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ational Construction Expert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4초

녹색도로 구현을 위한 기술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chnology Priorities for Green Highway)

  • 이유화;조원범;김세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51-162
    • /
    • 2012
  • 기후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자연재해에 대한 뉴스는 더 이상 놀라운 일이 아니다. 우리나라 정부는 온실가스 특히 이산화탄소 저감에 대한 녹색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탄소 저감 및 에너지 효율화를 실현하고, 미래지향적인 녹색도로를 구현하기 위하여, 녹색도로기술을 정의하고, 기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내 도로와 교통 전문가 29인에게 AHP기법을 통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한 후에, Expert Choice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선택의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생애주기 변화와 도로 건설 특성을 고려한 1계층 분야와 녹색도로기술을 통하여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인 2계층 분야를 구분하여 전문가들의 선택을 분석한 결과, 탄소저감과 에너지 절감을 위해서는 1계층에서는 교통운영 인프라개선, 도로교통정책, 녹색교통 순으로 우선순위 가중치가 높으며, 2계층에서는 녹색도로 관련 기술 R&D투자 및 정책 지원, 녹색교통시설 설계 및 운영, 친환경 도로계획 순으로 우선순위 가중치가 높았다. 추가적으로 전문가들의 기술 우선순위와 국가 재정투자를 비교하기 위하여 2011년까지 5년간의 국토해양부 도로투자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최근 도로건설에 대한 투자보다는 도로의 효율성을 강조하고 이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도로 관리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다. 하지만 전문가들이 응답한 기술 목표를 달성하고 최종적으로 녹색도로 구현을 위한 핵심 및 요소기술 개발과 중소기업 기반 도로 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는 아직 미진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녹색도로 건설 구현을 위하여 녹색도로기술 개발 R&D투자를 도모하고 상업화를 지원하는 풍토가 조성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공동주택 분양 관리 단계의 BIM 기반 가상현실 적용성 확보를 위한 개선방향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s Direction for Applying BIM-based Virtual Reality of Apartment Sales Phase)

  • 이주연;김택중;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86-94
    • /
    • 2019
  • 건설프로젝트가 복잡화, 대형화됨에 따라 사업단계별 참여주체 간 의사소통 및 협업을 위해 BIM기술 도입이 가속화 되고, BIM을 활용한 효율적인 시각화 방식의 도입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BIM과 NUI 융복합 기술의 세계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공동주택의 분양단계는 고객의 의사결정을 위해 건축정보를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해야 하는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 분양단계 프로세스별 분양마케팅 전략 및 마케팅 사례분석을 통해 공동주택 분양단계의 현황을 분석하고, 분양마케팅 시 건축정보 전달 측면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해 AHP 기법을 활용하여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BIM 기반의 가상현실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South-South Collaborations: A Policy Recommendation Model for Sustainable Win-Win Infrastructure Partnerships Based on Sino - Ghana and Nigeria Case.

  • Eshun, Bridget Tawiah Badu;Chan, Albert P.C.;Oteng, Daniel;Antwi-Afari, Maxwell Fordjour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33-41
    • /
    • 2022
  • Infrastructure procurement has been a major engagement route between China and Africa. This contributes immensely to the gradual infrastructure development seen on the continent. However, maturing discourse purports that these infrastructure collaborations lack intentionality in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strategic guidelines and policie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despite their uniqueness and criticality. This study proposes that an efficient approach to policy recommendations is through the political and economic analysis (PEA) of these partnerships using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optics. Unquestionably, these partnerships are representative of the concept of diplomatic transnational public-private partnership (DT-PPP) where infrastructure is procured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public (African governments) and private sector (Chinese state-owned corporations) who provide the managerial, financial, and technical resources for the project implementation. Given the quest for sustainable win-win, this study identifies strategies towards the realization of win-win in the implementation (i.e enablers of win-win) such that fairness and co-benefit, as well as interests, will be achieved. Thus, based on the PEA framework, case scenarios from Ghana and Nigeria using expert interviews identify the criticalities and best practices for the realization of these enablers at the development phase. Findings indicate more effort is required of the public sector (African host countries) in terms of people, structure/institutions, and the implementation processes. Recommendations includ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tructures, contract administration procedures, external stakeholders/local community engagement mechanisms, knowledge and technology transfer procedures, and sector-based project operation and maintenance culture and systems. Additionally, actors must have emotional intelligence, good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overall ensure cordial relationships for continued bilateral cooperation.

  • PDF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 성과 평가 툴 개발 : 2단계 - 폐기물 관리 성과 요인의 전량화 및 평가 툴 구축 (Development of the Construction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Tool (WMPET): Quantification of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Factors and Establishment of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Tool)

  • 김지혜;신동우;차희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128-136
    • /
    • 2007
  • 1997년 교토의정서 체결과 같은 국제적 차원의 환경관련 규제와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많은 연구들이 효과적으로 친환경성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나 기술의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본 연구는 건설 프로젝트의 친환경성을 평가하는 도구의 일환으로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 성과 평가 툴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 평가 툴의 목적은 폐기물 저감 및 재활용 확대 측면에서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 성과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 툴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으로서, 선행연구에서 파악된 폐기물 관리 성과 요인의 성과 수준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기 위해 전문가 면담 및 설문을 통해 각 요인별 관리 행위 수준과 이들의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평가 툴 구축 개념을 기반으로 실질적으로 전산화된 평가 툴을 개발하여 개별 건설현장 차원에서의 평가가 용이하도록 했다. 특히, 평가의 결과로서 제시되는 최종지표(TI) 및 지표등급(IR)은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 수준을 정량적으로 비교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폐기물 관리 성과 평가 툴은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효과를 증진시키기 원하는 시공자 측면뿐만 아니라, 발주자 측면에서도 일정정도의 폐기물 관리수준을 객관적으로 요구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범위가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과 신뢰도를 검증하는 등의 세부적인 연구가 뒤따른다면 보다 효과적인 건설폐기물 관리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How to automatically extract 2D deliverables from BIM?

  • Kim, Yije;Chin, Sangyoo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253-1253
    • /
    • 2022
  • Although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changing from a 2D-based to a 3D BIM-based management process, 2D drawings are still used as standards for permits and construction. For this reason, 2D deliverables extracted from 3D BIM are one of the essential achievements of BIM projects. However, due to technical and institutional problems that exist in practice, the process of extracting 2D deliverables from BIM requires additional work beyond generating 3D BIM models. In addition, the consistency of data between 3D BIM models and 2D deliverables is low, which is a major factor hindering work productivity in practice.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build BIM data that meets information requirements (IRs) for extracting 2D deliverables to minimize the amount of work of users and maximize the utilization of BIM data. However, despite this, the additional work that occurs in the BIM process for drawing creation is still a burden on BIM users. To solve this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 BIM process by automating the process of extracting 2D deliverables from BIM and securing data consistency between the BIM model and 2D deliverables. For this, an expert interview was conducted, and the requirements for automation of the process of extracting 2D deliverables from BIM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quirements, the types of drawings and drawing expression elements that require automation of drawing generation in the design development stage were derived. Finally, the method for developing automation technology targeting elements that require automation was classified and analyzed, and the process for automatically extracting BIM-based 2D deliverables through templates and rule-based automation modules were derived. At this time, the automation module was developed as an add-on to Revit software, a representative BIM authoring tool, and 120 rule-based automation rulesets, and the combinations of these rulesets were used to automatically generate 2D deliverables from BIM.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automatically create about 80% of drawing expression elements, and it was possible to simplify the user's work process compared to the existing work. Through the automation process propos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productivity of extracting 2D deliverables from BIM will increase, thereby increasing the practical value of BIM utilization.

  • PDF

Assessment of Masks Used by Healthcare Worker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ask Qualitative Assessment Tool (MQAT)

  • Gharibi, Vahid;Cousins, Rosanna;Mokarami, Hamidreza;Jahangiri, Mehdi;Keshavarz, Mohammad A.;Shirmohammadi-Bahadoran, Mohammad M.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3호
    • /
    • pp.364-371
    • /
    • 2022
  • Background: Respiratory masks can provide healthcare workers with protection from biological hazards when they have good performance. There is a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specifications of a mask and its efficacy; thu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ools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of masks used by healthcare workers. Methods: A mixed-methods design was used to develop a qualitative assessment tool for medical face masks (MFM) and particle filtering half masks (PFHM). The development of domains and items was undertaken using observation and interviews, the opinions of an expert panel, and a review of texts and international standards. The second phase evalua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ools. Finally, the validated Mask Qualitative Assessment Tools (MQAT) were used to assess six samples from 10 brands of the two types of masks. Results: MQAT-MFM and MQAT-PHFM shared 42 items across seven domains: "cleanliness," "design," "marking, labeling and packaging," "mask layers," "mask strap," "materials and construction," and "nose clip." MQAT-MFM included one additional item. MQAT-PHFM included another nine items associated with an eighth "Practical Performance" domain, and the valve version had another additional "Exhalation Valve" domain and six items. The evaluation indicated 80% compliance for MFM and 71% compliance for PFHM. "Marking, labeling and packaging" and "Layers" were associated with the least compliance in both types of masks and should be checked carefully for defining mask quality. Conclusion: MQAT can be used for immediate screening and initial assessment of MFM and PHFM through appearance, simple tools, and visual inspection.

AHP분석을 활용한 스마트항만 기술 도입 우선순위 도출 - 광양항 자동화부두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Smart Port Technology Introduction Priorities Using AHP Analysis - Focusing on the automation pier of Gwangyang Port -)

  • 한승훈;안승현;이혜령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79-90
    • /
    • 2024
  • 본 연구는 광양항 자동화부두 도입되어야하는 기술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최근 세계 선진 항만들은 전영역 완전 무인 자동화 항만 도입뿐만 아니라 디지털화·스마트화를 추진중이다. 반면, 우리나라는 이제 초기 단계에 진입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국내 스마트항만 촉진하고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광양항에 완전 자동화부두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광양항 자동화부두는 국내 항만분야의 다양한 첨단기술을 검증하고, 더욱 고도화되는 기술들에 대응할 수 있는 선진형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양항의 스마트항만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스마트항만 관련 첨단기술 Pool을 도출하고, 전문가 설문을 통해 먼저, AHP 분석을 활용하여 기술특성, 기술도입 시급성을 기반으로 기술 속성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또한, 속성별 가중치와 각 기술별 중요도 점수를 종합하여 광양항 스마트항만 구축을 위한 스마트항만 기술 도입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자동화·최적화 관련 기술들이 우선순위가 높았고, 친환경·에너지 관련 기술은 대부분 하위로 나타났다.

고속철도사업 활성화 및 건설업체의 해외사업참여 확대방향 연구 (Strategy Development for Expanding High-speed Railway into both Korean Domestic Market and Foreign Market)

  • 박희대;박형근;장현석;한승헌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1D호
    • /
    • pp.119-126
    • /
    • 2011
  • 지구온난화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세계 각국이 환경친화적인 녹색성장 방안을 제시하는 가운데, 고속철도사업은 환경친화적인 글로벌 패러다임에 적합한 상품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지난 40여 년간 도로 위주의 건설정책으로 철도분야 투자는 도로의 40~50%에 불과하며, 미국발 금융위기의 영향과 민간투자사업과 관련한 제도적 지원 미흡으로 인해 SOC 투자의 민간 비중 역시 매우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제한된 예산으로 효율적인 고속철도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민간투자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전략의 발굴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고속철도 건설사업은 향후 해외건설시장의 큰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2010년 600억 달러 이상의 비약적인 해외건설수주에도 불구, 철도 분야 수주실적은 매우 미비하여 우리 건설업체들이 해외건설시장에서 구축한 브랜드이미지와 독자적인 고속철도기술의 결합을 통한 시너지 창출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해외 고속철도 시장동향 및 우리업체의 역량수준 분석을 통한 건설업체 관점의 해외 고속철도사업 진출전략의 수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고속철도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민간투자자의 참여유도 방안을 수립하고, 해외고속철도사업 진출을 위한 컨소시엄 모델 정립 및 제도적 정책적 국내 국외시장 지원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고속철도사업의 영역을 국내와 해외로 나누어 자료수집 및 동향 분석 등을 개별적으로 수행하였으며, 고속철도 분야에 대한 건설업체의 인식수준 및 니즈, 활성화 전략의 실효성 검토를 위한 설문조사 및 업계 전문가 심층 면담을 함께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활성화 및 참여확대 방안은 1) BTL방식의 철도사업 추진 및 민간의 참여 유도를 위한 부대사업 관련 법률 개정, 2) 민간선투자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업체의 신용도에 따른 팩토링 금리 수준의 인센티브 수준 상향 조정, 3) 호남~제주 해저고속철도사업의 추진, 4) Total Service제공을 위한 신흥시장 진출 컨소시엄 모델의 정립, 5) 고속철도 기술의 해외진출 및 우리 업체들의 해외참여 확대를 지원하기 위한 한국철도협회의 역량 제고, 6) 글로벌 인프라펀드 규모의 확대이며, 이와 같은 전략추진을 통해 국내 고속철도시장의 활성화 및 우리 업체들의 해외사업 참여확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목재 및 펄프·제지 분야 한국산업표준(KS)의 운영현황과 방향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n the Management of the Korean Standards (KS): Woods, Pulp and Papers)

  • 신현경;최용석;김건호;엄창득;박주생;심국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7권2호
    • /
    • pp.205-217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산업표준(KS)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범부처 참여형 표준운영 정책이 실시됨에 따라 목재 및 펄프 제지 산업표준과 관련하여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표준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단계적인 표준 정비방안과 표준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산림청은 2015년에 목재 및 펄프 제지산업분야 KS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이관 받아 현재는 426종의 관련 표준을 관리 운영하고 있으며 3개 분야 전문위원회(목재 목조건축분야, 목질재료분야, 펄프 제지분야)와 목재 제지 기술심의회를 신설하여 표준의 제 개정 안건을 심의 하도록 하였다. 목재 및 제지 산업분야의 국가표준이 전문 부처에서 관리되는 만큼 기술 경쟁력 향상과 시장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기존 표준의 재정비와 실용적인 표준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서 표준 운영에 대한 체계 수립과 전략적인 표준 분석이 필요하다. 더 나아가 KS와 국제 표준과의 부합화를 통해 국제 무역에서 표준의 상이성에 따른 기술 장벽이 되지 않도록 하며,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과 표준개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전문 인력의 육성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과학과 교육 내용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내용 관련 쟁점 분석 (An Analysis of Content-related Issues of Curriculum for the Improvement of Contents in Science Education)

  • 이재봉;김용진;백성혜;이기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1호
    • /
    • pp.140-154
    • /
    • 2010
  • 교과 교육의 핵심은 교과의 교육 목표에 맞게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비하여 과학교육 내용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교육 내용 개선을 위한 방안을 찾고자 했다. 우선 과학교육 내용 개선에 관하여 그동안의 선행 연구 분석과 앞서의 교육 내용 변화 분석을 통해 나타난 교육 내용과 관련된 주요 쟁점을 도출하였다. 교과 교육 내용의 본질, 배경, 선정, 구조화 측면에 입각하여 과학교육에서 내용의 본질, 교육과정 변화의 사회문화적 배경, 교육과정 내용 선정 절차의 합리성, 교과별 핵심 내용의 선정, 학년 간 개념의 수준과 위계성, 교육 내용의 국제 비교, 교육 내용의 현대화, 내용의 재구조화 방안을 교육 내용 개선을 쟁점으로 보았다. 추출된 쟁점의 의미를 보다 구체화하여 각 쟁점별로 구체적인 문제점이 무엇이고 어떠한 개선 방안이 있는지 찾기 위해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분석하였다. 전문가 집단은 전공과 학교급을 고려하여 19명을 선정하였으며, 각 쟁점별 동의 정도와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였다. 구체적인 개선방안은 과학교육 내용의 본질의 대한 의견을 수렴 및 합의, 영역별 핵심내용을 선정, 교육 내용 간 통합과 연계 구조도를 개발, 과학 탐구의 목표를 학년별로 명시적 제시, 통합 교과를 지향 및 교과서 구성의 다양화 등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