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don excisus var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Morphological multivariate analyses of Isodon excisus complex (Lamiaceae) in Korea

  • Kim, Sang-Tae;Ma, Youn-Ju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3-229
    • /
    • 2011
  • The taxonomy of the Isodon excisus complex has been ambiguous and problematic because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especially characters related to the leaf distinguishing subgroups of the complex in the original descriptions, are variable. To elucidate the taxonomic structure of the I. excisus complex in Korea, 34 characters were measured from 70 OTUs representing different locations and analyzed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The analysis showed that principle component axis 1, 2, 3 (PC1, PC2, PC3) represents 52.0% of the total variance and characters showing high loading values for PC1 were leaf shape, density of non-glandular hair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eaf, and characters related to the teeth of the leaf. The length of apical tooth and the angle between two widest points of the leaf were highly correlated to PC2 and PC3, respectively. Three-dimensional scatter plotting of OTUs for PC1, PC2, and PC3 axis showed that the areas of previously recognized three subgroups of I. excisus completely overlapped. Our result supported that just one taxon, I. excisus var. excisus, should be recognized in the complex at the variety level.

Constituents of the Herb of Isodon excisus var. coreanus

  • Kim, Ho-Kyoung;Whang, Wan-Kyunn;Kim, Il-Hyu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291-296
    • /
    • 1997
  • Th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constituents in the aerial part of Isodon excisus var. coreanus (Labiatae). From the aqueous fraction of methanol extract, compound I (${\alpha}$-[[3-(3, 4-dihydroxyphenyl)-1-oxo-2-propenyl]oxy]-3,4-dihydroxy-benzenepropanoic acid), compound II (9-methyl-dihydroferulic acid-4-O-.betha.-D-glucopyranosyl $(1{\rightarrow}2)$-${\alpha}$-L- rhamnopyranosyl (1.rarw.4)-.betha.-D-glucopyranoside), compound III (ent-7.alpha., 11${\alpha}$,15.betha.-trihydroxy-kaur-16-en-1-O-.betha.-D-glucopyranoside) and compound IV ($2{\alpha}$,3${\beta}$,$7{\alpha}$,23-tetrahydroxy-olean-12 -en-28-oic acid 28-O-${\beta}$-D-glucopyranoside)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on the basis of their physicochemical and spectroscopic evidences[IR, FAB(-)MS,$^{1}H-NMR,$$^{13}C-NMR,$$ HMQC$$^{1}H-^{1}H $COSY and HMBC (Heteronuclear Multiple Bond Connectivity)]. Especially, New compounds II and III were named Isodonin A and Isodonin B respectively.

  • PDF

Aromatase Inhibitors from Isodon excisus var. coreanus

  • Jeong, Hyeh-Jean;Chang, Leng-Chee;Kim, Ho-Kyoung;Kim, Il-Hyuk;A.Douglas Kinghorn;John M.Pezzut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243-245
    • /
    • 2000
  • The diethyl ether extract of isodon excisus var. coreanus exhibited significant inhibitory activity in aromatase assay. Bioactivity-guided fractionation of the extract led to the isolation of three active compounds: inflexin(ent-1${\alpha}$-hydroxy-3${\beta}$,6a-diacetoxykau r-16-en-11,15-dione) (1), ursolic acid (2), and ursolic acid 3-O-acetate (3).

  • PDF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개체군의 환경 특성 분석 (A Study on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the Angelica gigas Nakai Population)

  • 추병길;지윤의;문병철;이아영;천진미;윤태숙;김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2-100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Angelica gigas population distributed in Jeombongsan, Bangtaesan, Odaesan, Gyebangsan and Jirisan. From August 2007 until September 2008, 5m${\times}$5m quadrat was established in native area of Angelica gigas in order to record a dominants and coverage, and soil factors at 20 sites. It was found that the altitude in the distributed areas for Angelica gigas population was 710m or more. Angelica gigas population was classified into Parasencio auriculata var. kamtschatical dominant population, Pseudostellaria palibiniana dominant population, Isodon excisus dominant population and typical dominant population. In the site of study, soil pH, electrical conductivity, soil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orous, and exchangeable potassium,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exchangeable natrium concentration and total nitrogen were ranged from 5.1~6.2, 0.1~0.79dS/m, 2.21~22.11%, 9.56~37.97mg/kg, 1.85~23.88cmol+/kg, 0.21~1.18cmol+/kg, 1.07~5.09cmol+/kg, 0.04~0.14cmol+/kg and 0.09~1.04% respectively. The Parasencio auriculata var. kamtschatical dominant population was found in area of high altitude and had high slope degree. But Pseudostellaria palibiniana dominant population was found in area of low altitude and low slope degree. Isodon excisus dominant population was found to have higher soil pH and exchangeable potassium concentration than the other dominant population.

오대산(烏臺山) 아고산대(亞高山帶)의 자생(自生) 초본식물(草本植物) 분포(分布)와 입지인자(立地因子)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tribution of Native Herb Species and Site Factor's at Subalpine Zone in Mt. Odae)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3호
    • /
    • pp.459-465
    • /
    • 1998
  • 이 연구(硏究)는 자생(自生) 초본식물(草本植物)의 보존(保存)과 임한재배(林閒裁培)에 필요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오대산(烏臺山)의 동대산, 두로봉, 상왕봉, 비로봉을 잇는 아고산대(亞高山帶)를 중심으로 자생(自生)하는 초본식물(草本植物)의 분포(分布)와 입지인자(立地因子)를 조사(調査)하고 상호관련성(相互關聯性) 분석(分析)하였다. 단풍취, 큰개별꽃 및 참나물은 관엽수혼효림(關葉樹混淆林)에 주로 분포(分布)하며, 요강나물, 대사초, 오리방풀 및 나비나물은 갭에 주로 분포(分布)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면(斜面) 방위별(方位別) 분석(分析)에서는 곰취, 진범, 박쥐나물 및 넓은잎외잎쑥은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다. 넓은잎외잎쑥은 남향 사면에 많이 분포(分布)하며, 곰취, 진범 및 박쥐나물은 북향이나 서향에서 많이 분포(分布)하였다. 토양수분(土壤水分) 조건별(條件別) 분석(分析)에서는 진범과 넓은잎외잎쑥에서 유의차(有意差)가 인정(認定)되었다. 넓은잎외잎쑥은 건조한 입지(立地)에 많이 분포(分布)하며, 진범은 토양수분 조건이 좋은 곳에 많이 분포(分布)하였다. 수관울폐도(樹冠鬱閉度)와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서는 요강나물, 대사초, 오리방풀, 나비나물 등이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진범, 참나물, 벌깨덩굴, 풀솜대 및 큰개별꽃 등은 다소 습한 숲그늘을 선호(選好)하고, 송이풀, 요강나물 및 넓은잎외잎쑥 등은 햇빛이 잘 드는 숲 가장자리나 개활지(開豁地)를 선호(選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강원도 중왕산 지역의 지형 및 토양요인에 따른 고로쇠나무의 분포와 생장 특성 (Distribu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cer pictum var. mono in Relation to Topography and Soil in Mt. Joongwang, Gangwon Province)

  • 엄태원;김갑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0-207
    • /
    • 2006
  • 본 연구는 강원도 평창군 중왕산 지역 천연 활엽수림내에 분포하고 있는 고로쇠나무의 입지 및 생장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 지역에 분포하는 고로쇠나무림의 지형적 특성은 고도 $1,000{\sim}1,200m$, 평균경사 $24^{\circ}$, 북동에서 북서방향의 사면에서 우점하고 있다. 고로쇠나무가 우점하고 있는 지역의 토양특성은 A층 토양깊이가 평균 22cm로 갚고, 수분함량은 36.9%로 높으며, 양료가 비옥한 지역이었다. 또한 고로쇠나무와 함께 상층 임관을 구성하는 주요수종은 거제수나무, 복장나무, 신갈나무, 층층나무이었으며, 고로쇠나무림내 하층 초본류는 벌깨덩굴, 오리방풀, 노루오줌, 관중, 단풍취 등이었다. 고로쇠나무의 생장분석결과 고로쇠나무의 수고생장량은, 초기에는 최대 0.25m까지의 생장을보였으나 이후 점차 감소하여 연간 0.1m이하의 생장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직경생장은 초기에는 연간 1mm이하의 생장을 보이다 45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최대 0.3mm의 생장을 보였으며, 최근에도 2mm정도의 생장을 유지하고 있다. 재적은 수령 120년경에 상당한 증가를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증가세를 수령 200년까지도 유지하고 있어 목재부후가 없을 경우 벌기령이 매우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꿀풀과와 산형과 식물의 화기 구조와 방화 곤충 (Floral Characteristics of Labiatae and Umbelliferae Flowers and Insect Pollinators in Korea)

  • 김갑태;류동표;김회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2-29
    • /
    • 2013
  • 우리나라에 생육하는 꿀풀과와 산형과 식물들의 화기구조와 화분매개충의 상호관련성을 밝히고자, 2010년 4월부터 2012년 8월까지 꽃을 찾는 곤충들을 조사였으며 꽃들의 화기구조를 관찰하였다. 꿀풀과 식물을 찾는 벌목 곤충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이 21, 나비목 곤충들이 16의 높은 방화빈도를 보였다. 꽃무지과를 비롯한 딱정벌레목과 꽃등에를 비롯한 파리목 곤충들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은 1로 매우 낮았다. 산형과 식물을 찾는 파리목 곤충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이 27, 벌목 곤충들이 24, 꽃무지를 비롯한 딱정벌레목 곤충들이 21, 그리고 나비목 곤충들의 방화빈도 등급의 합은 13으로 나타났다. 식물종에 따른 화분매개충의 방화빈도 등급 합은 산형과의 기름나물이 24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구릿대가 13으로 높았으며, 꽃이 작은 편인 꿀풀과의 꽃층층이꽃, 석잠풀, 오리방풀이 등이 방화빈도 등급 합이 2로 가장 낮았다. 곤충 분류군별 방화빈도에서는 벌목 곤충이 57, 파리목 곤충이 46으로 높았으며, 나비목과 딱정벌레목 곤충은 23으로 낮은 편이었다. 참당귀는 방화곤충이 17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배초향 15종, 꿀풀 13종, 기름나물 13종, 구릿대 11종의 순으로 낮아졌다. 꽃층층이꽃과 오리방풀에서는 각각 좀뒤영벌과 어리황뒤영벌 1종만이 방화하였다. 딱정벌레목과 파리목 곤충들은 꿀풀과 식물의 꽃 보다 산형과 식물의 꽃에 높은 방화빈도를 보였다. 파리목과 나비목 곤충들은 자주색에 비하여 백색의 꽃에 상대적으로 높은 방화빈도를 보였다. 이 연구로 국화과 식물의 화기구조와 화분 매개 곤충 간의 상리공생적 상호관계를 어느 정도 파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