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ational technology cooperation strategy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17초

국제공동기술협력 추진전략에 관한 연구: 한-인도 국방 공동기술협력 중심으로 (Study on the Strategies for Promoting Defense International Technology Cooperation: Based on the Korean and Indian Defense Joint Technology Cooperation)

  • 이형진;정선양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584-603
    • /
    • 2014
  • 세계적으로 국방연구개발비가 감소하고 있고 무기체계는 첨단으로 변모하고 있어, 제한된 예산을 가지고 순수하게 연구개발을 통해 무기체계를 확보하는 것은 쉽지 않게 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한정된 국방예산의 효율적 사용을 위해 국제공동기술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도와의 국제공동기술협력을 중심으로 추진전략을 분석하였다. 국방과학기술수준을 기반으로 협력분야를 3가지 그룹으로 식별하였으며, 각 그룹별로 협력 가능분야 및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효율적으로 인도시잠에 접근하기 위한 국방 R&D협력의 추진방안으로 법제도 정비 및 전문조직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2023 IMO 온실가스 전략이 국제해운에 미치는 포괄적 영향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Comprehensive Impact of the 2023 IMO GHG Strategy on International Shipping)

  • 이정윤;황대중;김민규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60권6호
    • /
    • pp.397-405
    • /
    • 2023
  • As interest in greenhouse gas reduction has increased in all sectors, the discussion of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to regulate pollution by ships is attracting attention in international shipping. At the 80th IMO MEPC held in July 2023, the 「2023 IMO Strategy for the Reduction of Green House Gases from Ships (MEPC. 377(80))」 was adopted, which included the net-zero target around 2050, and a firm intention to the decarbonization of the international shipping sector showed. In particular, energy, fuel and technology targets for zero or near-zero greenhouse gas emissions by 2030 were added as new targets, and total greenhouse gas emission checkpoints for 2030 and 2040 were added as an indicator for achieving the 2050 target. The IMO's goal setting for 2030, which is about seven years away, will impose a lot of technical, economic, and political burden despite the decarbonization technology of international shipping, which has grown to a significant level in a short period of time. Accordingly, this paper presents the comprehensive impact of the 2023 IMO GHG Strategy on international shipping.

해외 지식재산권 분쟁현황과 그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Infringement Status of Overseas Intellectual Property Right and Required Strategy)

  • 윤병섭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3-45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 지식재산권 분쟁현황을 분석하고 그 대응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특허 분쟁(국내/국외)은 2006년 7월말 현재 청구건수 기준으로 2,044건이 보고되고 있다. 이 중 외국 기업과의 특허분쟁(2000-2006)은 전기전자 분야 47건, 화학약품분야 9건, 기계분야 2건 등 58건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주요 국제 특허분쟁 사례, 즉 우리나라의 기업체가 외국기업체를 상대로 특허침해 소송을 제기하였거나 소송을 제기 당한 사례를 전기.전자 분야 47건 중 27건, 화학약품분야 9건 중 5건, 기계분야 2건 등 34건을 기술 분야별로 정리하였다. 이들 사례의 공통점은 대개 거액을 지불하고 분쟁을 타결한 경우로서 지식재산권 관리의 중요성과 분쟁 시 정부나 기업이 적절한 대응을 하여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해외 지식재산권 분쟁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대응방향이다. 특허권 침해물품의 국경조치 강화, 해외지식재산권보호센터 기능의 강화 등을 수행하여야 한다. 둘째, 기업의 대응방향이다. 지식재산중시 경영(no patent no future), 강한 특허권 창출 및 전략적 분쟁 대응, 특허 풀(patent pool) 형성 및 표준화에 적극 참여, 기술이전 및 라이센스 계약 관리의 전문화 등을 기하여야 한다.

  • PDF

성공적인 국제기술협력을 위한 유럽 2020 발전전략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2020 EU Development Strategies for International Technological Cooperation)

  • 김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745-5751
    • /
    • 2012
  • 전 세계적으로 한 국가의 가치사슬이 서로 협력 하에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특히 R&D 분야에서의 국제기술협력은 하나의 기업혁신 전략으로 정착되어가고 있다. 여기에 반해 우리나라의 국제기술협력 연구에 관한 노력은 매우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유럽은 산업기술진보가 가까운 장래에 고용을 창출한다면 과학기술연구는 먼 장래의 고용을 창출한다는 관점에서, 현재의 과학기술연구 추세가 미래 유럽의 고용창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식 아래 2020 발전전략을 발표하고 이 발전전략에 토대를 두고 EU회원국들은 기술협력 정책을 모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U의 2020전략에 토대를 두고 우리 정부가 EU권과의 국제기술협력 분야에서의 정책적 방안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논문 연구의 결과로는 현재 우리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EU FP정책에서 EU 2020발전전략에 토대를 두고 EU 8차 정책과 연관지어서 정책적 합의점을 도출하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우리나라 기업 국제공동연구 참여전략에 관한 연구 -EU의 EUREKA Cluster를 중심으로- (The Strategy for Participation of international R&D Cooperation for Korean Companies -specially EU Cluster Program-)

  • 김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648-653
    • /
    • 2012
  • 정부는 2008년에서 2012 과학기술 577전략을 발표하고 세계적인 과학 기술력을 가지기 위해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공동연구 사업은 총 예산 중 전체 예산의 1.3% 만이 투입되었다. 특히 EU권과의 국제공동연구에 대한 성과는 정부의 노력에 비해 크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국제 공동연구 참여전략 방안을 찾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그 중에서 특히 EU권 EUREKA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2장에서는 우리나라 기업들의 국제 공동연구 참여현황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제 3장은 국제공동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 그리고 제 4장에서는 연구방법 그리고 제 5장에서는 본 논문의 핵심인 EU의 EUREKA 공동연구 참여방안이 제시되었으며 제 6장에서는 결론 및 정책적 제안점을 도출하였다.

대구지역 섬유산업 스트림 공급망 협력체계 구축과 국제경쟁력 강화 방안 (International Competitive Improvement through Stream Supply Chain Cooperative System Building of Textile Industry in the Daegu District)

  • 류건우;김승호
    • 통상정보연구
    • /
    • 제12권2호
    • /
    • pp.3-27
    • /
    • 2010
  • This paper covers a plan to build supply chain cooperation systems among stream of the textile industry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o obtain the study objective, it has been reviewed the theoretical rationale relating to organizational cooperation model and discussion and performed the case study that analyzed stream group and participated firms to the textile stream policy project. The analyzed stream cooperative types that measured configuration of cooperative degree and productive type are new market creation, technology improvement, relation maintenance, and relation cease. Two types - new market creation and technology improvement - have significant effect of the textile stream cooperation. Key successful factors of these two effective types are the external intervention of specialized consulting organization and build internal coordination and integrated mechanism to the cooperative stream group and participated firms.

  • PDF

정지위성의 한ㆍ일 공동개발 추진전략 (A Study on the Strategy of Korea-Japan Space Cooperation for Development of Geostationary Satellite)

  • 김두환;길상철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80-491
    • /
    • 2003
  • When Korea develop a geostationary satellite (Communication. Broadcasting. Meteorology Satellite), it is more economical and effective to make as an international cooperation program from the first phase, because Korea doesn't have any experience of manufacturing a geostationary satellite. This paper discusses why Japan is appropriate for cooperating country, and suggests cooperation of space technology between Korea and Japan and setting up of the organization for Korea and Japan joint geostationary satellite develop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