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stinal sten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8초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lectrospun PLGA/Gelatin Nanofiber Tube for Potential Intestinal Stent Application

  • Son, So-Ra;Franco, Rose-Ann;Bao, Trinh-Quang;Bae, Sang-Ho;Min, Young-Ki;Lee, Byong-Taek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1.1-51.1
    • /
    • 2011
  • An electrospun Poly (lactice-co-glycolide acid) (PLGA) and Gelatin nanofiber tube was fabricated for potential intestinal stent application. Mechanical properties of tube were evaluated by tensile strength and burst strength tests.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by contact angle measurement, swelling rates and porosity measurements. Biodegradability was investigated by immersion in simulated body fluid (SBF). Biocompatibility was investigated in vitro by cytotoxicity and proliferation studies by MTT assay, confocal microscopy and western blot using IEC-18 (Rat intestinal epithelial cell). After intestinal stent was implanted into rat bowel for periods from 7 to 10days, it was then analyzed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 CT) and X-ray techniques. Futhermore, histolog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hematoxylin-eosin (H&E) stain.

  • PDF

췌공장 스텐트의 공장으로의 이동으로 발생한 스텐트-돌 복합체 형성과 이로 인한 소장폐색: 증례 보고 (Migrated Pancreaticojejunal Stent Forming a Stent-Stone Complex in the Jejunum with Resultant Small Bowel Obstruction: A Case Report)

  • 김지원;김영한;이병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512-517
    • /
    • 2023
  • 췌공장문합술 후 췌관 내 스텐트를 삽입하는 것은 수술 후에 췌장루나 췌관 협착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널리 시행하는 술기이다. 그러나 삽입한 스텐트가 막히거나 이동하는 등 스텐트에 의해서도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저자들은 췌관에 삽입한 플라스틱 스텐트가 이동하면서 발생된 매우 드문 합병증의 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유문부 보존 췌두부십이지장 절제술 시행 후 췌장 내 삽입한 스텐트는 공장으로 이동하여 스텐트-돌 복합체의 근원으로 작용하여 공장 폐색을 일으켰다. 스텐트-돌 복합체는 탐색적 개복술로 제거되었다.

식도-공장 문합루에 대한 Stent 삽관치료 (Treatment of Esophagojejunostomy Leakage with Expanding Stent)

  • 박재길;이선희;이성호;곽문섭;김세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호
    • /
    • pp.77-81
    • /
    • 1998
  • 장관의 문합부전에 대하여 장관내 삽관이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라고 생각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보고는 찾아보기 드물다. 저자들은 식도와 위의 중복암 환자에서 식도-공장 문합술후에 발생한 문합부전에 대하여 식도내 삽관으로 매우 효과적이고 빠른 호전을 경험하였다. 식도내 삽관은 술후 제28병일에 시행하였으며, 삽입후 약 3주후부터 문합부 유출 및 염증소견들이 소실되었다. 수술후 약 11개월이 경과한 현재, 삽관은 약 1 cm 가량 하방으로 이동되어 있으나 더 이상의 변화는 없으며, 환자는 고형식사을 지속하고 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장문합부전의 제한된 경우에 있어서는 장관내 삽관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PDF

악성 위십이지장 협착 환자에서의 경피적 위 경유 스텐트 설치 (Percutaneous Transgastric Stent Placement for Malignant Gastroduodenal Obstruction)

  • 조범상;정규식;윤종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5호
    • /
    • pp.1175-1183
    • /
    • 2020
  • 목적 수술이 불가능한 악성 위십이지장 협착 환자에서 구강 경유 스텐트 설치술 실패 시 경피적 위 경유 스텐트 설치술의 기술적 타당성과 임상적 효용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이 연구는 2008년 10월부터 2016년 4월까지 악성 위십이지장 협착이 있는 환자 중, 구강 경유 스텐트 설치술이 어렵거나 실패하여 위 경유 스텐트 설치술을 시행한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는 췌장암 5명, 위암 2명, 전이암 2명이었다. 경피적 위루술(percutaneous gastrostomy) 후, 이 경로를 통해 이중 팽창성 스텐트를 협착 부위에 설치하였다. 기술적, 임상적 성공률과 합병증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 기술적 성공률은 8명의 환자에서 성공적으로 설치되어 88%였다. 1명의 환자에서는 협착 부위로 유도 철사가 통과되지 않아 실패하였다. 스텐트 설치 후, 7명의 환자에서 증상의 호전을 보여 임상적 성공률은 87.5%였다. 위루관은 9~20일 후(평균 12일) 제거되었다. 시술과 관련된 주요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36일(범위, 3~387일)이었고, 1명의 환자에서 스텐트 원위부에 종양의 과성장에 의한 재협착이 발생하였다. 결론 수술이 불가능한 악성 위십이지장 협착 환자에서 구강 경유 스텐트 설치술에 실패한 경우 경피적 위 경유 스텐트 설치술은 기술적으로 어렵지 않고 임상적으로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생각된다.

악성대장협착의 근치적 절제술을 위한 수술 전 투시장치 하 스텐트 설치술: 단기 및 장기 결과 (Fluoroscopic Stent Placement as a Bridge to Surgery for Malignant Colorectal Obstruction: Short- and Long-Term Outcomes)

  • 윤종혁;정규식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3호
    • /
    • pp.615-626
    • /
    • 2023
  • 목적 악성대장협착에서 스텐트 설치 후 시행한 단단계 수술의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악성대장협착으로 투시장치 하 스텐트를 설치하여 장세척을 한 후 수술을 시행한 46명의 환자(남:여 = 28:18, 평균 67.2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중 31명은 복강경수술, 15명은 개복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균 38.9개월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 무재발생존율과 전체생존율을 구하였고, 예후인자를 알아보았다. 결과 스텐트 설치 후 평균 10.2일 후에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전례에서 성공적으로 스텐트를 포함한 종양 절제 후 문합이 가능하였다. 수술 후 평균 입원기간은 11일이었다. 6명의 환자(13%)에서 수술 중 혹은 수술 후 병리 소견에서 장천공이 관찰되었다. 추적 기간 동안 10명의 환자(21.7%)에서 종양이 재발하였으며, 장천공이 관찰되었던 6명의 환자 중 5명에서 재발이 발생하였다. 장천공은 무재발생존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p = 0.010). 결론 악성대장협착에서 스텐트 설치 후 시행한 단단계 수술은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생각된다. 스텐트와 연관된 장천공이 재발의 위험인자였다.

고형물 삼킴장애로 내원한 환자 1례 (A Case of Metastatic Ampulla of Vater Cancer Achieving Cure)

  • 고원진;박원영;조준형;조주영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2권2호
    • /
    • pp.82-84
    • /
    • 2014
  • We report a case with dysphagia for solids. A 51-year-old man with benign esophageal stricture was transferred for endoscopic treatment. He had lye ingestion history at 9 years old and underwent esophagectomy with right colonic inter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the benign esophageal stricture. But his symptom was acting up 2 years ago and lasted afterward even though he had underwent endoscopic treatments for dysphagia several times, including balloon dilation and stent insertion. He had polypoid enhancing wall thickening around anastomosis site of stomach with perigastric soft tissue density and suspicious nodular extension to omentum on the small bowel computed tomography. So he had a surgical resection of small bowel and jejunojejunostomy, and the pathological result was adenocarcinoma, intestinal type with soft tissue infiltration. Later he underwent total gastrectomy with segmental resection of interpositional colon and segmental resection of duodenum and ileo-colic anastomosis revision. And recently he has been on chemotherap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