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hepatic bile duct obstructio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염소에서 실험적 총담관부분 및 완전폐쇄에 따른 임상생화학적 연구 (Clinico-biochemical Study on Experimental Partial and Complete Obstruction of the Common Bile Duct in Korean Goats)

  • 유라경;정종태;남치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71-80
    • /
    • 1991
  • Clinical signs, serum chemical values and histological findings of hepatic tissue after partial and complete obstruction of common bile duct in Korean goats were investigated. Abnormal clinical signs were not observed in partial obstruction of common bile duct, but in complete obstruction clinical signs such as jaundice, urine color change, were observed. Serum total bilirubin, total cholesterol, aspartate aminotransferase, sorbitol dehydrogenase, gamma glutamyltranspeptidase, and total protein values increased on the 1-4th day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to normal level in partial obstruction. However, they tend to increase persistently by the 24th day in complete obstruction of common bileduct. Histologic features of hepatic tissue in partial obstruction were not changed as compared with normal hepatic tissue. On the other hand, in complete obstruction of common bite duct there were moderate bile duct proliferation in a portal area, rupture of bile canaliculi, phagocytosis of bile pigment by Kupffer cells, periportal fibrosis, intrahepatic bile stasis and hepatic cell necrosis.

  • PDF

Congenital web of the common bile duct combined with multiple intrahepatic duct stricture: a case report of successful radiological intervention

  • Lim, Hanseul;Hwang, Shin;Ko, Gi-Young;Han, Hyeji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9권2호
    • /
    • pp.161-167
    • /
    • 2022
  • Congenital web formations are extremely rare anomalies of the extrahepatic biliary tree. We herein report a case of common bile duct septum combined with multiple intrahepatic bile duct strictures in a 74-year-old female patient who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radiological intervention. The patient initially visited the hospital because of upper abdominal pain. Imaging studies revealed multifocal strictures with dilatation in both intra- and extrahepatic ducts; the final clinical diagnosis was congenital common bile duct web combined with multiple intrahepatic duct strictures. Surgical treatment was not indicated because multiple biliary strictures were untreatable, and the disease was clinically diagnosed as benign. The multiple strictures were extensively dilated twice through bilateral 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PTBD) for 2 months. After 1 month of observation, PTBD catheters were successfully removed. The patient is doing well at 6 months after completion of the radiological intervention, with the maintenance of normal liver function. Congenital web of the bile duct is very rare, and its treatm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patterns of biliary stenosis. In cases where surgical intervention is not indicated for congenital web and its associated disease, radiological intervention with balloon dilatation can be a viable therapeutic option.

Tc-99m DISIDA 간담도 신티그라피에서 간 실질의 분절형 배설지연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Segmental Parenchymal Excretion Delay on Tc-99m DISIDA Hepatobiliary Scan)

  • 강도영;류진숙;문대혁;이성구;김명환;이희경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61-167
    • /
    • 1998
  • 목적: Tc-99m DISIDA 신티그라피에서 간 실질에 분절형으로 배설지연을 보이는 소견은 분절형 간내담관폐쇄의 소견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러한 소견의 분절형 간내 담관폐쇄에서의 진단적 가치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간 실질 분절형 배설지연 소견의 분절형 간내 담관폐쇄 진단에서의 양성예측도와, 방사선학적 검사와 비교한 진단적 가치를 알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Tc-99m DISIDA 신티그라피에서 간 실질에 분절형 배설지연 소견을 보인 43명의 환자(48개 영상)를 대상으로하여 그 원인을 분석하고, 1개월 이내에 시행된 CT와 US와 비교하였다. 결과: 31예는 ERC나 PTC에 의해, 13예는 임상적 경과 관찰에 의해 분절형 담도 폐쇄가 확진되었고, 4예는 원인이 규명되지 않았다. 분절형 담관폐쇄에 대한 Tc-99m DISIDA 간담도 신티그라피의 양성예측도는 92% (44/48)이었다. US의 28%(5/ 18), CT의 13% (5/38)는 정상 소견이고, US의 17% (3/18), CT의 18% (7/38)에서는 담관 확장 소견만이 있었고, 원인이 되는 병변을 알 수 없었다. 결론: Tc-99m DISIDA 신티그라피에서 간 실질에 분절형 배설지연을 보이는 소견은 분절형 간내 담관폐쇄 진단에 높은 양성 예측도를 가진다. Tc-99m DISIDA 신티그라피는 특히 US나 CT가 정상인 경우에 분절형 담관폐쇄 진단에 선별검사로서 이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c-99m DISIDA 신티그라피의 분절형 담도관쇄 진단에서의 진단적 가치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 PDF

담낭 절제술 후 총담관 직경의 장기 변화에 대한 CT 평가 (CT Evaluation of Long-Term Changes in Common Bile Duct Diameter after Cholecystectomy)

  • 안성희;안찬식;김승섭;박수미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5권3호
    • /
    • pp.581-595
    • /
    • 2024
  • 목적 본 연구는 담낭절제술 후 보상적 총담관 확장의 빈도와 정도를 조사하고, 담낭절제술과 common bile duct (이하 CBD) 확장 사이의 시간을 평가하고, 폐쇄성 CBD 확장을 암시하는 잠재적으로 유용한 CT 소견을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상과 방법 2009년에서 2011년 사이에 단일 센터에서 담낭절제술 전후에 여러 차례 CT 스캔을 받은 담도 폐쇄가 없는 1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담낭절제술 후 CBD 결석 또는 팽대부 종양으로 인해 초기에 연구에서 제외되었던 11명의 환자의 임상 및 CT 소견을 조사하여 폐쇄성 및 비폐쇄성 CBD 확장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결과 121명의 환자의 평균(표준편차) 단축 최대 CBD 직경은 담낭절제술 전 축면에서 5.6(± 1.9) mm였지만 담낭절제술 후 7.9 (± 2.6) mm로 증가했다(p < 0.001). 담낭절제술 전 축성 CBD 직경이 8 mm 미만인 106명의 환자 중 39명(36.8%)이 담낭절제술 후 ≥ 8 mm의 CBD 확장을 보였다. 장기(> 2년) 연속 추적 CT 스캔을 받은 17명의 환자 중 6명(35.3%)은 결국 모두 담낭 절제술 후 2년 이내에 축성 CBD 직경이 유의미하게(> 1.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색 또는 관련 증상이 없는 121명의 환자 중 단 1명(0.1%)만이 담낭 절제술 후 intrahepatic duct (이하 IHD) 확장 > 3 mm를 보였던 반면, CBD 폐쇄가 있는 11명의 환자 모두 복통과 비정상 검사실 지수가 있었고 81.8% (9/11)가 IHD 및 CBD의 상당한 확장을 보였다. 결론 보상적 비폐쇄성 CBD 확장은 일반적으로 폐쇄성 확장과 비슷한 정도로 담낭절제술 후에 발생한다. 그러나 담낭절제술 후 담관 폐색과 관련 증상이 있거나, 의미 있는 IHD 확장 또는 2-3년 후 추가적인 CBD 확장이 발생하는 경우 CBD 폐쇄를 의심해야 한다.

Benign Recurrent Intrahepatic Cholestasis with a Single Heterozygote Mutation in the ATP8B1 Gene

  • Lee, Yun Seok;Kim, Mi Jin;Ki, Chang Seok;Lee, Yoo Min;Lee, Yoon;Choe, Yon Ho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5권2호
    • /
    • pp.122-126
    • /
    • 2012
  • Benign recurrent intrahepatic cholestasis (BRIC) is a rare autosomal recessive inherited disorder characterized by multiple recurrent episodes of severe cholestatic jaundice without obstruction of extrahepatic bile duct. We present the case of a 7-year-old boy with BRIC confirmed by mutation analysis in the ATP8B1 gene and typical clinical manifestation. Despite inheritance of BRIC, we detected a mutation on only one allele.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BRIC with a confirmed single heterozygote novel mutation in the ATP8B1 gene in Korea.

간내 간충병에 대한 간절제술 1예 (A Human Case of Hepatic Resection for Liver Fascioliasis In Korea)

  • 김홍진;노성균;심민철;권굉보;이헌주;장재천;이태숙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7권1호
    • /
    • pp.165-171
    • /
    • 1990
  •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는 1989년 11월에 한국에서 발병한 간흡충병의 여섯번째 증례로, 특히 간내 담관에 발생한 첫 증례를 우측 간엽 절제술 및 담낭 적출술로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간내 담관에 발생한 경우에는 간암과의 구별이 요구되어야 한다는 점을 상기 시키면서 증례보고와 더불어 문헌적 고찰을 하였다.

  • PDF

비결석, 비종양성 총담관 확장의 진단에 있어서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MRCP)의 유용성 (Usefulness of MRCP in the Diagnosis of Common Bile Duct Dilatation caused by Non-stone or Non-tumorous Conditions)

  • 정재준;양희철;김명진;김주희;이종태;유형식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6권2호
    • /
    • pp.129-136
    • /
    • 2002
  • 목적 : 총담관 확장을 유발하는 원인 중 결석과 종양을 제외한 여러 원인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MRCP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ERCP와 MRCP를 모두 시행받은 환자 26명 (남:여=15:11, 평균연령 62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중 12명은 역동적 MRCP를, 10명은 조영증강 MRI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총담관, 간내 담도, 췌관 등의 확장 정도, 간내 담도 결석, 췌장 가성낭종, 유두부의 부종이나 결절성 종대 등을 관찰하였다. 총담관은 T2-강조 관상영상에서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경우 7 mm 이상, 절제술을 받은 경우 10 mm 이상을 비정상적인 확장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환자의 총담관 평균 직경은 12.7mm(n=21, 9-19 mm)였고, 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평균 직경은 13.0 mm(n=5, 10-15mm)였다(p〉0.05). MRCP에서 담관염 11명(42.3%), 만성 췌장염 8명(30.8%), 원위부 총담관 협착 6명(23.1%), 팽대부 주위 게실 3명(11.5%), Vater 팽대부 협착, 오디 괄약근 기능장애, 췌장 두부의 국소적 췌장염이 각각 2명 (7.7%), 유두염, 췌장 두부 가성낭종에 의한 총담관 확장, 총담관 내 회충이 각각 1명(3.8%) 있었다. 췌관의 확장은 10명(38.5%)에서 보였고, 십이지장 게실은 3명(11.5%)에서 관찰되었다. 역동적 MRCP(n=12)에서 2명(16.7%)은 일반 MRCP에서 보이지 않던 원위부 총담관이 관찰되었고, 조영증강 MRI를 시행한 10명 중 1명 (10.0%)만이 유두염의 소견을 보였다. 결론 : 비결석, 비종양성 총담관 확장의 원인을 찾는데 있어서 MRCP는 총담관 원위부 협착 및 만성 췌장염, 역동적 MRCP를 이용한 생리적 총담관의 확장, 조영증강 MRI 를 통한 담관염 및 담관 외 병소의 발견 등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담도폐쇄증 진단에서 DISIDA 간담도주사의 진단적 의의 (Diagnostic Utility of Tc-99m DISIDA Hepatobiliary Scintigraphy in the Diagnosis of Biliary Atresia)

  • 이병선;최보화;김경모;김재승;문대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3권1호
    • /
    • pp.63-67
    • /
    • 2000
  • 목 적: 신생아 담즙정체증의 흔한 원인중 하나인 담도폐쇄증의 진단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Tc-99m DISIDA간담도 주사의 진단적 의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5년 1월부터 1999년 8월까지 4년 8개월 동안 서울 중앙병원 소아과와 소아외과에서 신생아담즙정체증으로 Tc-99m DISIDA간담도 주사를 시행한 6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60명의 환자 중에서 담도폐쇄증으로 14례(23%), 신생아 간염으로 33례(55%), 간내 담도형성부전증으로 9례(15%), 경정맥 고영양법으로 인한 황달로 4례(7%)가 진단되었다. Tc-99m DISIDA 간담도주사의 민감도는 100%를 보였고 특이도는 80%였다. 결 론: Tc-99m DISIDA 간담도주사에서 장관내 방사능이 관찰되면 담도폐쇄증을 진단에서 제외할 수 있지만 관찰되지 않을 경우에는 경피간침생검이나 시험적 개복술 등의 적극적인 진단방법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