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ran's heritag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Ab-Anbar, the Ancient Underground Water Houses of Iran

  • Yazdi, J. Tababaee;Han, Moo-Young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38-1441
    • /
    • 2008
  • Throughout the history, the people of Iran have battled the dryness by innovations to preserve every drop of water that lands from the rare clouds, or from a stream flowing out of distant springs. Water is precious and held with highest respect, whether stored for drinking at an Ab-Anbar, or for washing and farming at the Houz in the middle of their oasis homes and orchards, or sourced at a Qanat spring or Jooy under ground. How it is that drinking water as cold as a mountain fall is found in desert of Iran? Ab-Anbar is an ancient means of water preservation and cooling through anunderground building structure. These underground structures have been present in Khorasan and other desert provinces of Iran as public or private water storage facilities, widely used before the installation of public plumbing systems in the late 1950s. Although many of these structures are still functional, most have been protected by government for restoration or viewing by the public as historical heritage. Khorasan natural dry climate and the massive surrounding deserts have been a breeding ground for many designs of Ab-Anbars. Today the existing number of such facilities stands in the province of Khorasan. Usually these structures were built in populated areas, also there are some forms of such structures on old trade routes and roadways leading to and from populated towns. This paper considers the history of Ab-Anbars in Khorasan as well as other relevant aspects such as types, components, construction methods and materials, filling and withdrawal systems.

  • PDF

The Reflection of Persian Gardens in Persian Rug Design: A Comparative Study

  • Hirbod, NOROUZIANPOUR
    • Acta Via Serica
    • /
    • 제7권2호
    • /
    • pp.109-132
    • /
    • 2022
  • Two of the main elements of Persian tangible heritage are rugs and gardens, which have evolved together from the dawn of Iranian history. Emerging from the same system of thought and geographical location, together they represent the Persians' world views, desires, dreams, and design paradigms. In this study, the Persian Garden's patterns, elements, typology, and meanings are introduced and compared with the same aspects of Persian rugs. This paper uses a qualitative comparative methodology to analyze rugs' designs and patterns in relation to Persian Gardens' design principles. Data is collected primarily through library study and observation. The author uses two categories for comparison: meanings and forms. First, the author identifies underlying meanings common to the two art forms and then introduces form, function, and general principal patterns into the analysis. There is a type of rug pattern, known as Chahar-Bagh (literally, "four gardens"), that mirrors a garden design, down to the details, which is the focus of this paper. Additionally, other representations of Persian Gardens in rug design, such as Shekargah ("hunting pattern"), are discussed, as are other rug patterns with fewer elements borrowed from garden design. The paper also considers several motifs that represent flora common in gardening on the Iranian plateau, some of which have symbolic meanings dating to the Zoroastrian era. By comparing these two mediums of art (garden and rug) in the context of Persian history and geography, it becomes clear that the Persian rug design, in its roots, is an attempt to bring a garden into interior space. The study shows that the forms, patterns, and meanings reflected in Persian rugs render the study of their designs incomplete without considering the history of gardens.

한국에서 유라시아 문명교류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A brief introduction to the research of cultural exchange of Eurasian Continent in Korea)

  • 권오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3호
    • /
    • pp.166-185
    • /
    • 2015
  • 최근 세계적으로 유라시아 대륙의 경제적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동서를 연결하던 고대 교통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국내 학계에서 유라시아 동서 문명 교섭에 대한 연구는 아직은 그다지 활발할 편이 아니지만 역사학, 고고학, 미술사, 민속학, 복식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꾸준히 연구를 진행시켜 왔다. 북방 초원길을 통한 교섭사는 한민족과 한국문화의 기원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되었는데, 몽골과 카자흐스탄지역의 유적에 대한 직접적인 조사가 꾸준히 이루어지면서 흉노, 쿠르간 문화 등으로 연구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사막과 오아시스의 길을 통한 교섭은 미술사 분야에서 연구를 주도해왔다. 이란,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등에 대한 현지조사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진행되면서 신라의 황금문화, 유리의 전래, 불교문화의 동전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가 심화되고 있다. 바닷길에 대한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 부진한 편이다. 동남아시아에 소재하는 불교와 힌두교 사원에 대한 관심은 적지 않았으나 이 유적들을 연결하는 바닷길의 복원과 그 의미에 대한 연구로 확산되어야 한다. 베트남의 돈 손 문화와 싸 후인 문화 유적을 국내 연구자들이 직접 조사하게 됨으로써 앞으로 이 분야 연구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는 한국사, 한국 문화와 직접 관련이 없는 주제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인류 공동의 문명을 연구하고 보존하는 것도 우리의 책임이기 때문이다.

21세기 한국의 중앙유라시아 미술사 연구 (21st Century ROK's Art History Research on Central Eurasia)

  • 임영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3호
    • /
    • pp.186-203
    • /
    • 2015
  • 이 글은 실크로드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진 중앙유라시아 미술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이 글에서 다루는 '중앙유라시아'의 공간 범주는 중국 신강, 티베트, 몽골, 러시아 및 구소련 공화국, 인도 북부, 이란, 터키이며, 30년 이상 거쳐 온 이 지역 미술사 연구의 지적 모색 과정을 크게 되짚어 보고, 이를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할 바를 생각해보려 하였다. 한국의 중앙유라시아 미술사 연구는 학문적 연륜은 짧지만, 2015년 현재 인도서북부, 중국 신장, 돈황 등 몇몇 분야의 괄목할만한 발전이 있었다. 발전의 뒤에는 1990년 중앙유라시아로 현지답사가 가능해지면서 실견이 가능해진 환경도 있지만, 중앙아시아학회, 서울대 중앙유라시아연구소와 같은 연구기관이 후학들에게 마련해 준 '학문의 장(場)'이 있었다. 두 학술단체는 비록 느리지만 꾸준히 중앙유라시아 미술사 관련 연구로 학자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연구자들을 배출해냈다. 2012년 이후로는 갑자기 상황이 많이 바뀌었다. 관이 주도하는 국제학술대회가 우후죽순처럼 개최되었기 때문이다. 실크로드를 한반도로 연장하고, 궁극에는 '중앙유라시아의 이니셔티브'를 확보하려는 것이다. 2015년 현재, 대중들의 관심은 높아졌고, 1980년 이후 두 번째 열풍이 불고 있다. 물론 최근의 국제학술대회가 목표와 지향점이 미리 설정되어 있어 객관성이 담보되거나 발표자가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기는 하지만, 틀림없는 사실은 관심이 높아진 만큼 발전 가능성이 커졌다는 것이다. 지금 이 시점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이 중앙유라시아 미술사를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연구할 신진 연구자의 양성이다. 한국문화와 세계 문화가 만나 소통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개념 문화를 만들어 내려면 말이다. 위의 과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면 한국 유라시아 미술사 연구는 자칫 오랫동안 공회전할 가능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