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imacy Zon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3초

주거공동체에 대한 애착과 신뢰의 영향요인 분석 - 친밀권역(intimacy zone)의 회복을 위한 시각 - (Analysis of Place Attachment and Trust in Residential Community - Developing Strategies for the Revitalization of Intimacy Zone -)

  • 이종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1호
    • /
    • pp.53-60
    • /
    • 2015
  • Community is crucial for human beings not only because they are born with communal self but also because social cooperation is more efficient than competition in many cases. Human beings are defined as Homo communicus living in residential community which is important for the fulfillment of their primary needs. Residential community is an 'intimacy zone' where personal and emotional interactions are made.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health of residential community in Korea by exploring the level of place attachment and neighborhood trust. Previous studies indicate that place attachment and trust are influenced by three dimensions such as residents' characteristics, house types and regional environment. This study conducted a nationwide questionnaire survey and it shows that place attachment moulds neighborhood trust.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demonstrates that place attachment and trust appear high in detached house areas. Age of residents also gives positive influence on the level of place attachment and neighbourhood trust. This result gives significan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residential community in Korea. Residential community as an intimacy zone has been eroded and desperately needs to be revitalized. For this, more concern should be given to the issue of desirable size of residential community and the types of houses. Detached house area must be supported by governmental policies.

웹드라마 <오구실>의 내레이션 기능 연구 (The Function of Voice-over Narration in the Web-drama OH Ku-sil)

  • 류재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399-413
    • /
    • 2018
  • 이 연구는 <오구실>의 스토리텔링에 있어서 내레이션이 차지하는 중요성과 그 기능들을 이해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 1인칭 내레이션의 경우 주관적 진술을 통해 시청자와의 친밀감을 제고하였으며 하나의 내레이션이 두 개의 시간대와 연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인칭 내레이션과 달리 3인칭 내레이션은 기존 영상 매체에서의 역할로부터 그 쓰임새를 확장시키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오구실>의 3인칭 내레이션은 스토리 이해에 필수적인 정보를 시청자에게 전달하는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였다. 둘째, 기존 영상 매체에서의 객관적/권위적 진술로부터 주관적/권유적 진술로 그 기능이 변화하고 있었다. 셋째, 희화적인 진술을 통해 3인칭 내레이터가 해설자로부터 가상의 등장인물로 그 역할의 범위를 넓혀가고 있음 또한 확인하였다. 이는 빠듯한 시간 제약 하에서 효율적인 스토리텔링을 추구하는 웹드라마의 매체 특성에 대한 기존 내레이션의 대응으로 볼 수 있으며, 이처럼 진일보한 내레이션은 스토리 정보와 재미의 요소를 속도감 있게 전달하면서 기피해야 할 스토리텔링 방식에서 벗어나 웹드라마라는 새로운 매체의 필수 요소이자 존재 조건으로 진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