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trochanter fracture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Bipolar Hemiarthroplasty i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ith an Effective Wiring Technique

  • Jae-Hwi Nho;Gi-Won Seo;Tae Wook Kang;Byung-Woong Jang;Jong-Seok Park;You-Sung Suh
    • Hip & pelvis
    • /
    • 제35권2호
    • /
    • pp.99-107
    • /
    • 2023
  • Purpose: Bipolar hemiarthroplasty has recently been acknowledged as an effective option for treatment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Trochanteric fragment nonunion can cause postoperative weakness of the abductor muscle and dislocation; therefore, reduction and fixation of the fragment is esse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n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outcomes of bipolar hemiarthroplasty using a useful wiring technique for management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17 patients who underwent bipolar hemiarthroplasty using a cementless stem and a wiring technique for management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emoral fractures (AO/OTA classification 31-A2) at our hospital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20 were included in this study. Evaluation of clinical outcomes was performed using the Harris hip score (HHS) and the ambulatory capacity reported by patient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Koval stage at six months postoperatively. Evaluation of radiologic outcomes for subsidence, breakage of wiring, and loosening was also performed using plain radiographs at six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Among 217 patients, five patients di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as a result of problems unrelated to the operation. The mean HHS was 75±12 and the mean Koval category before the injury was 2.5±1.8. A broken wire was detected around the greater trochanter and lesser trochanter in 25 patients (11.5%). The mean distance of stem subsidence was 2.2±1.7 mm. Conclusion: Our wiring fixation technique can be regarded as an effective additional surgical option for fixation of trochanteric fracture fragments during performance of bipolar hemiarthroplasty.

족관절 골절 환자의 골밀도 분석 (Analysis of Bone Mineral Density of Ankle Fracture Patients)

  • 김태형;이재형;박승환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34-340
    • /
    • 2021
  • 목적: 족관절 골절과 골다공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족관절 골절 환자의 요추체와 대퇴골의 골밀도 값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4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족관절 골절로 진단받고, 수상 후 1년 이내 골밀도 검사를 시행했던 100명의 환자를 분석하였다. 수상 당시 연령에 따라 50세 미만, 50세 이상 70세 미만, 70세 이상의 세 군으로 나누었고, 골절의 유형은 단과골절, 양과골절, 삼과골절로 분류하였다. 골밀도는 요추체(요추 1-4번 평균치), 대퇴골 경부, 대퇴골 전자부, 대퇴골 전체의 T점수, Z점수 및 골밀도 절대값(g/cm2)을 분석하였다. 결과: 족관절 골절 환자는 여자의 수가 남자보다 3.2배 많았다. 연령별 군에 따른 골다공증의 유병률은 50세 미만 군에서 0%, 50-69세 군에서 24.2%, 70세 이상 군에서 15%였고, 이중 50-69세 군에서 삼과골절 환자의 30%가 골다공증으로 나타났다. 전체 환자 군에서 연령이 낮을수록 단과 골절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골밀도 값과 골절 유형과의 관계는 요추체의 T점수와 골밀도 절대값(g/cm2) 및 대퇴골 경부의 Z점수가 낮을수록 삼과 골절의 빈도가 증가하였으나, 이외의 다른 지표는 골절의 유형과 통계적으로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100명의 족관절 골절 환자를 분석한 결과, 여자의 수가 남자보다 많았으며 골다공증의 정도가 심하지 않을수록 삼과골절보다는 단과골절의 발생 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족관절 골절과 대퇴골 및 요추의 골밀도 값과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