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view Image Making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2초

청소년수련시설 종사자의 서비스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Service Quality of Worker in the Youth Training Tacility)

  • 윤기혁;이진열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6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수련시설 종사자의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청소년수련시설 종사자의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여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부산광역시 소재 청소년수련시설 종사자 1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지지와 감정노동, 자기효능감이 서비스 질에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사회적지지를 높이기 위해 다른 기관 종사자와의 정기적인 네트워크 구축과 중간관리자와 면담, 상담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둘째, 감정노동을 높이기 위해 청소년지도사로서의 사명감 각인이 필요하다. 또한 심리·정서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해야 한다. 셋째,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행정적 슈퍼비전 강화와 함께 이미지 메이킹 등 관련 교육 등을 강화해야 한다.

Who has to take legal responsibility for retailer brand foods, manufacturers or retailers?

  • Cho, Young-S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2호
    • /
    • pp.97-109
    • /
    • 2011
  • As a marketing vehicle to survive in intensified retailing competition, retailer brand development has been adopted by retailers in Korea. As evidence, the retailer brand share of a major retailer, Tesco Korea, has grown from 20% in 2007 to 22.8% in the first half of 2008. It means that retailers have provided more and more retailer brand foods for customers. With the growing accessibility to retailer brand foods, it would be expected that the number of retailer brand food claims will increase. Customers have increasingly exposed to a variety of marketing activities conducted by retailers. When buying the retailer brand foods, customers tend to be affected by marketing activities of retailers. Despite the fact that customers trust retailers and then, buy their brand foods, in case of food accidents caused by production process, customers have to seek compensation from a retailer brand supplier. Of course, a retailer tends to shift its responsibility to its suppliers. Accordingly, it is not easy for customers to solve food claims. The research, therefore, aims at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ying-decision processes of retailer brand customers and which side takes legal responsibility for food claims. To effectively achieve the research aim, the author adopted a quantitative and a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 in order to supplement the disadvantages of each method. Before field research, based on the developed research model, the author pre-tested questionnaire with 10 samples, amended, and handed out to 400 samples. Amongst them, 316 questionnaires are available. For a focus group interview, 9 participants were recruited, who are students, housewives, and full-time workers, aged from 20s to 40s.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 as well as the questionnaire results, it was found that most customers were influenced by a retailer or store image in a customer's mind, retailer reputation and promotional activities. Surprisingly, customers think that the name of a retailer is a more important factor than who produces retailer brand foods, even though many customers check a retailer brand supplier, when making a buying-decision. Rather than retailer brand suppliers, customers trust retailers. That is why they purchase retailer brands. Nevertheless, production-related food claims is not involved with retailers. In fact, it would be difficult for customers to distinguish whether a food claim is related to selling or manufacturing processes. Based on research results, from a customer perspective, the research suggests that the government should require retailers to take the whole responsibility for retailer brand food claims, preventing retailers from passing the buck to retailer brand suppliers. In case of food claims, in order for customers to easily get the compensation,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current system. If so, retailers have to fully get involved in retailer brand production stage, and further, the customer awareness of retailer brands will be improved than ever before. Retailers cannot help taking care of the whole processes of retailer brand development, because of responsibility. As a result, the process to seek compensation for food claims might become easier, and further, the protection of customer right might be improved.

  • PDF

강제동원 구술자료의 관리와 활용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소장 구술자료를 중심으로- (Management and Use of Oral History Archives on Forced Mobilization -Centering on oral history archives collected by the Truth Commission on Forced Mobilization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Republic of Korea-)

  • 권미현
    • 기록학연구
    • /
    • 제16호
    • /
    • pp.303-339
    • /
    • 2007
  •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피해'라 함은 만주사변 이후 태평양전쟁에 이르는 시기에 일제에 의하여 강제동원 되어 군인 군속 노무자 위안부 등의 생활을 강요당한 자가 입은 생명 신체 재산 등의 피해를 말한다. 강제동원 피해 역사를 복원하기 위한 노력이 피해당사자, 유족, 시민단체, 학계 등에서 이루어져왔고, 그 결과 2004년 3일 5일 ${\ll}$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 진상규명등에 관한 특별법${\gg}$ (2007년 5월 17일 일부 개정)이 제정 공포되었다. 이를 근거로 2004년 11월 10일 국무총리 소속으로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이하 강제동원위원회)가 발족하였고, 2005년 2월 1일부터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피해의 진상을 규명하여 역사적 진실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업무는 강제동원 피해신고접수 및 피해신고조사(피해자 및 유족 심사 결정), 진상조사신청접수 및 진상조사, 진상조사 및 피해판정 불능에 관한 사항, 피해판정에 따른 호적정정, 강제동원 관련 국내외 자료수집 분석 및 보고서 작성, 유해발굴 및 수습 봉환, 사료관 및 추도공간 조성사업 등이다. 강제동원위원회는 피해조사 및 진상조사 업무를 위해 다양한 기록을 발굴 수집해 오고 있다. 여타 피해의 역사가 그러하듯이 이미 공개되었거나 새롭게 발굴되는 기록은 강제동원의 다양한 역사상을 확인하기 어려울 만큼 그 양이나 질에 면에서 부족하다. 피해의 역사에서 피해당사자의 이야기는 기록의 부재를 메우기도 하고, 기록 이상의 근거적 가치를 갖기도 한다. 강제동원위원회는 피해생존자와의 구술면담을 통해 다수의 구술자료를 생산하였고 조사업무에 활용하며 체계적인 관리방법을 토대로 관리하고 대중적인 활용까지 꾀하고 있다. 강제동원위원회의 구술자료는 생산 당시부터 철저한 기획에 의해 이루어졌고, 생산단계부터 관리와 활용의 편의성을 염두에 두고 디지털매체의 생산을 유도했다. 또한 조사업무 과정에서 생산되는 구술자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수차례 면담자 교육을 실시하고, 면담자로 하여금 구술당시의 상황을 면담일지로 남기도록 했다. 강제동원위원회는 소장 기록을 관리하는 별도의 기록관리시스템을 갖고 있지 않다. 디지털 아카이브는 피해 진상 관리시스템과 전자결재시스템을 통해 생산되어 관리되지 않는 생산 수집 기증 기록을 등록 검색하는 역할을 한다. 구술자료는 디지털 아카이브에 등록이 되어, 실물과 중복 보존되고 있다. 구술자료는 등록과 동시에 분류, 기술행위가 이루어지고 구술자료의 관리 아이디인 등록번호, 분류번호, 비치번호 등을 부여받게 된다. 강제동원위원회는 구술자료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하여 구술기록집의 발간을 지속적으로 해오고 있고, 영상물 등의 제작을 계획하고 있다. 강제동원위원회의 구술자료는 정부차원의 조사 업무 과정에서 생산된 것이라는 한계, 예산부족이나 기록관리시스템 등의 부재 등을 넘어서 한시조직으로서 가능한 적극적인 방법으로 생산 관리 활용되고 있다. 축적된 구술자료는 향후 특별법에 규정되어 있는 대로 사료관 등이 건립된다면 대중 이용자들을 위해 더 체계적으로 관리 활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