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r(mpp)3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Polymer Phosphorescence Device using a New Green Emitting Ir(III) Complex

  • Lee, Chang-Lyoul;Das, Rupasree Ragini;Noh, Yong-Young;Kim, Jang-Joo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3권1호
    • /
    • pp.6-10
    • /
    • 2002
  • We have synthesized a new green Ir(III) complex fac-tris-(3-methyl-2-phenyl pyridine)iridium(III) $Ir(mpp)_3$ and fabricated phosphorescent polymer light-emitting device using it as a triplet emissive dopant in PVK. $Ir(mpp)_3$ showed absorption centered at 388 nm corresponding to the $^1MLCT$ transition as .evidenced by its extinction coefficient of the order of $10^3{\cdot}$ From the PL and EL spectra of the $Ir(mpp)_3$ doped PVK film, the emission maximum was observed at 523 nm, due to the radiative decay from the $^3MLCT$ state to the ground state, confirming a complete energy transfer from PVK to $Ir(mpp)_3$. The methyl substitution has probably caused a red shift in the absorption and emission spectrum compared to $Ir(mpp)_3$. The device consisting of a 2 % doped PVK furnished 4.5 % external quantum efficiency at 72 $cd/m^2$ (current density of 0.45 $mA/cm^2$ and drive voltage of 13.9 V) and a peak luminance of 25,000 $cd/m^2$ at 23.4 V (494 $mA/cm^2$). This work demonstrates the impact of the presence of a methyl substituent at the 3-position of the pyridyl ring of 2-phenylpyridine on the photophysical and electroluminescence properties.

Compositional Quenching으로 제조한 PP/PU 블렌드의 모폴로지 및 물성 (Morphology and Properties of PP/PU Blends Prepared by Compositional Quenching)

  • 임경택;주민혁;김도형;송기찬;김수경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6권3호
    • /
    • pp.177-187
    • /
    • 2001
  • 폴리프로필렌(PP)/폴리우레탄(PU) 블렌드를 compositional quenching으로 제조하여 모폴로지, 인장물성, 표면에너지 그리고 열안정성 등을 조사하였다. 블렌드 제조시, 말레인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 PP(MPP)와 히드록시에틸 말레이미드가 그라프트된 PP(HPP)를 반응성 상용화제로 도입하였으며, 이들의 생성 및 PU 조성과의 반응을 FT-IR로 확인하였다. Compositional quenching으로 제조한 블렌드는 용융블렌드에 비해 높은 혼화성을 보였으며, 블렌드내의 상용화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모폴로지, 인장물성. 표면특성, 그리고 열안정성 등의 물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었다. 상용화제로 MPP를 도입한 블렌드는 HPP를 도입한 블렌드에 비해,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가졌다.

  • PDF

OLED와 LED를 이용한 Hybrid 조명의 색변환

  • 공혜진;김영모;김영만;최범호;이종호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3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293-294
    • /
    • 2012
  • 백색 OLED 조명 분야에서 색 변환은 큰 이슈가 되고 있다. 하지만 청색 유기물의 발광 특성이 좋지 못하여 아직까지 정착이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발광 효율이 낮은 청색 OLED 대신 청색 LED와 황색 OLED를 사용하여 색 변환을 통한 백색 발광 panel을 제조하고 전기 및 광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먼저 OLED소자는 진공증착방법을 사용하여 ITO (150 nm)/KHI-001 (5 nm)/LG-101 (10 nm)/KHT-001 (25 nm)/ PGH-02 (25 nm): Ir (mpp) 3 (8%): PRD-003 (0.3%)/TMM-004 (10 nm)/LG-201 (20 nm): LiQ (50%)/Al (150 nm) 구조를 갖는 발광면적 $70{\times}70mm^2$의 황색 OLED panel을 제작하였다. CIE 1931색좌표는(0.49, 0.49)이고, 효율은 $41.61{\ell}m/W$이다. 그리고 LED는 청색 칩을 한 줄로 나열하여 LED bar를 만들었고 여기에 도광판, 리버스 프리즘시트, 확산시트 그리고 반사시트를 더하여 점광원을 면광원화 하였다. CIE 1931색좌표가 (0.15, 0.04)이며 효율은 $3.56{\ell}m/W$이다. 황색 OLED를 청색 LED 면광원 뒤에 붙여서 두 빛이 도광판 위쪽으로 나오게 하였다. 이렇게 hybrid된 빛은 인가 전류를 변화 시킴으로써 색온도 3,200 K의 warm white에서 7,800 K의 cool white까지 변환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순백의 hybrid 빛을 얻을 수 있었는데 이때의 색온도는 4200K이고 CIE 1931색좌표는(0.34, 0.33)이며 연색지수는 89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