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muscular midazolam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7초

소아 환자에서 미다졸람의 경구 투여와 근육 투여에 의한 진정 효과의 비교 연구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SEDATIVE EFFECT OF ORAL MIDAZOLAM AND INTRAMUSCULAR MIDAZOLAM IN SEDATING YOUNG PEDIATRIC DENIAL PATIENTS)

  • 민유진;유승훈;김종수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3-61
    • /
    • 2006
  • 미다졸람은 소아 환자의 진정시 흔히 사용되는 약물로서 안전성이 뛰어나고 사용이 편리하며 투여 방법이 다양하다. 여러 투여 방법 중, 주로 사용되는 근육내 투여 방법은 동통을 유발하기 때문에 어린이의 치과에 대한 공포를 가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근육내 투여의 이런 단점을 완화할 수 있도록 용량에 따른 미다졸람 경구 투여의 진정 효과를 근육내 투여시의 진정 효과와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총 12명의 환자를 실험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맹검법에 의해 두 번의 내원중 임의로 한 번은 Midazolam 0.75 mg/kg을 경구 투여하고, 한 번은 미다졸람 0.3mg/kg을 근육내 투여하여 치료하였으며, 치료과정 동안 환자의 생징후(말초 동맥혈 산소 포화도, 심박수)와 행동양상을 Ohio State University Behavior rating scale과 Automated Counting System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생징후의 경우 양 군 모두 정상범위 내에서 안정된 양상을 보였으며, 임상적으로 바람직한 행동양상(Q:Quiet)의 비율이양 군에서 대부분 높게 나타났으며 양군간에 유의 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본 연구에서 미다졸람을 근육내 투여한 군과 경구 투여한 군 모두 진정 효과가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gt;0.05).

  • PDF

의료진의 실수로 인한 미다졸람의 근육 내 과다 투여 -증례보고- (Accidental Overdose of Intramuscular Midazolam -A Case Report-)

  • 오세리;김윤희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31
    • /
    • 2011
  • We report two cases of accidental overdoses of intramuscular midazolam used for a conscious sedation. A 4-year-old boy with dental caries was scheduled for treatment under conscious sedation. The pedodontist prescribed midazolam ($dormicum^{(R)}$ 5 mg / 5 ml) 2 ml (2 mg) by verbal order to hygienist. The hygienist instead of the pedodontist wrote a prescription for midazolam ($dormicum^{(R)}$ 15 mg / 3 ml) 2 ml (10 mg). The inexperienced nurse gave an injection to his buttock as prescription. The child fell into a deep sedation. A 4-year-old boy with dental caries was scheduled for treatment under conscious sedation. The inexperienced pedodontist gave an injection to his buttock midazolam ($dormicum^{(R)}$ 15 mg / 3 ml) 3 ml (15 mg) instead of midazolam ($dormicum^{(R)}$ 5 mg / 5 ml) 3 ml (3 mg). The child fell into a deep sedation. Both cases had no complications, but the accidents happened as a result of the inexperienced dental staffs. The five times midazoalm instead of the intended doses was inadvertently given intramuscularly, fortunately caused no harm in our cases. However, the situations suggest that we should carefully check the dosage and review the correct procedures, even when using a drug that is considered to be familiar with most practitioners.

비글견에서 medetomidine-midazolam-ketamine 합제의 마취효과와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Anesthetic and Cardiopulmonary Effects of Medetomidine, Midazolam and Ketamine Combination in Beagle Dogs)

  • 황유선;박지영;정성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15-420
    • /
    • 2013
  • 본 연구는 비글견에서 medetomidine-midazolam-ketamine 병용 마취 시 마취효과와 심혈관계 및 호흡기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Medetomidine 0.015 mg/kg (MMK-L군) 또는 medetomidine 0.02 mg/kg (MMK-H군)을 근육 주사한 후에 midazolam (0.3 mg/kg) 및 ketamine (5 mg/kg)을 근육 주사하였다. 마취유도 및 회복시간, 진정 및 진통점수, 심박수, 혈압, 직장 온도 및 호흡수 측정 및 동맥혈액가스분석을 실시하였다. 평균 마취 시간은 MMK-L군 ($52.4{\pm}11.08$분)과 MMK-H군($78.2{\pm}20.72$분)이 유의성 있게 달랐다. 두 군 모두에서 MMK 투여로 인해 개에서 만족스런 진정 및 진통을 얻을 수 있었다. 두 군 모두에서 심박수는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MMK-H군은 투여 후 5분부터 MMK-L군은 투여 후 20분부터 유의적인 심박수의 저하가 확인되었다. MMK 투여 후 두 군 모두에서 혈압은 증가하였으나 두 군사이의 유의적인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실험 결과 비글견에서 medetomidine-midazolam-ketamine 병용마취는 양호한 마취효과를 나타냈으며, 개의 MMK 병용마취에서 부작용을 최소화 하면서 만족할 만한 마취효과를 얻을 수 있는 medetomidine의 용량은 0.015 mg/kg 인 것으로 생각된다.

치과 진료에 비협조적인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 증후군 환자에서의 전처치로서의 미다졸람 케타민의 근육투여 (Midazolam and Ketamine Intramuscular Premedication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Patient with Poor Cooperability)

  • 김영재;신터전;현홍근;김정욱;장기택;이상훈;김종철;김현정;서광석;이정만;신순영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1-114
    • /
    • 2012
  •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s characterized by inattention, impulsivity, and hyperactivity. Given high incidence of ADHD, many children with ADHD is likely to present for anesthesia. This case report suggests intramuscular premedication as an alternative method for anesthetic induction. A 9-year-old male patient with ADHD was transferred for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patient refused to go into dental clinic office. Oral midazolam was given to the patient, however, he was resistant to take midazolam via oral route. Instead, we administer midazolam and ketamine via intramuscular route. After less than 10 miniutes, the patient became drowsy and was transferred to dental chair. Intravenous access and mask inhalation was possible. The patient received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and recovered in a non-complicated way. In this case, intramuscular sedation with midazolam and ketamine was used as a premedication in highly uncoopearive patient refused to take oral sedative medication.

소아 열상 처치에서 적절한 용량의 ketamine과 midazolam 병용 근육주사의 진정효과 (The efficacy of optimal doses of intramuscular ketamine and midazolam injections for procedural sedation in laceration repair of children)

  • 유제성;조영순;최영환;김승환;이한식;이진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7호
    • /
    • pp.726-731
    • /
    • 2006
  • 목 적 : 소아의 통증을 수반하는 술기의 시술시에 진통, 진정을 위해 ketamine을 사용하는데, midazolam을 병용 투여 할 필요가 있는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ketamine의 근육주사의 적정용량은 국내에서 연구된 바가 없으며 저자들은 이전 연구에서 ketamine 3 mg/kg가 부족하다는 결론을 얻어 용량을 4 mg/kg로 증량하여 KMA(ketamine+midazolam+atropine)와 KA(ketamine+atropine)의 진정 및 부작용 발생여부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5년 1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열상처치 시 진정이 필요한 생후 3개월에서 7세까지의 60명의 소아를 대상으로 KMA군(IM ketamine 4 mg/kg+atropine 0.01 mg/kg+intramuscular midazolam 0.05 mg/kg) 혹은 KA 군(without midazolam)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anxiety/tolerance scores, 합병증, 진정정도, 진정유도시간, 진정회복시간, 총 진정시간, 시술자의 만족도를 기록하였다. 결 과 : 두 군간에 성비, 체중, 연령, 상처 부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anxiety/tolerance score, 진정유도시간, 진정회복시간, 총 진정시간에는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효과적 진정을 보인 경우가 KA군은 66.7%, KMA군은 90.9%로 KMA군이 진정에 보다 효과적이었으며(P=0.02), 시술자의 만족도는 KA군은 55.6%, KMA군은 90.9%로 만족, 매우 만족 이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의미 있는 부작용의 발생은 KA군은 37.0%, KMA군은 0.0%였다. 결 론 : 소아의 피부 열상 봉합 시 진정을 위해 근육주사를 통한 ketamine 4 mg/kg과 midazolam 및 atropine의 병용 투여는 ketamine과 atropine만을 투여하는 것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진정을 유도할 뿐 아니라 시술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미다졸람 근주요법을 이용한 자폐증 환자의 우식치료 : 증례보고 (INTRAMUSCULAR MIDAZOLAM SEDATON IN AUTISM PATIENT FOR CARIES TREATMENT : CASE REPORT)

  • 배영은;노태환;김보미;정태성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20
    • /
    • 2015
  • Autism is a life-long neurodevelopmental disorder characterized by qualitative abnormalities in reciprocal social interactions and patterns of communication. Patients with autism are difficult to manage during dental treatment. Thus they need special consideration like physical restraint, conscious sedation or general anesthesia. A 5-year-old male dental patient with autism was reffered to dental treatment under conscious sedation using intramuscular midazolam that creats anterograde amnesia. Dental procedure using midazolm which cause anterograde amnesia can be effective treatment strategy in autism patient.

자폐증 환자의 행동조절을 위한 Midazolam Intranasal Spray 사용사례 (Use of Midazolam Intranasal Spray for Dental Treatment of Autism Patients)

  • 송영균;이숙영;김승오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23-227
    • /
    • 2012
  • Autism patients in general have bad oral hygiene. It is hard for autism patients to get dental treatment as poor communication. Therefore, they may have to be treated by deep sedation or general anesthesia in numerous cases. However, this process requires induction with mask, so it is not easy to do for disobliging autism patient. Midazolam is a water-soluble benzodiazepine, has been used in pediatric dentistry or dentistry for the handicapped because of rapid onset. Midazolam can be administered through oral, rectal, intramuscular,intravenous, and intranasal (IN) routes. IN route of midazolam may be considered as effective way to allay for uncooperative autism patients before general anesthesia. In this case report, two autism patients required dental treatment. Intranasal spray of midazolam before general anesthesia was safe and effective procedure of behavioral management.

Midazolam을 이용한 정주진정요법 (INTRAVENOUS SEDATION WITH MIDAZOLAM)

  • 이준석;김종수;김승오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2-146
    • /
    • 2006
  • 환아의 연령, 과다체중, 환아의 약물 거부 등으로 인하여 chloral hydrate를 이용한 수면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Midazolam을 이용한 정주진정요법이 전신마취를 대신하는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환아의 경우, 0.3mg/kg의 midazolam을 근주하고, 70% 아산화질소 가스를 이용하여 초기 수면상태를 유도하고 정맥천자를 실시한 후, 0.2mg/kg midazolam을 정주하여 50분간 별다른 부작용 없이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었다.

  • PDF

장애 환자의 Midazolam 근육주사와 $N_2O-O_2$ 흡입진정을 통한 전신마취 수술 전 치과치료 (Dental Treatment under Midazolam and $N_2O-O_2$ Sedation for Disabled Patients before General Anesthesia)

  • 정용석;안효정;이수언;최성철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12
    • /
    • 2013
  • General anesthesia has been developed in dentistry as a type of management technique to sedate patients who may be uncontrollable or require medical consideration. However, emergency treatment for controlling pain before general anesthesia could be required due to the time for medical evaluation for general anesthesia. There is a greater possibility of developing complications under extended waiting period. A disabled patient who needs dental treatment under general anesthesia underwent pretreatment with intramuscular injection of midazolam and $N_2O-O_2$ inhalation sedation in these cases report.

Midazolam의 투여방법에 따른 진정효과의 비교연구 (COMPARISON OF SEDATIVE EFFECTS BETWEEN THREE ROUTES OF ADMINISTRATION WITH MIDAZOLAM)

  • 김령;이긍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83-291
    • /
    • 2000
  • 경희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자중 3회 이상의 치료가 필요한 어린이 22명으로 남아 8명, 여아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ASA I에 해당되었으며 첫 내원시 Frankl 행동분류로 negative 13명, definitely negative 9명이었다. 동일어린이에 대해 midazolam(Dormicum, 한국로슈)을 근육내 투여 (I군, 0.15mg/kg), 비강내 점적 (II군, 0.20mg/kg), 비강내 분무(III군, 0.20mg/kg)를 순서에 무관하게 내원시마다 투여한 후 투여방법과 치료과정에 따른 진정 효과, 심박동수 및 동맥혈 산소포화도 변화의 차이를 비교하여 평가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심박동수와 동맥혈 산소포화도는 모든 치료과정에서 안정적이었으며, 약물의 투여방법과 치료과정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수면효과에서는 비강내 분무, 비강내 점적, 근육내 투여의 순서로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P<0.0001), 러버댐 장착기와 충전기를 제외한 모든 치료과정 에서 비강내 분무가 가장 효과적 이었다. 3. 울음, 움직임, 전반적 행동평가에서 비강내 점적, 비강내 분무, 근육내 투여의 순서로 효과가 크게 나타났으며 (P<0.0001), 치료의 모든 과정에서 비강내 점적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