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ational and Comparative Industrial Relation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과 중국 간의 교역관계 증진을 위한 산업경쟁력 분석 (Analysis on Industrial Competitiveness for the Promotion of Trad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 이성민;김창범
    • 통상정보연구
    • /
    • 제11권3호
    • /
    • pp.145-165
    • /
    • 2009
  • Nowadays, economic growth of China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Due to the demographic position and the market size, China-Korea trade relationship has grown tremendously and significantly. The Chinese relationship with the Korean industry has considerably increased over the years. Various trade competitiveness indices such as TSI, MRCAI, and IITI have been applied to measure the competitive advantage and the complementary of market structure between these two countries. For this purpose, the dataset from the year 2000 to 2008 provided by KITA were used. The MRCAI result show that Korea has specialized in the product of semiconductor, communication equipment, precision machine, automobile, and nonferrous metal. The intra-industry trade level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is rising in line with the dominance of vertical intra-industry trade(VIIT) trend.

  • PDF

미얀마 의류 무역결합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de Intensity of Garments in Myanmar)

  • 배홍균;강신원
    • 국제지역연구
    • /
    • 제21권1호
    • /
    • pp.137-161
    • /
    • 2017
  • 본 연구는 미얀마 의류산업에 있어 미얀마의 주요 수출대상국인 한국과 일본, 인접국이며 경제제재 이후로 미얀마와 지속적인 거래관계를 유지해오고 있는 중국, 태국을 선정해 의류산업 상호경쟁력을 살펴보고, 주요 의류상품별 무역결합도를 분석해 향후 미얀마 의류산업의 현실을 직시한 경쟁력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한국은 미얀마와 섬유산업에 있어 유사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국가와의 차이점에 따른 미얀마의 장점을 인식하고 한국이 미얀마 섬유산업에 있어 노동인력 양성, 산업관계 강화, 안전시설 강화, 건전한 노사관계 정립등 대책을 통한 미래지향적인 의류산업으로 발전할수 있어야 한다.

개성공단을 통해 본 의류산업의 New Paradigm (New Paradigm of Apparel and Sewing Industry seen through Gaeseong Industrial Complex)

  • 김정회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47-35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esent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production base for clothing business of South Korea through the analysis about textile/clothing industry production activities in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It is necessary for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to cope with the issue about FTA and country of origin, manpower supply and demand, paying wages and labor productivity, the exclusive industrial complex of clothing. The Country of Origin on imports and exports tells the country of manufacture or production, where the product comes from. Rules of Origin are the special regulations to determine the country of origin of a product and exist in the forms of international law, legislation, precedent and administrative decisions. But the economy in the North and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is a comparative advantage combined with elements of North-South interdependence as a South-North economic cooperation business and can contribute significantly to the stabilization of the North-South relations. Among the models using criteria of the determination of origin, it has directly provided the models of general regulation for offshore products, of limited offshore products. These models are to help Korean exporters in understanding and utilizing the Rules of Origin for their manufacturing.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the Gaeseong industrial complex will contribute to establish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in Northeast Asia. Also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s is essential for peace and prosperity of the Korean people.

국내의 부문 및 산업별 조합원의 규모와 그 변화 : 미시적인 사회·경제적 관점의 분석 (Sizes of Union Membership at Sector- and Industry-Levels and Their Shifts in Korea: A Micro Socioeconomic Analysis)

  • 정주연
    • 노동경제논집
    • /
    • 제29권2호
    • /
    • pp.117-143
    • /
    • 2006
  • 본 논문은 1963년부터 2003년까지의 40년간의 국내의 금속, 화학, 금융, 자동차 운수부문(sector)의 조합원 수가 시기별로 어떤 증가나 감소 패턴을 보이는가를 규명한다. 또한 이 4개 부문에 속한 산업(industry)인 금속부문의 자동차 조립, 자동차 부품, 조선산업, 화학부문의 시멘트, 석유정제, 제약산업, 금융부문의 민간은행업, 그리고 자동차 운수부문의 시내버스업에서 노조 조직률을 추정하여 산업별로 상대적 노조규모의 차이를 보여준다. 이러한 노조규모의 절대적인 혹은 상대적인 규모의 시기별 변화나 산업별 차이가 각 부문이나 산업이 처한 경제적 환경(성장 단계나 경로)과 제도적 환경(정부개입의 유형이나 정도) 및 사회적 환경(근로자들의 학력, 성별, 연령 혹은 회사의 규모 등의 산업구조)에 영향을 받는 사용자들이나 노조의 태도나 선택에 의해 설명된다. 부문이나 산업수준의 다양성을 고려한 본 논문의 미시적인 사회 경제적 이론들은 선진국의 국제비교 노사관계의 최근 연구들에서 나타나는 미시적인 연구의 필요성의 증가와 맥을 같이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