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ron-coated seeds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8초

벼 철분코팅종자의 발아 특성 및 담수깊이에 따른 초기입모 영향 (Seed Germination and Effect of Water Depths on Seedling Establishment of Iron-coated Rice Seeds)

  • 김상열;박성태;서종호;황정동;배현경;오명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9-15
    • /
    • 2017
  • 본 연구는 벼 무논 및 담수직파 시 입모향상을 위해 철분코팅종자와 일반종자에 대한 발아특성 및 담수깊이에 따른 초기 입모영향을 구명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철분코팅종자는 일반종자보다 발아초기에는 발아율이 높았으나 후기에는 일반종자의 발아율과 비슷하였다. 그 결과 철분코팅종자가 일반종자에 비해 발아속도가 빠르고 평균 발아일수가 짧았다. 철분코팅종자를 상온종자창고에 보관시 1년이 지난 후 발아율은 보관당시보다 15.3~21.6% 감소되어 가능한 철분코팅 종자는 1년 이내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또한 담수직파조건에서 철분코팅 종자는 일반종자에 비해 깊은 수심에도 출아율이 높고, 뜬묘비율도 낮을 뿐만 아니라 모 충실도가 높아 담수직파 시 철분코팅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초기입모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볍씨 코팅 및 규산복토에 따른 벼 무논점파재배 농가실증시험연구 (Farmer's Field Trial of Different Coating and Covering Materials on Rice Growth and Yield in Wet Hill Seeded Rice)

  • 박광호;김양식;장진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7권1호
    • /
    • pp.85-92
    • /
    • 2015
  • 농가 포장에서 코팅소재별 벼 생육 및 수량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무처리, 철분코팅, 규산복토, 철분코팅 + 규산복토 처리에서 파종 후 44일, 77일에 경수와 초장을 조사하였으며, 간장, 수장, 이삭수, 벼알수, 등숙비율과 무게 등의 수량 구성요소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파종 후 43일에 조사된 경수는 철분코팅 36.7개, 규산복토 32.8개, 철분코팅 + 규산복토 30.3개, 무처리 30.2개 순으로 나타났고, 초장은 철분코팅 + 규산복토 38.2cm, 무처리 37.7cm, 철분코팅 37.3cm, 규산복토 36.7cm 순으로 나타났다. 2. 파종 후 75일에 조사된 주간의 1m 이내 경수는 철분코팅 1537개, 규산복토 152개, 무처리 147개, 철분코팅 + 규산복토 141개 순으로 나타났으며, 초장은 규산복토 87.4cm, 철분코팅 + 규산복토 85.7cm, 무처리 85.4cm, 철분코팅 83cm 순으로 나타났다. 3. 벼 성숙기 간장은 규산복토 85.5cm, 철분코팅 + 규산복토 84.3cm, 무처리 83.3cm, 철분코팅 종자 82.5cm 순으로 나타났다. 4. 수장은 철분코팅 + 규산복토 21.0cm, 규산복토 20.8cm, 무처리 20.7cm, 철분코팅 20.6cm 순으로 나타났으며, m2당 이삭수는 철분코팅 32,503개, 무처리 29,646개, 규산복토 31,813개, 철분코팅 + 규산복토 28,896개 순으로 나타났다. 5. 등숙비율은 철분코팅 94.5%, 철분코팅 + 규산복토 93.9%, 규산복토 93.6%, 무처리 93.2% 순으로 나타났다. 6. 단보당 쌀수량은 철분코팅 591kg, 규산복토 580kg, 철분코팅 + 규산복토 571kg, 무처리 539k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철분코팅 볍씨를 이용한 벼 직파재배의 생육 특성 및 수량 (Growth and Yield in Direct Seeded Rice Cultivation with Iron Coated-Seeds)

  • 박광호;박성태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0권1호
    • /
    • pp.5-18
    • /
    • 2018
  • 벼 직파재배 유형(담수산파, 무논점파) 및 사용 종자별 생육특성 및 수량 비교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출아일수는 9~11일이 소요되었고, 싹튼 볍씨 사용이 철분코팅볍씨 사용 직파보다 1~2일이 빨랐으며, m2당 입모 수는 103~147개로 담수산파의 철분코팅볍씨 사용에서 가장 많았으나, 벼 직파방법 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주율(무논점파)은 2.7~3.7%이었다. ② 초장생육에서 직파는 기계이앙 보다는 짧았고, 벼 직파방법 간에는 담수산파가 무논점파보다 파종 후 60일까지는 길었으나, 파종 후 75일 이후는 비슷하였다. 사용 종자 간에는 철분코팅볍씨 사용이 싹튼 볍씨 사용보다 길었고, 담수산파에서는 통계적 유의성도 있었다. ③ m2당 경수는 6월 17일(파종후 30일)에는 기계이앙이, 파종 후 45일과 60일에는 담수산파의 철분코팅볍씨 사용에서 가장 많았고, 파종 후 75일과 90일 m2당 경수는 352~405개로 벼 재배방법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④ 출수기는 직파에서 8월 21~23일로 기계이앙(8월 13일)보다는 8~10일이 늦었고, 직파방법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사용종자 간에는 철분코팅 볍씨 사용이 싹튼 볍씨 사용보다 2일이 빨랐다. ⑤ 성숙기 벼 생육특성에서 간장은 기계이앙(72.4cm)보다 철분코팅볍씨 사용 담수산파 및 무논점파는 통계적으로 각각 유의하게 길고 짧았으며, 수장은 무논점파의 싹튼 볍씨 사용(24.3cm)에서 가장 길었고, 담수산파 및 기계이앙과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벼 직파방법별 사용종자 간에는 수장은 별 차이가 없었다. m2당 수수는 357~407개로 담수산파의 철분코팅볍씨 사용에서 가장 많았으나 벼 재배방법별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수당입수는 102~106개로 거의 같았다. ⑥ 수량구성요소는 m2당 입수는 37,105~42,450개, 현미천립중은 21.9~22.8g으로 담수산파의 철분코팅볍씨 사용에서 가장 많았고 무거웠다. 등숙비율은 77.6~86.3%으로 무논점파의 철분코팅볍씨 사용에서 가장 높았으나, 수량구성요소 모두 벼 재배방법 간에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⑦ 쌀 수량은 10a당 568~686kg으로 담수산파의 철분코팅 볍씨 사용(686kg/10a)에서 가장 높았으며 기계이앙 및 그 외 직파방법과 통계적 유의성도 있었다. 그 외 직파방법은 기계이앙(568kg/10a) 대비 3~7%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⑧ 잎도열병은 벼 생육초기 기계이앙과 담수산파에서 약간 발병하였고, 잎집무늬마름병과 이삭누룩병은 기계이앙>무논점파≥담수산파 순으로 심하였다. ⑨ 잡초는 담수산파의 싹튼 볍씨 사용에서 발생이 심했고, 8월 16일 이후는 벼 재배방법 다같이 후발피가 발생하였다. 잡초성벼는 기계이앙은 발생되지 않았으나, 싹튼 볍씨 사용 직파는 0.6~0.7%, 철분코팅볍씨 사용 직파는 0.1%정도 발생하였다.

담수직파 파종 전 제초제 처리에 따른 철분코팅종자와 잡초성 벼의 출아, 입모 및 초기생육 영향 (Effect of Different Herbicides on Initial Rice and Weedy Rice Seedling Growth under Iron-coated Seeds in Flooded Direct Seeding)

  • 박광호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8권1호
    • /
    • pp.93-100
    • /
    • 2016
  • 벼 담수 및 무논직파재배에서 잡초성 벼(weedy rice) 및 잡초(weeds)방제를 위하여 철분 코팅볍씨를 이용하여 발아 전 제초제(pre-emerged herbicides)를 처리하여 안전한 제초제 선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출아일수는 제초제별로는 벤조비사이클론 >옥사디아존 > 티오벤카브 > 뷰타클로르 순으로, 사용종자별로는 철분코팅 밀봉종자(최아)> 최아종자>침종종자 철분코팅 순으로 출아가 늦었다. ② 사용종자 중 무처리와 벤조비사이클론 처리에서 침종종자 철분코팅의 입모율은 각각 63.7%, 75.7%로 최아종자 및 철분코팅 밀봉종자(최아)에 비하여 23.6~45.2%, 잡초성 벼보다는 46~62.5%나 높았다. ③ 뷰타클로르 제초제의 고사율은 최아볍씨와 철분코팅 밀봉종자(최아)에서는 100%의 고사율을 보였지만 벤조비사이클론은 2%의 고사율을 보여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④ 벤조비사이클론 3.5% 유제 처리의 파종후 25일 초장은 9.2~12.9cm로 무처리 11.9~16.3cm에 비하여 약간 짧았지만 정상적인 생육을 하였다.

벼 종자의 코팅소재별 발아 및 유묘생육 특성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as affected by the coating materials of rice seed in the submerged soil)

  • 박광호;강윤규;오대근;김양식;장진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3권1호
    • /
    • pp.27-33
    • /
    • 2011
  • 코팅소재별 벼 종자의 발아 및 입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무처리, 규산코팅, 철분코팅, 규산복토 처리에서 유묘의 입모율, 경시적 입묘양상의 변화, 초장, 엽수, 생체중의 특성을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율은 무처리 95% 규산코팅 및 규산복토 92%, 철분코팅 77%로 각가 나타나 무처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일반적으로 각종 제한요인(새 피해, 건조, 부묘현상 등)이 많은 포장조건에서는 무처리 조건이 상반된 결과가 나타나고 있으며 규산코팅 또는 복토조건에서 철분코팅보다 높은 입묘율을 보였다. 2. 벼 유묘의 초장에서는 무처리 11.4cm 규산코팅 10.8cm, 규산복토 8.8cm, 철분코팅 6.9cm으로 각각 나타났다. 3. 유묘의 생체중은 지상부의 경우 무처리 50mg, 규산코팅 및 규산복토 40mg, 철분코팅 30mg이었으며, 지하부의 경우 규산코팅 및 규산복토 20mg, 무처리 및 철분코팅 10mg으로 각각 나타났다.

Growth Chamber에서 철분코팅 벼 종자의 발아 및 유묘생육 특성 (Effect of Iron-coated Seed on a Healthy Rice Seedling Raising Nursery in Machine Transplanting)

  • 박광호;김양식;장진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6권1호
    • /
    • pp.17-24
    • /
    • 2014
  • Growth Chamber에서 철분코팅 벼종자와 무처리 볍씨의 발아 및 입묘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유묘의 입모율, 경시적 입묘양상의 변화, 초장, 엽수, 근장, 근수, 생체중의 특성을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율은 철분코팅 95%, 무처리 95%로 매우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벼 출아소요일수는 출아가 13~14일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철분코팅볍씨가 무처리 볍씨보다 전반적으로 출아가 빠르게 나타났다. 2. 벼 유묘의 초장에서는 철분코팅볍씨 4.9cm, 무처리볍씨 3.4cm로, 엽수는 철분코팅볍씨 3.8개, 무처리볍씨 3.3개로 각각 나타났다. 3. 유묘의 뿌리 철분코팅볍씨 3.8cm로 무처리볍씨 0.4cm보다 9.5배 최장 뿌리 길이가 긴 것으로 나타났으나, 뿌리수는 철분코팅볍씨 6.8개, 무처리볍씨 5.5개로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4. 유묘의 생체중은 철분코팅볍씨 107mg, 무처리 볍씨 66mg로 각각 나타났다.

벼 직파 유형별 생육 및 수량 비교 연구 (Comparison of Rice Growth and Yield in Different Direct Seeding Methods)

  • 박광호;박성태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9권1호
    • /
    • pp.119-128
    • /
    • 2017
  • 벼 직파재배 유형별(철분 무논점파, 복토 무논점파, 철분 담수산파, 기계이앙-대조구) 생육 및 수량 비교를 위한 포장시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① 벼 직파재배 유형별 출아일수는 8~9일 소요되었으며, m2당 입모수는 철분 무논점파>복토 무논점파>철분 담수산파>관행 담수산파 순으로 많았다. 결주율은 복토 무논점파 2.7%, 철분 무논점파 2.0%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② 주요 벼 생육시기별 초장 생육은 무논점파법이 담수산파에 비하여 생육초기 초장이 다소 높게 경과되었으나 파종 후 75일에는 관행 담수산파를 제외한 벼 재배방법에서 통계적 유의성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③ 벼 경수 생육은 철분 담수산파에서 가장 높게 경과되었으며 철분 무논점파, 관행 담수산파, 복토 무논점파, 기계이앙 순이었다. ④ 벼 수량구성요소에서 m2당 수수는 철분 담수산파>철분 무논점파>관행 담수산파>복토 무논점파>기계이앙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⑤ 벼 직파재배 유형별 쌀 수량은 철분 담수산파 640kg/10a, 철분 무논점파 619kg/10a, 기계이앙 601kg/10a, 관행 담수산파 599kg/10a, 복토 무논점파 544kg/10a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⑥ 현미품위는 완전립 비율이 복토 무논점파 65.8%, 철분 담수산파 65.4%, 철분 무논점파 62.7%, 기계이앙 62.3%, 관행 담수산파 62.2% 순으로 높았다.

벼 건묘육성을 위한 볍씨 철분코팅기술 연구 (Research on Iron-coated Seeds on a Rice Seedling Raising Nursery in Machine Transplanting)

  • 박광호;강윤규;오대근;김양식;장진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3권1호
    • /
    • pp.19-26
    • /
    • 2011
  •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육묘에서 이앙작업 단축을 위하여 본답육묘(못자리)에서 하우스 육묘(육묘공장) 시스템을 전국적으로 채택하고 있으나 이앙당시 유묘의 연약한 생장으로 모내기 약 2주전 별도로 본답 또는 외기로 육묘상자를 옮겨 경화를 시키는 번거로운 문제점에 있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는 철분코팅볍씨를 이용할 경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어 육묘공장(못자리)에서도 본 연구결과를 활용할 경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1. 철분코팅을 한 볍씨는 무처리에 비하여 발아, 출아, 유묘생장에 극히 정상적이었다. 2. 이앙당시 유묘의 초장 생장은 무처리에 비하여 작아 육묘상자 운반과정, 이앙작업 시 손상이 줄어 들 것으로 보였다. 3. 유묘의 엽수 뿌리 생육이 무처리에 비하여 양호하여 초기 유묘생장에 유리할 것으로 보였다. 4. 철분코팅을 한 유묘의 지상부, 지하부 생장이 무처리에 비하여 양호하여 건묘육성에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로운 기법에 의한 치코리 (Cichorium intybus L.) 의 사료화에 관한 연구 (Devloping Chcory for Forage Crop by New Technology)

  • 허삼남;박홍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65-273
    • /
    • 1995
  • Seeds of chicory were collected and selected with good germination, emergence and productivity. To develop chicory as a new forage crop seeds were primed with polyethylene glycol (PEG 6000) and coated with some chemicals, and tested in laboratory and field.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the seed lines collected, PUlgAH, PU21TH, PU37CH and PU30TK were germinated more quickly and took less time for germination than the others. 2. PUI8AH was the best in emergence and growth although PU21TH showed superior germinative ability among the lines collected. 3. Chicory seeds primed with 20~25% PEG solution for three days at $10^{\circ}C$, or the seeds treated with 25% PEG solution at $15^{\circ}C$ regardless the treatment period showed good germination performances. 4. Osmotic priming with PEG accelerated the germination of chicory, but not in the field. 5. Coated seeds geminated more slowly in Petridishes but showed superior emergence and growth to those of primed or untreated seeds. Treatment 3 showed the best performances in pot experiment. 6. Coated seeds showed remarkable increase in establishment and dry matter yield especially in sod sowing compared to the other sowing method. 7. Most nutrient contents except iron and manganese of chicory were much higher than those of mixed pasture .

  • PDF

벼 무논점파(철분코팅종자)재배에서 친환경 잡초관리를 위한 왕우렁이 이용 기술개발 (A Potential Biological Weed Control by Golden Apple Snail(Pomacea canaliculata) in Wet Hill Seeded Rice with Iron-coated Seeds)

  • 박광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3-279
    • /
    • 2012
  • 본 농가 실증시험에서 대조구(관행 이앙재배 및 화학적 제초제 2회 처리방법)에 비하여 무논써레 직후 왕우렁이 치패(새끼)를 ha당 12kg 처리(1차)와 무논점파(철분코팅볍씨이용) 후 유묘 2엽기경(파종 후 15일) 왕우렁이 새끼(치패) ha당 10kg(2차) 체계투입으로 100%의 높은 논 잡초방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벼 유묘의 피해정도는 하위엽에 3%정도의 피해를 보였으나 뿌리가 활착된 상태에서 후속적인 생장점을 가진 엽의 지속적인 출현으로 벼의 초장과 분얼수에는 유의적인 피해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새끼(치패) 왕우렁이를 투입하여 무논점파재배를 한 농사실증시험에서 최종적인 수량 및 품질에서는 관행 이앙재배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