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ris and face recognition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9초

Fuzzy-EBGM을 이용한 얼굴인식과 Fuzzy-LDA를 이용한 홍채인식의 다중생체인식 기법 연구 (Multi-Modal Biometrics Recognition Method of Face Recognition using Fuzzy-EBGM and Iris Recognition using Fuzzy LDA)

  • 고현주;권만준;전명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5권 제2호
    • /
    • pp.299-301
    • /
    • 2005
  • 본 연구는 생체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을 인증하고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 단일 생체인식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홍채와 얼굴을 이용한 다중생체인식(Multi-Modal Biometrics Recognition)기법을 연구하였다. 중국 홍채 데이터베이스 CASIA(Chinese Academy of Science)에 Gabor Wavelet과 FLDA(Fuzzy Linear Discriminant Analysis)를 사용하여 특징벡터를 획득하였으며, FERET(FERET(Face Recognition Technology) 얼굴영상데이터를 사용하여 FERET 연구에서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인 EBGM알고리듬으로 특징벡터를 획득하였다. 이로부터 얻어진 두 score 값에 대하여 다양한 균등화 과정을 시도해 보았으며, 등록자와 침입자를 구분하기 위한 Fusion Algorithm으로 Bayesian Classifier, Support vector machine, Fisher's linear discriminant를 사용하였다. 또한,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Weighted Summation을 이용하여 다중생체인식의 성능을 비교해 보았다.

  • PDF

원거리 홍채 인식에서 효율적 조명 조사방법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efficient illumination method in iris recognition at a distance)

  • 조현수;배광혁;박강령;김재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969-970
    • /
    • 2008
  • This paper proposes illumination-efficient iris image capturing method. face capture method for extraction of iris pattern with one high resolution camera needs a large scale near infrared illumination. we replace high-resolution camera with co-optic-axial combination between wide view camera and narrow view camera. because this method needs small scale illumination that illuminate only narrow camera viewing angle, we can capture iris pattern image with small scale near infrared illumination.

  • PDF

앙상블 구성을 이용한 SVM 분류성능의 향상 (Improving SVM Classification by Constructing Ensemble)

  • 제홍모;방승양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3_4호
    • /
    • pp.251-258
    • /
    • 2003
  • Support Vector Machine(SVM)은 이론상으로 좋은 일반화 성능을 보이지만, 실제적으로 구현된 SVM은 이론적인 성능에 미치지 못한다. 주 된 이유는 시간, 공간상의 높은 복잡도로 인해 근사화된 알고리듬으로 구현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SVM의 분류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Bagging(Bootstrap aggregating)과 Boosting을 이용한 SVM 앙상블 구조의 구성을 제안한다. SVM 앙상블의 학습에서 Bagging은 각각의 SVM의 학습데이타는 전체 데이타 집합에서 임의적으로 일부 추출되며, Boosting은 SVM 분류기의 에러와 연관된 확률분포에 따라 학습데이타를 추출한다. 학습단계를 마치면 다수결 (Majority voting), 최소자승추정법(LSE:Least Square estimation), 2단계 계층적 SVM등의 기법에 개개의 SVM들의 출력 값들이 통합되어진다. IRIS 분류, 필기체 숫자인식, 얼굴/비얼굴 분류와 같은 여러 실험들의 결과들은 제안된 SVM 앙상블의 분류성능이 단일 SVM보다 뛰어남을 보여준다.

가시광선 영상과 적외선 영상의 융합을 이용한 조명변화에 강인한 얼굴 인식 (Robust Face Recognition Against Illumination Change Using Visible and Infrared Images)

  • 김사문;이대종;송창규;전명근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343-348
    • /
    • 2014
  • 얼굴인식은 인식과정에서 인식자에게 거부감을 유발하지 않고, 적극적인 행위 없이 자동으로 인식 과정을 거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촬영 환경에서의 조명 변화로 인하여 다른 인식 방법인 지문 인식이나 홍채 인식에 비하여 인식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퍼지 선형판별분석법을 기반으로 가시광선 영상과 적외선 영상의 웨이블릿 대역의 선택적 융합방법을 이용하여 조명 변화에 강인한 얼굴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 가시광선 영상과 적외선 영상을 웨이블릿 변환하여 4개의 대역으로 분할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 각 대역에 해당하는 학습영상과 테스트 영상의 유클리디안 거리를 계산한다. 세 번째로 앞서 계산된 유클리디안 거리를 이용하여 각 대역에서의 인식 실험을 수행하고, 4개 대역에서의 인식률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부여된 가중치와 해당 대역의 유클리디안 거리를 융합하여 얼굴인식을 수행하여 외부 변화에 강인한 얼굴 인식 결과를 얻었다.

인증시스템을 위한 얼굴인식 기술 : 서베이 (Face Recognition System Technologies for Authentication System - A Survey)

  • 황윤철;문형진;이재욱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9-13
    • /
    • 2015
  • ICT 발달로 인해 면대면이 아닌 온라인 상에서 상대방의 신원을 확인하는 사용자인증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인증은 보안의 기본으로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ID기반의 인증은 안전성과 분실 가능성이 많아 보안이 요구되어지는 곳에서는 2개 이상의 인증도구를 사용하게 된다. 최근에 ID나 OTP, SMS 인증보다 생체인증이 신뢰성 등에서 효과적인 측면으로 많이 고려되고 있다. 최근 생체인식 기술을 응용하여 적용되는 분야들이 다양하게 증가함에 따라 생체인식에 대한 적용도 모바일 결제 시스템, 지능형 CCTV, 출입국심사, 출입통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생체인식으로는 지문, 홍체, 망막, 정맥 등에 이어 얼굴인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얼굴인식 기술의 이해와 기술 동향를 비롯한 국내외 표준화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 한다.

  • PDF

홍채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헬스케어 출입관리 시스템 (Smart Healthcar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Iris Recognition)

  • 이관희;김지인;권구락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971-980
    • /
    • 2023
  • 기존의 산업현장에서 안전사고 및 산업재해들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근로자의 육체적·정신적 피로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 체계적인 관리 및 다양한 시스템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현장에서 생체정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의 개발로 근로자의 효율적인 건강관리, 출입통제관리 기능 개발을 수행한다. 출입통제를 위해 얼굴인식을 통해 근로자를 확인하고, 건강상태 유무는 홍채인식을 통해 판별한다. 근로자의 홍채 및 눈의 충혈 상태를 통해 건강이상 징후를 진단하여 정확도를 높이고 보다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최종적으로 개발 내용은 현장 출입관리 시스템, 관리자용 출입통제 프로그램, 사용자 건강이상 징후 진단을 위한 진단하는 메인 서버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인터넷 뱅킹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얼굴인식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Face Recognition System for Authentication of Internet Banking User)

  • 배경율
    • 지능정보연구
    • /
    • 제9권3호
    • /
    • pp.193-20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뱅킹의 사용자 인증에 있어 더 강인성(Robustness)을 갖춘 인증 시스템을 위해서 생체의 특징을 이용해 신분을 증명 또는 인증하는 생체인식 기술 중 지문이나 장문, 정맥, 홍채를 이용한 인식과 같이 장비에 접촉해야만 것과 달리 거부감이 없고, 별도의 전문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일반 대중들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얼굴인식을 이용해 인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을 제안한다. 얼굴인식 알고리즘은 얼굴 특징을 분석하는 방식에 따라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ICA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FDA (Fisher Discriminant Analysis) 등이 발표되어 있다. 이들 중 가장 기본적인 알고리즘이라 할 수 있는 PCA를 이용해 얼굴 특징을 분석하고 암호화된 형태의 생체 데이터를 전달해 분석한 결과를 원격지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넷 뱅킹에서의 사용자 인증을 위한 얼굴인식 시스템의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 PDF

Energy-Efficient Biometrics-Based Remote User Authentication for Mobile Multimedia IoT Application

  • Lee, Sungju;Sa, Jaewon;Cho, Hyeonjoong;Park, Daihee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12호
    • /
    • pp.6152-6168
    • /
    • 2017
  • Recently, the biometric-based authentication systems such as FIDO (Fast Identity Online) are increased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s. The biometric-based authentication systems are performed on the mobile devices with the battery, the improving energy efficiency is important issue. In the case, the size of images (i.e., face, fingerprint, iris, and etc.) affects both recognition accuracy and energy consumption, and hence the tradeoff analysis between the both recognition accuracy and energy consumption is necessar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ergy-efficient way to authenticate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with tradeoff analysis between the both recognition accuracy and energy consumption in multimedia IoT (Internet of Things) transmission environments. We select the facial information among biometric information, and especially consider the multicore-based mobile devices. Based on our experimental results, we prove that the proposed approach can enhance the energy efficiency of GABOR+LBP+GRAY VALUE, GABOR+LBP, GABOR, and LBP by factors of 6.8, 3.6, 3.6, and 2.4 over the baseline, respectively, while satisfying user's face recognition accuracy.

패턴인식의 정화성을 향상하기 위한 지능시스템 연구 (A study of intelligent system to improve the accuracy of pattern recognition)

  • 정성부;김주웅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1291-130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패턴인식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능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지능시스템은 신경회로망의 무감독학습 방법인 SOPM(Self Organizing Feature Map), LVQ(Learning Vector Quantization), 그리고 퍼지이론의 FCM(Fuzzy C-means)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제안한 지능시스템의 유용성은 실험을 통해 확인한다. 실험은 Fisher의 Iris 데이터 분류, Cambridge 대학의 Olivetti 연구실(ORL; Olivetti Research Laboratory)에서 제공하는 얼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얼굴 영상 데이터 분류, 그리고 근전도(EMG, Electromyogram) 데이터를 분류하는 것이다. 제안한 지능시스템은 일반적인 LVQ와 비교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지능시스템이 일반적인 LVQ보다 패턴 인식의 정확성이 더 우수함을 알 수가 있었다.

Harris Corner Detection for Eyes Detection in Facial Images

  • Navastara, Dini Adni;Koo, Kyung-Mo;Park, Hyun-Jun;Cha, Eui-Young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73-376
    • /
    • 2013
  • Nowadays, eyes detection is required and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step in several applications, such as eye tracking, face identification and recognition, facial expression analysis and iris detection. This paper presents the eyes detection in facial images using Harris corner detection. Firstly, Haar-like features for face detection is used to detect a face region in an image. To separate the region of the eyes from a whole face region, the projection function is applied in this paper. At the last step, Harris corner detection is used to detect the eyes location. In experimental results, the eyes location on both grayscale and color facial images were detected accurately and effectiv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