 (hamstring)의 역할을 알아보았고, 또한 모멘트와 대퇴 사두근의 iEMG 형태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무릎인공관절 수술을 받고 1년과 3년이 지난 정상적인 생활을 하는 피검자(1년2명, 3년2명)를 대상으로 Isometric 테스트를 위한 KIN-COM III을 사용하여 60$^\circ$, 30$^\circ$의 무릎굴곡 측정을 하였고, Isokinetic concentric 테스트를 위해서 무릎굴곡각도의 $10^\circ$-80$^\circ$까지 움직임을 측정하였다 또한 15$^\circ$-75$^\circ$까지의 신전운동(sit-to-stand movement)과 굴곡운동(stand-to-sit movement)을 실시하여 시간의 차이, 내전과 외전의 차이 그리고 iEMG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데이터는 여러 번의 실험을 통하여 가장 일반적인 수치를 사용하였다. 이 때 16-channel BTS TELEMG를 사용하여 대퇴사두근과 무릎오금근의 근육활동모양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시술 후 3년이 지나면서 TKR (Total Knee Replacement)의 대퇴 사두근 토큐가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iEMG 실험에서는 N-TKR (Non-Total Knee Replacement)의 대퇴 사두근이 TKR의 대퇴 사두근 보다 근 수축력이 더 크게 발휘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단축회전반경의 굴곡과 신전의 $10^\circ$-80$^\circ$까지의 각 속도는 굴곡동작이 1.19s, 신전 동작이 1.68s로 나타났다. 굴곡과 신전동작에서 다리의 외전(abduction)의 각도변화는 굴곡 시 5.5$^\circ$, 신전 시 5.2$^\circ$로 나타났고, 내전(adduction)의 각도변화는 굴곡 시 7.2$^\circ$, 신전 시 6.1$^\circ$로 나타났다. 대퇴 사두근의 iEMG변화에서는 15$^\circ$-60$^\circ$까지 vastus medialis (VM), vastus lateralis (VL), rectus femoris (RF) 모두 굴곡동작에서 큰 값으로 나타났고, 61$^\circ$-75$^\circ$사이에서는 신전동작에서 iEMG가 큰 값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인공관절 수술자들의 다축회전 반경을 분석하기에 앞서 중요한 선행연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8주간 데드리프트 운동 시 전신진동운동이 재활스포츠 선수의 근 기능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in the Muscle Function Following 8-Week Dead-lift training with Whole-body Vibration in Rehabilitation for Sports Players)

  • 오주환;강승록;민진영;권대규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43-351
    • /
    • 2015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in the muscle function following 8-week dead-lift training with Whole-body Vibration(WBV) in rehabilitation for sports players. Method : Twenty young sports players. Each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resistance training with Whole-body vibration group(TG, n=10), a resistance training without Whole-body vibration group(CG, N=10). The measurements which physical fitness test and joint torque test were performed before the randomization and after the 4-week and 8-week. The WBV group performed the dynamic Dead-lift exercise on a vibration platform during one minute. The CG group performed the equal training without vibration. The WBV and CON group repeated 5 set and trained two times weekly for 8-weeks. Paired t-test was used to test for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t baseline and after 4-weeks and 8-Weeks. And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test for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t TG and CG. All analyses were executed using SPSS software 18.0.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p<.050. Results : Following the 8-Weeks training sessions, an increase in the back-muscle strength was found to be greater for the TG compared with the CG group(p<.05). Muscle enduranc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raining than before training only for the CG(p<.05). Isometric Hip/Lumber Extension/Flextion measure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greater for the TG compared with the CG group(p<.05). The finding indicates that WBV effects as an efficient training stimulus to enhance muscle function by facilitating neural control trail. Following muscle activation in motor unit synchronization of the co-contraction of the muscles. Conclusion : The results imply that the WBV training may have enhanced muscle function in rehabilitation for sports players.

계단 오르기와 내리기 동안 다축범위(multi-radius) 무릎인공관절 수술자의 운동역학적 비교분석 (A Biomechanica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ulti-Radius Total Knee Arthroplastry System for Go up Stair and Go down Stair)

  • 진영완;유병인;곽이섭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1-41
    • /
    • 2006
  • The primary purpose of a TKA is to restore normal knee function Therefore, ideally, a TKA should: (a) maintain the natural leverage of the knee joint muscles to ensure generating adequate knee muscle moments to accomplish daily tasks such as rising from climbing stairs; (b) provide adequate knee joint stability. A 16-channel MyoResearch XP EMG system was used to collect the differential input surface electromyography signals VM, VL, RF, BF, ST during climbing/descending stair tests. A Peak Motion Measurement System was used to collect the kinematic and kinetic data. AKIN-COM Ill isokinetic dynamometer was used for EMG of VM, VL, RF, BF and ST during maximal voluntary contraction. I Quadriceps EMG results for the VM of the passed 1year group limb demonstrated significant less RMS EMG than that of the passed 3year group limb $60^{\circ}-15^{\circ}$ of knee flexion(p<0.05). The VL of the passed 1year group limb also demonstrated significants less RMS EMG than that of the passed 3year group limb from $60^{\circ}-45^{\circ}$ of knee flexion(p<0.05). Similar to the VM and VL, the RF of the passed 1year group limb showed less RMS EMG than that of the passed 3year group limb from $60^{\circ}-30^{\circ}$ do knee flexion(p<0.05). Hamstring EMG results for the BF of the passed 1year group limb demonstrated less RMS EMG than that of the passed 3year group limb from $75^{\circ}-15^{\circ}$ of knee flexion(p<0.05). The passed 1year group limb tended to have less ADD displacement(p<0.071) than that of the passed 3year group limb.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ABD displacement between the passed 1year group and the passed 3year group limbs(p<0.73). The passed 3year group used compensatory adaptation movement strategies to compensate for the strength deficit of passed 3year group limbs. The passed 3year group limb also increased the quadriceps muscle activation level to produce more knee extension moment to compensate for the short quadriceps moment arm. The passe 3year group limb might have an unstable knee joint in the medio-Iateral direction during the climbing/descending by showing a tendency of more ADD displacement and greater hamming co-activation EMG than the passed 1year group limbs. The TKA design was not able to help the knee joint to produce adequate knee extension moment with less quadriceps muscle effort. I think that old man needs continuous exercise for muscle strength.

상완골 후경각이 가동역에 따른 견관절 근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houlder Muscle Strength on Terminal Range by Humeral Head Retroversion)

  • 박시영;이동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49-554
    • /
    • 2010
  • 어깨 관절의 외선의 증대와 내선의 감소는 야구 투수들의 어깨에 주의 깊게 발생한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MRI 진단을 통해 상완골 후경각을 판단하고, 야구 투수들에게 정해진 각도에서의 길항근의 신장성 수축과 주동근의 단축성 수축을 통한 근력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대상자는 어깨관절의 통증을 경험하지 않은 9명의 투수들을 선정하였고, 투구측과 비투구측을 어깨관절을 대상으로 등속성 시스템을 이용하여, $90^{\circ}/s$$180^{\circ}/s$의 속도로 어깨관절의 내선 $90^{\circ}$와 외선 $20^{\circ}$의 범위에서 근력측정을 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대응 t검정을 사용해 분석 및 평가를 하였다(p<0.05). 그 결과 투구측의 총 가동역은 $180.1^{\circ}$로 나타났으며, 비투구측은 $183.7^{\circ}$로 나타났다. 상완골 후경각은 투구측이 $47.6{\pm}6.1^{\circ}$로 나타났으며, 비투구측은 $37.8{\pm}5.3^{\circ}$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투구측의 내선근 단축성 수축력(IR-Con)은 $31.5{\pm}5.1\;Nm$로 나타났으며, 비투구측의 $38.7{\pm}5.2\;Nm$와 비교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투구측의 외선근 신장성 수축력(ER-Ecc)도 $20.3{\pm}4.7\;Nm$로 나타났으며, 비투구측의 $25.1{\pm}3.7\;Nm$에 비교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으로는 본 연구의 검토를 통해 투수들의 어깨관절에 있어서 외선의 증대 및 내선의 감소는 상완골 후경각의 골성의 변화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근력의 변화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