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odide($^{127}I$)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5초

정밀여과·나노여과·역삼투 막에 의한 세슘과 요오드의 제거 (Removal of cesium(137Cs) and iodide(127I) by microfiltration·nanofiltration·reverese osmosis membranes)

  • 채선하;김충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49-554
    • /
    • 2014
  • This study was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the membrane filtration process (Micro Filtration (MF), nanofiltration membranes (NF), reverse osmosis (RO)) on the major radioactive substances, iodine ($I^-$) and cesium ($Cs^+$) using membranes produced in Korea and domestic raw water. Iodine ($I^-$) or cesium ($Cs^+$) in the microfiltration membrane (MF) process could not be expected removal efficiency by eliminating marginally at the combined state with colloidal and turbidity material. At the domestic raw water (lake water, turbidity 1.2 NTU, DOC 1.3 mg/L) conditions, nanofiltration membrane (NF) and reverse osmosis (RO) showed a high removal rate of about 88 ~ 99% for iodine ($I^-$) and cesium ($Cs^+$) and likely to be an alternative process for the removal of radioactive material.

분화 갑상선암 환자의 수술후 잔여갑상선조직 및 전이병소의 진단: Tc-99m Pertechnetate 스캔과 고용량 옥소 치료 후 I-131 스캔의 비교 (Detection for Residual Thyroid Tissue and Metastatic Lesion after Total Thyroidectomy in Patients with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Comparison between Tc-99m Pertechnetate Sean and High Dose I-131 Therapy Sean)

  • 이주령;안병철;정신영;이재태;이규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0-127
    • /
    • 2003
  • 목적: 갑상선 절제술을 받은 분화 갑상선암 환자의 경우 잔여 갑상선 조직이나 전이 병소를 찾기 위해서는 진단적 I-131 스캔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I-131 스캔은 갑상선 호르몬 중지가 필요하고, 방사성 옥소 투여후 $2{\sim}3$일에 영상을 얻어야 하며, 기절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 등의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Tc-99m 스캔은 검사가 용이하고 영상의 질이 좋아 진단적 I-131 스캔을 대체할 수 있을 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이에 저자들은 고용량 방사성 옥소 치료 후 시행한 I-131 스캔을 기준으로 하여 치료전 시행한 Tc-99m 스캔의 진단성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갑상선 절제술을 받은 분화 갑상선암 환자 135명을 대상 (여: 114, 연령: $45{\pm}15.3$세)으로 하였고, 방사성옥소 치료 병력이 있는 환자는 23명 (1회 16명, 2회 4명, 3회 3명)이었다. 갑상선 호르몬 복용을 4주간 중단한 후 370 MBq의 Tc-99m pertechnetate를 정맥주사 한 20분 후에 전경부의 평면 및 바늘구멍 Tc-99m 스캔 영상을 얻었고, $3.7{\sim}7.4GBq$의 I-131 옥소를 경구 복용한 3일후 전경부 평면 및 바늘구멍 I-131 스캔 영상을 얻었다. Tc-99m 스캔과 I-131 스캔은 최대 7일 간격 이내에 시행되었다. 영상의 판독은 두명의 핵의학 전문의가 함께 합의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섭취여부 및 섭취부위의 개수를 구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모두는 혈청 TSH는 30 mlU/L 이상으로, 갑상선 기능저하증 상태에 있었다. 전체 환자 135명 가운데 65명 (48.1%)에서 Tc-99m 스캔과 I-131 스캔이 불일치 소견을 보였다. 두 스캔사이에 불일치를 보인 환자 가운데 23명 (35.4%)은 Tc-99m 스캔에서는 전경부 방사능 섭취부위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I-131 스캔에서 옥소 섭취부위가 발견된 경우이며, 42명 (64.6%)은 Tc-99m 스캔보다 I-131 스캔에서 전경부 옥소 섭취부위가 더 많이 발견되었다. 방사성 옥소 치료병력이 없는 환자 112명 가운데 51명 (45.5%)은 Tc-99m 스캔과 I-131 스캔이 불일치 소견을 보였다. 이들 가운데 Tc-99m 스캔에서 전경부 방사능 섭취부위가 발견되지 않았던 11명 가운데 9명 (81.8%)은 I-131 스캔에서 옥소 섭취부위가 발견되었다. 수술후 방사성옥소 치료를 받은 병력이 있는 전체 23명은 Tc-99m 스캔상 전경부 섭취부위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이들 중 14명 (60.9%)은 I-131 스캔에서 전경부의 옥소 섭취부위가 나타났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보아 분화 갑상선암 환자의 수술 후 잔여 갑상선조직이나 전이병소를 평가시 Tc-99m 스캔은 고용량의 방사성 옥소 치료후 얻은 I-131 스캔을 기준으로 볼때 진단적 예민도가 낮았으며, 특히, 방사성 옥소 치료병력을 가진 환자의 경우, 진단적 유용성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갑상선암의 방사성요오드치료를 위한 저요오드식이 방법 차이에 따른 소변 중 요오드/크레아티닌 비의 비교 (Comparison of Urine Iodine/Creatinine ratio between Patients following Stringent and Less Stringent Low Iodine Diet for Radioiodine Remnant Ablation of Thyroid Cancer)

  • 노지호;김병일;하지수;장세중;신혜영;최준혁;김도민;김종순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0권6호
    • /
    • pp.322-326
    • /
    • 2006
  • 목적: 갑상선암 방사성요오드 치료를 위한 전처치로 1주${\sim}$2주간 저요오드식이를 시행하는 것이 국제 권고안에서 권고되고 있으나 각 병원마다 저요오드식이를 자체적인 교육방법에 따라 시행하고 있으며 저요오드식이를 통해 체내 요오드량을 효과적으로 낮추었는지에 대한 측정도 대부분의 병원에서 시행되지 않고 있어, 연구자들의 병원에 의뢰된 환자들의 소변 내 I/Cr비를 측정하여 고전적인 엄격한 저요오드식 이를 1주일간 시 행하는 방법과 덜 엄격한 저요오드식이를 2주일간 시행하는 방법을 비교하여 그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4월 10일부터 6월 19일까지 본원에 의뢰된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제한 및 허용식품 목록, 영양사 교육 유무, 예시 식단 유무, 저요오드식이 기간을 비교하여 가장 빈도가 높은 2가지 방법, 즉 관용적인 기준을 채택하는 군과 엄격한 제한식품을 설명한 군으로 나누어 두 군의 아침 소변을 채집, iodide selective electrode method를 사용하여 소변 내 요오드량을 측정하고 이를 소변 내 크레아티닌으로 나누어 I/Cr비를 구하였다. 두 군의 결과는 t-test를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결과: 두 군간의 특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각 군에서의 소변 내 I/Cr 비는 2주간 덜 엄격한 저요오드식이 군에서 $289.75{\pm}188.24{\mu}g/g$, 1주간 엄격한 저요오드식이를 시행한 군에서는 $127.87{\pm}78.52{\mu}g/g$으로 측정되었으며 1주간 엄격하게 시행한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p=0.008). 2주간 덜 엄격한 저요오드식이를 시행한 군에서는 14명중 3명(21.42%), 1주간 엄격한 저요오드식이를 시행한 군에서는 13명중 6명(46.15%)이 방사성요오드치료를 위한 적정한 수준으로 제시된 소변 내 요오드배설량 $100{\mu}g/g$이하를 만족했다. 결론: 2주간 덜 엄격한 저요오드식이를 시행한 군에서 1주간 엄격한 교육을 시행한 군보다 높은 소변 내 I/Cr비가 나온 것을 볼 때 교육 방법을 엄격하게 시행하지 않고 간단하게 변형된 방법을 사용할 경우 기간을 길게 하더라도 치료에 필요한 적정 수준의 체내 요오드량 감소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1주간 엄격한 저요오드식이를 시행한 군에서도 체내 요오드량의 감소가 충분히 감소하는 비율이 여전히 낮기 때문에 엄격한 저요오드식이 방법을 2주간 시행하는 것이 더바람직하리라 기대된다.

Effect of Epidermal Growth Factor (EGF) on Meiotic Maturation and Pronuclear Formation of Porcine Oocytes Produced In Vitro

  • Song S. H.;Kim J. G.;Song H. J.;Kumar B. Mohana;Cho S. R.;Choe C. Y.;Choi S. H.;Rho G. J.;Choe S. Y.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29권2호
    • /
    • pp.127-131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GF on meiotic maturation and pronuclear (PN) formation of porcine oocytes. Prepubertal gilt cumulus-oocyte-complexes (COCs) aspirated from $2\~6mm$ follicles of abbatoir ovaries were matured in TCM199 containing 0.1mg/ml cysteine, $0.5{\mu}/ml$ FSH and LH, and EGF (0, 5, 10, 20, 40 ng/ml) for 22 hr at $39^{\circ}C$ in a humidified atmosphere of $5\%$ $CO_2$ in air. They were then cultured for an additional 22hr without hormones. In Experiment 1, to examine the nuclear maturation at 44hr of culture, the expanded cumulus cells were removed by vortexing for 1 min in 3 mg/ml hyaluronidase. The oocytes were fixed in acetic acid: methanol (1:3, v/v) at least for 48 hr and stained with $1\%$ orcein solution for 5 min. Nuclear status was classified as germinal vesicle (GV), germinal vesicle breakdown (GVBD), prophase-metaphase I (PI-MI), and PII-MII under microscope. In Experiment 2, to investigate PN formation, oocytes were fertilized with Percoll-treated freshly ejaculated sperm $(1\times10^5\; cells/ml)$ in mTBM with $0.3\%$ BSA and 2mM caffeine for 5hr, and cultured in NCSU-23 medium with $0.4\%$ BSA. At 6hr of culture, the embryos were fixed in $3.7\%$ formaldehyde for 48hr and stained with 10ug/ml propidium iodide for 30 min. PN status was classified as no or one PN (unfertilized), 2 PN (normal fertilized) and $\geq3$ PN (polyspermy).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fter arc-sine transformation of the proportional data. The rate of oocytes that had reached to PII-MII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all groups added EGF than that of non-treated group $(67\%)$, but it did not differ among the all added groups $(86\%,\;85\%,\;79\%\;and\;81\%$, in 5, 10, 20 and 40 ng/ml EGF, respectively). No differences on the incidence of 2PN were observed in all treated groups $(25\%,\;30\%,\;33\%,\;29\%\;and\;29\%$, in 0, 5, 10, 20 and 40 ng/ml EGF, respectively), however, in non-treated group, polyspermy tended to be increased ($66\%\;vs\;. 58\%,\;54\%,\;52\%\;and\;55\%$, 0 vs. 5, 10, 20, 40 ng/ml EGF,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GF can be effectively used as an additive for enhancing oocyte maturation and reducing the incidence of polyspermy in pi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