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let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35초

First Record of the Sponge-Dwelling Palaemonid Shrimp, Anchistioides compressus (Crustacea: Decapoda: Palaemonidae) in Korea

  • Park, Jin-Ho;Lee, Damin;Lee, Sang-Hui;Grave, Sammy De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6권4호
    • /
    • pp.319-329
    • /
    • 2020
  • The sponge-dwelling shrimp, Anchistioides compressus Paulson, 1875, is recorded from Munseom Islet, Jejudo Island, Korea for the first time. All specimens were collected inside the orange coloured sponges by trimix diving at depth from 36-45 m on the rocky reef slope. Anchistioides compressus is characterized by the shape of the rostrum, the posterolateral teeth of the sixth somite, stylocerite being well developed, the anterior margin of the scaphocerite sharply produced, and the biunguiculate dactyli of the ambulatory pereiopods, as well as the proportions of the fingers of the second pereiopods. An illustrated description of the specimens and colour photo are provided to aid future recognition.

A New Record of Phyllidia varicosa (Nudibranchia: Phyllidiidae) from Korea

  • Dae-Wui Jung;Chang-Bae K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9권4호
    • /
    • pp.284-288
    • /
    • 2023
  • In this article, a phyllidiid nudibranch which is distributed widely in the Indo-Pacific region, Phyllidia varicose Lamarck, 1801, is reported based on a specimen collected from Seopseom Islet, Jeju Island, Korea.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bluish-gray dorsal tubercles with a yellow cap and three distinct ridges consisting of dorsal tubercles going from the anterior to posterior region, the presence of bluish-black pigment between the dorsal ridges, and a characteristic black longitudinal stripe along the midline of the sole. In this study, we provide a key to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Phyllidia discovered in Korea, the morphological descriptions, photographs, and a sequence of partial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of P. varicosa. Currently, four species of the genus Phyllidia have been reported to be present in Korea, including P. varicosa.

강화군 무인도서 해식애의 식생 (Vegetation at Sea Cliffs of Uninhabited Islets off Ganghwa-gun, Korea)

  • 송홍선;조우;안영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53-460
    • /
    • 2008
  • 본 연구는 상관에 의한 종조성표의 불연속성인 분류법과 연속성인 배열법을 적용하여 강화군 무인도서 해식애의 식물종조성 및 식생을 분석하였다. 해식애에서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식물은 담쟁이덩굴(58.3%)이었으며 다음으로 소사나무, 분꽃나무, 음나무(각각 37.5%)이었다. 식물의 군락구조는 신갈나무군락, 찰피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팥배나무군락, 곰솔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도서별로는 신갈나무군락이 소송도와 분지도, 찰피나무군락은 대송도, 소송도, 소사나무군락은 우도, 수리봉, 비도, 팥배나무군락은 수시도, 대송도, 소송도, 곰솔군락은 석도, 우도에 나타났다. 도서별 유연관계는 소송도와 대송도의 유사도가 가장 높았다. 전형적인 해안단애초원군락이 결합하지 않은 이유는 해식애 대부분이 표토가 거의 없는 암석바위의 지형적 환경조건 때문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낙동강 유역의 토양유실량과 하구지형의 상관성 분석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RUSLE and Estuary in Nakdong River Watershed)

  • 황창수;김경탁;오치영;진청길;최철웅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10
    • /
    • 2010
  • 다양한 공간정보와 GIS의 발달로 인해 자연현상의 해석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1995~2005년 간 낙동강유역의 토양유실량 산출과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한 낙동강하구 지형변화 탐지" 연구에서 산출한 하구역 해안섬의 면적변화 산출결과의 상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토양유실량 산정은 국내에서 주로사용되는 USLE의 수정된 형태인 Revised-USLE 모델을 이용하고, 토양유실량 산정시 해안섬의 면적과 비교를 위해 강우침식인자는 사용된 위성영상의 관측일로부터 1년 이전의 기간동안 전국 관측소에서 관측된 실측값을 이용하였다. 산출한 토양유실량과 해안섬 면적변화의 상관계수는 진우도 0.57, 신자도 0.7, 도요등 0.87로 낙동강의 주된 수로가 흐르는 도요등의 영향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분야와 인자별 특성파악을 통한 USLE 연구가 실제적으로 자연 현상을 파악함에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노팔천연복합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 쥐의 혈당 및 췌장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Complexes on Blood Glucose and Pancreatic Islets Histolog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윤진아;김제중;송병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34-340
    • /
    • 2012
  • 손바닥선인장의 한 종류인 노팔(Opuntia ficus-indica (L.) Mill)을 주재료로 하여 제조한 복합물(OF)의 항당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8주령 수컷 SD-rat에게 streptozotoxin을 주사하여 당뇨를 유발하고, 사료에 OF를 첨가하여 3주간 급여하였으며, 1주일 간격으로 공복 시 혈당을, 3주 후에는 당내성과 혈장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고 췌장 조직에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정상 대조군(NC), 당뇨 대조군(DC), 2% OF 급여군(OF-2), 5% OF 급여군(OF-5)으로 구분되었으며, NC와 DC는 기초식이를, OF-2와 OF-5는 기초식이에 각각 2%와 5%의 OF를 섞어서 급여하였다. 실험 개시 후 1주마다 12시간 절식시켜 꼬리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공복 혈당을 측정하였다. 실험 3주 후 12시간을 절식시켜 glucose(50 mg/kg BW)를 복강주사한 다음, 30, 60, 90, 120분 경과 후에 혈당을 측정하여 당내성을 측정하였고,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인슐린 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췌장 조직에 대해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실시하여 조직학적인 변화를 알아보았다. 3주간의 공복 시 혈당은 OF-5와 OF-2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당내성 측정 결과, OF 급여군은 DC와는 달리 혈당 농도의 변화 추이가 NC와 유사하였으며, 특히 OF-5는 OF-2에 비해서도 혈당 강하 효과가 높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췌장 조직의 면역염색에 의하면, OF의 혈당강하 기작은 췌장 Langerhans' Islet의 ${\beta}$-세포를 생성시키고, ${\beta}$-세포의 사멸을 억제시켜 인슐린의 분비를 정상화시키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혈장 인슐린 함량의 증가로 재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OF는 I형 당뇨에서 현저한 혈당 강하 효과 및 Langerhans' Islet의 ${\beta}$-세포수를 회복시켜줌으로써 I형 당뇨의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구자(Hovenia dulcis Thunb) 추출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고혈당 생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on the Hyperglycemic Mice Induced with Streptozotocin)

  • 김정상;나창수;은종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32-637
    • /
    • 2005
  • 본 연구는 streptozotocin(STZ)을 투여하여 고혈당이 유발된 생쥐에 지구자(Hovenia dulcis) 추출물의 투여가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대조군(Con군)은 STZ로 고혈당을 유발한 후 생리식염수 2 mL/kg를 투여하였으며, 실험군은 고혈당이 유발된 생쥐에 지구자 추출물 0.01 g/kg(H1군)과 0.049/kg(H2군)를 매일 5주간 구강 투여하였다. 체중은 CG군이나 H1군에 비하여 H2군에서 가장 높았다. 혈당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H1군과 H2군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당내성 검사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H1군과 H2군 모두에서 우수한 소견을 보여주었다. 인슐린 면역조직화학 결과 대조군 췌장의 췌장섬은 파괴되어 있었으나, H1군과 H2군에서는 인슐린-양성 세포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IGF-I과 II의 면역조직화학 결과 대조군에서는 소수의 샘포세포에서 양성반응을 보였으나, H2군에서는 다수의 샘포세포에서 아주 높은 면역반응성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지구자 추출물은 STZ로 유발된 손상으로부터 $\beta$-세포의 회복 또는 재생과 췌장 샘포세포의 IGF발현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Enhanced antidiabetic efficacy and safety of compound K/β-cyclodextrin inclusion complex in zebrafish

  • Nam, Youn Hee;Le, Hoa Thi;Rodriguez, Isabel;Kim, Eun Young;Kim, Keonwoo;Jeong, Seo Yule;Woo, Sang Ho;Lee, Yeong Ro;Castaneda, Rodrigo;Hong, Jineui;Ji, Min Gun;Kim, Ung-Jin;Hong, Bin Na;Kim, Tae Woo;Kang, Tong Ho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1호
    • /
    • pp.103-112
    • /
    • 2017
  • Background: 20(S)-Protopanaxadiol 20-O-D-glucopyranoside, also called compound K (CK), exerts antidiabetic effects that are mediated by insulin secretion through adenosine triphosphate (ATP)-sensitive potassium ($K_{ATP}$) channels in pancreatic ${\beta}$-cells. However, the antidiabetic effects of CK may be limited because of its low bioavailability. Methods: In this study, we aimed to enhance the antidiabetic activity and lower the toxicity of CK by including it with ${\beta}$-cyclodextrin (CD) (CD-CK),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CD-CK compound enhanced pancreatic islet recovery, compared to CK alone, in an alloxan-induced diabetic zebrafish model. Furthermore, we confirmed the toxicity of CD-CK relative to CK alone by morphological changes, mitochondrial damage, and TdT-UTP nick end labeling (TUNEL) assays, and determined the ratio between the toxic and therapeutic dose for both compounds to verify the relative safety of CK and CD-CK. Results: The CD-CK conjugate ($EC_{50}=2.158{\mu}M$) enhanced the recovery of pancreatic islets, compared to CK alone ($EC_{50}=7.221{\mu}M$), as assessed in alloxan-induced diabetic zebrafish larvae. In addition, CD-CK ($LC_{50} =20.68{\mu}M$) was less toxic than CK alone ($LC_{50}=14.24{\mu}M$). The therapeutic index of CK and CD-CK was 1.98 and 9.58, respectively. Conclusion: The CD-CK inclusion complex enhanced the recovery of damaged pancreatic islets in diabetic zebrafish. The CD-CK inclusion complex has potential as an effective antidiabetic efficacy with lower toxicity.

난중일기에 기록된 안편도(발음도)의 지리적 위치에 관한 실증 연구 (A Critical Review of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Anpyeon-do(Baleum-do) Written in the Nanjung Diary by Admiral Yi)

  • 고광섭;박태용;김득봉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469-477
    • /
    • 2018
  • 난중일기에 나타난 지명에 대해 현재의 행정지명과 위치는 대부분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량해전 이후 한반도 서남해안을 항해하면서 이순신과 조선수군이 체류했던 장소 중 1597년 10월 11일 일기에 기록된 안편도의 현재의 지명과 위치가 어디인지 번역자 또는 학자들 간에 의견이 다를 뿐 아니라, 아직까지도 정확하게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안편도로 추정되어 온 기존의 장소에서 관찰한 지형지물의 방향과 위치가 실제 위치와 방향을 비교하여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분석하였고, 연구자들이 새롭게 탐사한 섬과 산에서 관찰한 지형지물의 방향과 위치가 실제 안편도와 얼마나 일치하는지를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그 결과 난중일기에 기록된 안편도는 현재의 안좌도에 있는 매봉산임을 확인하였다.

췌장의 고형성 유두상 암종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Solid and Papillary Neoplasm of the Pancreas -Report of a Case-)

  • 조미연;이광길;이기범;정현주;정우희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5-92
    • /
    • 1990
  • We present the cytologic features of a case of solid and papillary neoplasm of the pancreas. Cytologically, the tumor was composed of a monotonous population of polygonal cells containing eccentrically located round nuclei with one or two distinct small nucleoli and a finely stippled chromatin pattern. The tumor cell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islet cell tumor and showed isolated loosely aggregated and solid sheets or large cell clumps. The large cell clumps revealed a branching papillary structure containing fibrovascular central core, which is characteristic histologic feature of solid and papillary neoplasm of the pancreas. This case was confirmed by tissue examination including histochemical, immunohistochemical and electron microscopical studies. Ultrastructurally, the tumor cells contained a few membrane- bound electron dense granules.

  • PDF

췌관을 결찰한 닭 췌장 내분비부의 형태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변화 (The morph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changes of endocrine pancreas by pancreatic duct ligation in chicken)

  • 구세광;이재현;이형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53-262
    • /
    • 1997
  • To investigate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endocrine pancreas of chicken after pancreatic duct ligation, experimental animals were subdivided to control, 12 hours, 1 day, 2 days, 4 days, 7 days and 10 days groupes and all of three pancreatic ducts of chicken were ligated by surgical procedure and then the morp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In pancreatic islets, the vacuolation and invasion of connective tissue were occurred in all experimental groups and dissociation of pancreatic islets was detected in 4 days after pancreatic duct ligation and hold out to 10 days. The peak of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pancreatic islets was detected in 4 days after pancreatic duct ligation. In the results of immunohistochemical methods against glucagon, insulin, somatostatin and bovine pancreatic polypeptide(BPP), the number of immunoreactive pancreatic islets were decreased but the size increased with time, so the number of immunoreactive cells in each pancreatic islets were increased. Glucagon-immunoreactive cells were not changed but insulin-immunoreactive cells were decreased with time(p<0.05). BPP-immunoreactive cells were increased in 2 days after pancreatic duct ligation and then decreased with time(p<0.05). Somatostatin-immunoreactive cells were increased with time(p<0.05) in dark isle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