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al mammary lymph nod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4초

Internal Mammary Sentinel Lymph Node Biopsy after Neoadjuvant Chemotherapy in Breast Cancer

  • Bi, Zhao;Chen, Peng;Liu, Jingjing;Liu, Yanbing;Qiu, Pengfei;Yang, Qifeng;Zheng, Weizhen;Wang, Yongsheng
    • Journal of Breast Cancer
    • /
    • 제21권4호
    • /
    • pp.442-446
    • /
    • 2018
  • Purpose: The definition of nodal pathologic complete response (pCR) after a neoadjuvant chemotherapy (NAC) just included the evaluation of axillary lymph node (ALN) without internal mammary lymph nod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internal mammary-sentinel lymph node biopsy (IM-SLNB)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who underwent NAC. Methods: From November 2011 to 2017, 179 patients with primary breast cancer who underwent operation after NAC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patients received radiotracer injection with modified injection technology. IM-SLNB would be performed on patients with internal mammary sentinel lymph node (IMSLN) visualization. Results: Among the 158 patients with cN+ disease, the rate of nodal pCR was 36.1% (57/158). Among the 179 patients, the visualization rate of IMSLN was 31.8% (57/179) and was 12.3% (7/57) and 87.7% (50/57) among those with $cN_0$ and cN+ disease,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detection rate of IMSLN was 31.3% (56/179). The success rate of IM-SLNB was 98.2% (56/57). The IMSLN metastasis rate was 7.1% (4/56), and all of them were accompanied by ALN metastasis. The number of positive ALNs in patients with IMSLN metastasis was 3, 6, 8, and 9. The pathology nodal stage had been changed from $pN_1/pN_2$ to $pN_{3b}$. The pathology stage had been changed from IIA/IIIA to IIIC. Conclusion: Patients with visualization of IMSLN should perform IM-SLNB after NAC, especially for patients with cN+ disease, in order to complete lymph nodal staging. IM-SLNB could further improve the definition of nodal pCR and guide the internal mammary node irradiation.

Recurrent Encapsulated Papillary Carcinoma in the Ipsilateral Internal Mammary Lymph Node: a Case Report

  • Jung, Chi Hyung;Kim, You Me;Kim, Hee Jeong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6권1호
    • /
    • pp.43-47
    • /
    • 2022
  • Encapsulated papillary carcinoma (EPC) is an uncommon breast malignancy that is known to be indolent and associated with an excellent prognosis. However, there is a rare possibility of locoregional relapse or metastasis. Here, we present a case of recurrent EPC in the ipsilateral internal mammary lymph node (IMLN) that was detected in the postoper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with abbreviated protocol (AB-MRI). AB-MRI could facilitate the early detection of recurrent disease in the IMLN and may provide prognostic gain for such patients.

Radiotherapy for initial clinically positive internal mammary nodes in breast cancer

  • Kim, Jina;Chang, Jee Suk;Choi, Seo Hee;Kim, Yong Bae;Keum, Ki Chang;Suh, Chang-Ok;Yang, Gowoon;Cho, Yeona;Kim, Jun Won;Lee, Ik Jae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91-100
    • /
    • 2019
  • Purpose: Internal mammary lymph node (IMN) involvement is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in breast canc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atment outcomes of initial clinically IMN-positive breast cancer patients who received adjuvant radiotherapy (RT), including IMN irradiation, following primary breast surgery.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data of 95 breast cancer patients with clinically detected IMNs at diagnosis treated with surgery and RT between June 2009 and December 2015. Patients received adjuvant RT to the whole breast/chest wall and regional lymph node (axillary, internal mammary, and supraclavicular) areas. Twelve patients received an additional boost to the IMN area. Results: The median follow-up was 43.2 months (range, 4.5 to 100.5 months). Among 77 patients who received neoadjuvant chemotherapy, 52 (67.5%) showed IMN normalization and 19 (24.6%) showed a partial response to IMN. There were 3 and 24 cases of IMN failure and any recurrence, respectively. The 5-year IMN failure-free survival, disease-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OS) were 96%, 70%, and 84%, respectively. IMN failure-free survival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resection margin status (97.7% if negative, 87.5% for close or positive margins; p = 0.009). All three patients with IMN failure had initial IMN size ≥1 cm and did not receive IMN boost irradiation. The median age of the three patients was 31 years, and all had hormone receptor-negative tumors. Conclusion: RT provides excellent IMN control without the support of IMN surgery.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ncluding IMN boost for breast cancer patients, is a safe and effective technique for regional lymph node irradiation.

유방보존술 후 내유림프절 방사선 조사: 방사선 폐렴과 체적-선량 히스토그램 변수들 (Internal Mammary Lymph Node Irradiation after Breast Conservation Surgery: Radiation Pneumonitis versus Dose-Volume Histogram Parameters)

  • 김주영;이익재;금기창;김용배;심수정;정경근;김종대;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261-267
    • /
    • 2007
  • 목적: 방사선 폐렴과 체적-선량 히스토그램(dose-volume hlstogram, DVH) 변수들 사이의 연관성을 평가하고, 내유림프절이 포함된 유방암의 방사선치료에서 방사선 폐렴을 방지할 수 있는 실제적인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부분유방절제술을 받은 초기 유방암 환자 20명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전체 유방, 상부쇄골림프절, 내유림프절에 총 28회 50.4 Gy가 조사되었다. 방사선 폐렴은 방사선 영상에서의 폐 변화(radiological pulmonary change; RPC)와 증상이 있는 방사선 폐렴(symptomatic radiation pneumonitis)에 의해 평가되었다 DVH 변수들은 grade<2 RPC와 grade${\geq}$2 RPC로 나누어 비교되었다. 이 때, DVH 변수들은 평균 폐 선량(mean lung dose), V10 (10 Gy 이상 받는 폐의 백분율 부피), V20, V30, V40, 그리고 정상 조직 합병증 확률(normal tissue complication probability, NTCP)이다. 결 과: 20명의 환자 중 9명(45%)에서 grade 2 RPC가 발생하였고, 11명(55%)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1명의 환자에서 grade 1의 증상이 있는 방사선 폐렴이 발생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DVH 변수 중, NTCP가 두 RPC grade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p<0.05) Fisher의 정확한 검증(exact test)은 NTCP값 45%가 RPC의 threshold level로서 적합함을 보여준다. 결 론: 본 연구는 NTCP가 유방암의 내유림프절 방사선치료 후 RPC 예측인자 중 한가지로 쓰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임상적으로 이는 NTCP 45% 이상에서 RPC가 발생하기 용이함을 의미한다.

유방 보존술 후 내유림프절을 포함하는 방사선치료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adiotherapy Techniques for the Breast Including Internal Mammary Lymph Nodes)

  • 정경근;심수정;유세환;김용배;금기창;김종대;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35-41
    • /
    • 2009
  • 목적: 유방암 환자에서 부분적 유방절제술 후 내유림프절(internal mammary lymph node: IMN)을 포함하여 방사선 치료하기 위한 최적의 치료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초기 유방암으로 부분적 유방절제수술을 받고 방사선치료를 받은 10명의 환자들의 CT simulation 데이터를 얻어서 각 환자들에서 4가지 치료방법을 계획하고 평가하였다. 5명은 오른쪽 유방을, 나머지 5명은 왼쪽 유방을 치료 받았다. 각 환자에서 유방, 쇄골 상부 림프절(supraclavicular lymph node: SCL), IMN (위쪽 3개의 늑골 사이에 있는 림프절만 포함)을 조사하는 치료계획을 하였다. IMN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4가지 방식, 즉 표준적인 접선방향 치료(Standard Tangential Field: STF), 확장접선치료 방법(Wide Tangential Field, WTF), 부분 확장접선치료 방법(Partially Wide Tangential Field: PWT), 광자와 전자를 혼합한 방법(Photon-Electron Mixed 5 Field: PEM)을 사용하였다. SCL field는 3 cm에, 유방조직은 중심점에 50.4 Gy를 28회에 나누어 치료하도록 처방하였다. 결과: 각각의 치료 기법은 환자마다 차이는 있었으나 뚜렷한 특징을 보였다. 유방조직의 선량은 각 치료 기법마다 큰 차이가 없었다. IMN는 치료 기법마다 차이가 있으나 STF를 제외한 세 가지 방법은 대체로 IMN을 잘 감싸고 있었다. 왼쪽 유방을 치료하는 경우 심장이 받는 선량은 고선량 영역에서는 WTF, PWT, PEM, STF의 순으로 많은 체적에 선량을 받았으며 낮은 선량 영역에서는 PEM, WTF, PWT, STF의 순이었다. 동측 폐의 선량 역시 마찬가지의 순서를 보였다. Lyman-Kutcher-Burman model에 의한 방사선 폐렴에 대한 NTCP는 개인별 편차가 컸다. 대체로 STF가 가장 작고 PWT가 다음이었으나 PEM와 WTF의 경우는 환자마다 큰 차이를 보였다. 결론: 환자들의 다양한 체형에도 불구하고 IMN를 포함하여 치료하는 경우 PWT가 폐와 심장의 조사선량을 줄이고 IMN에 표적선량을 전달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Deep inspiration breath-hold (DIBH) 적용한 림프절이 포함된 왼편 유방암의 방사선 치료계획에 따른 주변 장기 선량 평가

  • 정다이;강효석;최병준;박상준;이건호;이두상;안민우;전명수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7-35
    • /
    • 2017
  • 목 적: 왼편 유방암 환자의 경우 오른편 유방암 환자보다 심장과 폐 등 정상장기에 불필요한 선량이 일부 조사됨에 따라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이를 줄이기 위해 DIBH기법을 시행하고 있다.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의 치료계획 방법에 따라 쇄골상 림프절과 내유 림프절을 포함한 왼편 유방암의 경우 주변 장기의 선량 값을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왼편 유방암 환자 중 쇄골상 림프절과 내유 림프절을 포함한 환자 8명을 대상으로 Free Breathing과 Deep inspiration breath-hold 기법을 적용하여 각각 CT-Simulation을 시행한다. 획득한 영상을 기반으로 체표윤곽을 그려 95 %$D_{max}$<110 %이 되도록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방법으로 계획하였다. Conventional Radiation Therapy는 쇄골상 림프절에 1문조사, 유방 부분에 접선 2문조사로 Field in Field 기법을 사용하였다.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는 7개의 조사면으로 구성하였다.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은 회전반경을 $290^{\circ}{\sim}179^{\circ}$으로 한 2 ARC를 이용하여 계획을 수행하였다. Eclipse의 선량체적용적을 참고하여 주변 정상 장기 선량을 분석하였다. 결 과: Deep inspiration breath-hold기법을 적용함으로 심장과 흉벽 사이의 간격은 평균 $1.6{\pm}0.6cm$ 증가하였다. 폐의 평균 선량은 $19.2{\pm}1.0Gy$로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에서 가장 작은 값이 나타났다. 심장의 $V_{30}(%)$$2.0{\pm}1.9$로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에서 가장 작은 값이었다. 좌전하행 관상동맥에서는 평균 선량이 $25.4{\pm}5.4Gy$로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에서 가장 작은 값으로 나타났다. 반대편 유방의 최대선량 값은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일 때 $29.7{\pm}4.3Gy$로 가장 작은 값으로 나타났다. 결 론: 주변 정상장기 선량의 값을 비교해 보았을 때,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와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은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값으로 나타났다. 이 중 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가 적합한 치료계획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비소세포폐암에서 Maspin의 발현과 임상적 의의 (Maspin Expression and Its Clinical Significance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윤성훈;김원진;신경화;김미현;조우현;김기욱;박혜경;전두수;김윤성;이창훈;이민기;박순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0권2호
    • /
    • pp.132-138
    • /
    • 2011
  • Background: Maspin (mammary serine protease inhibitor) is a member of the serpin superfamily. A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role of maspin in tumor suppression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however, its role i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NSCLC still remains controversial. We evaluated the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of maspin in order to elucidate its clinical significance in NSCLC. Methods: We analyzed 145 patients with pathologically confirmed NSCLC, including 66 c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s (SCCs) and 79 cases of adenocarcinomas (ADCs). We performed a immuno-histochemical stain with maspin and PCNA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using tissue microarray blocks. Results: There were 108 men and 37 women in the study population. The mean age of patients in the study was 63.7 years (range, 40.0~82.0; median, 65.0). The proportion of maspin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Cs (52/66, 78.8%; p<0.01) than in ADCs (17/79, 21.5%; p<0.01). Maspin expression was not associated with PCNA (p=0.828), lymph node involvement (p=0.483), or tumor stage (p=0.216), but showed correlation with well-to-moderate tumor differentiation (p=0.012). There was no observed correlation between maspin expression and survival with NSCLC (p=0.218).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maspin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Cs than in ADCs and was associated with low histological grade. However, maspin expression was not an independent factor to predict a prognosis in NSCLC.

1998, 1999년도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근치적 유방 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 현황 조사 (The 1998, 1999 Patterns of Care Study for Breast Irradiation after Mastectomy in Korea)

  • 금기창;심수정;이익재;박원;이상욱;신현수;정은지;지의규;김일한;오도훈;하성환;이형식;안성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1호
    • /
    • pp.7-15
    • /
    • 2007
  • 목 적: 유방암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적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고 궁극적으로 치료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사선 치료 기술 표준화를 위하여 우리나라 전국 병원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형태 조사연구(patterns of care study, PCS)를 계획하였다. 그 두 번째 단계로 근치적 유방 전절제술 후 시행한 방사선치료 방법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사하고자 하는 입력 문항을 개발하였고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조사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Web 기반 입력 프로그램(www.pcs.re.kr)을 개발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1998년도에 근치적 유방 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로 전수 조사를 하지 않고 임의 추출하여 조사하였다. 입력 문항은 149개로 병력과 이학적 소견, 수술 소견과 병리소견, 항암화학요법, 호르몬요법, 방사선치료계획, 방사선치료, 치료 중 부작용, 치료 효과, 합병증 등 9군으로 나누어져 있다. 17개 병원에서 입력된 286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 과: 연령은 $20{\sim}81$세(중앙값 44세)였다. 환자의 병기는 AJCC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6판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T1: 9.7%, T2: 59.2%, T3: 25.6%, T4: 5.2%이었으며 T0가 1예 있었다. 액와림프절 곽청술에서 떼어낸 림프절이 10개 미만인 환자가 10.5%, 10개 이상인 환자가 86.7%이었으며 7.3% 환자에서 림프절 전이가 없었고, 림프절 전이가 3개 이하인 경우가 14%, $4{\sim}9$개가 38.8%, 10개 이상 전이된 경우가 38.5%였다. 따라서 병기 I기: 0.7%, IIa기: 3.8%, IIb기: 9.8%, IIIa기: 43.0%, IIIb기: 2.8%, IIIc기: 38.5%이었다. 방사선치료가 시행된 시기에 따라서는 수술 후에 항암약물치료를 마치고 방사선치료를 한 경우가 47.9%로 가장 많았고, 수술 후 약물치료를 시행하고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후에 다시 약물치료를 시행한 경우가 35.0%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수술 전 약물치료를 시행하고 그 후에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도 12.5%였다. 방사선치료 범위는 전체의 5.6%가 흉벽만 치료받았고 20.3%는 흉벽과 쇄골상 림프절을, 27.6%는 흉벽과 쇄골상 림프절과 내유방림프절을, 25.9%에서는 흉벽과 쇄골상 림프절을 치료하면서 액와 후방조사를, 19.9%에서는 흉벽과 쇄골상 림프절과 내유방림프절을 치료하면서 액와 후방조사를 시행하였다. 2예(0.7%)에서는 내유방림프절만 치료하였다. 흉벽의 방사선치료 방법에 있어서는 57.3%에서 양쪽 접선조사를 사용하였고, 42%에서는 전자선으로 치료하였다. 양쪽 접선조사를 시행한 경우에는 54.8%에서 조직보상체를 사용하였고, 전자선으로 치료한 경우는 52.5%에서 사용하였으며 흉벽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91.3%에서 $45{\sim}50.4\;Gy$이었으며, 5.9%에서 그 이상이 2.8%에서 그 미만이 조사되었다. 쇄골상 림프절에 조사된 방사선량은 89.5%에서 $45{\sim}50.4\;Gy$이었으며, 2.4%에서 그 이상이 8%에서 그 미만이 조사되었다. 결 론: 유방 보존술 후 방사선치료와는 달리 근치적 유방 전절제술 후 방사선치료는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치료방법에 따른 치료성적을 분석함으로써 적절한 방사선 치료 방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1998, 1999년도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유방보존수술 후 방사선치료 현황 조사 (The 1998, 1999 Patterns of Care Study for Breast Irradiation After Breast-Conserving Surgery in Korea)

  • 서창옥;신현수;조재호;박 원;안승도;신경환;정은지;금기창;하성환;안성자;김우철;이명자;안기정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2권3호
    • /
    • pp.192-199
    • /
    • 2004
  • 목적: 유방암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적정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고 궁극적으로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사선치료 기술 표준화를 위하여 우리나라 전국의 병원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 형태 조사연구(Patterns of Care Study)를 계획하였다. 그 첫 단계로 유방보존적 수술 후 시행한 방사선치료 방법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사하고자 하는 입력 문항을 개발하였고 동시에 인터넷을 통하여 조사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Web 기반 입력 프로그램(www.pcs.re.kr)을 개발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1998년도와 1999년도에 유방보 존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로 전수 조사를 하지 않고 표본 추출하여 조사하였다. 입력 문항은 127개로 병력과 이학적 소견, 수술 소견과 병리 소견, 항암화학요법, 호르몬요법, 방사선치료계획, 방사선치료, 치료 중 부작용, 치료 효과, 합병증, 미용 효과 등 10군으로 나누어져 있다. 15개 병원에서 입력된 261명의 데이터를 분석 하였다. 결과: 연령은 24$\~$85세(중앙값 45세)였다. 병리학적 유형은 관상피암종이 88.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수질성암종이 4.2$\%$, 소엽상피암종이 1.5$\%$였다. 병기는 AJCC (American Joint Committee on Cancer) 5판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T1이 59.7$\%$,T2가 29.5$\%$,Tis가 8.8$\%$였으며 전체의 42.5$\%$가 Tlc에 해당하였다. 전체 환자의 91.2$\%$에서 액와림프절 곽청술이 시행되었고 69.7$\%$의 환자들에서는 액와림프절 전이가 없었으며 림프절 전이가 3개 이하인 경우가 15.3$\%$, 4$\~$9개가 4.2$\%$, 10개 이상 전이된 경우가 1.9$\%$였다. 따라서 병기 0기가 8.4$\%$, I기, 44.9$\%$, IIA기, 33.3$\%$, IIB기 8.4$\%$였다. 에스트로겐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수용체 검사는 각각71.6, 70.9 $\%$에서 이루어졌다. 유방보존적 수술 방법은 단순절제술(excision/lumpectomy)이 37.2$\%$, 광범위절제술이 11.5$\%$ 사분원절제술(quadrantectomy)이 23$\%$, 부분절제술(partial mastectomy)이 27.5$\%$에서 시행되었다. 수술 후 10예 (3.8$\%$)에서 절제연이 양성이었고 10예는 절제연이 종양에서 2 mm 이내였다. 항암화학요법은 I기에서 54.7$\%$, IIA기에서 83.9$\%$, IIB에서 100$\%$ 시행되었다. 방사선치료는 1예를 제외한 모든 환자들이 계획된 방사선량의 90$\%$ 이상을 조사 받음으로써 순응도가 매우 높은 치료임을 알 수 있었다. 방사선치료의 범위는 전체의 88$\%$가 유방만 치료받았고 5$\%$는 유방과 쇄골상부림프절을, 4.2$\%$는 유방, 쇄골상부림프절에 액와림프절후방추가 조사를 하였으며, 유방, 쇄골상부림프절과 함께 내유방림프절을 치료하였던 예는 1예(0.4$\%$) 뿐이었다. 유방 치료에 사용된 방사선의 종류는 Co-60가 8명(3.1$\%$), 4 MV X-ray가 115명(44.1$\%$), 6 MV X-ray가 125명(47.8$\%$)이었으며 11명(4.2$\%$)은 10 MV X-ray를 사용하였다. 조사된 방사선량은 유방 전체에 45$\~$59.4 Gy (중앙값 50.4), 원발 병소에 대한 추가 조사가 8$\~$20 Gy (중앙값 10 Gy)로 총 방사선 조사선량은 50.4$\~$70.4 Gy (중앙값 60.4 Gy)였다. 결론: 조기 유방암에 대한 진단과 병기 결정 과정, 유방보존적 수술 후 시행되는 방사선치료는 큰 편향이 없이 권고안대로 잘 시행되고 있었다. 다만 원발 병소에 대한 추가 치료는 비교적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데 이것이 치료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추적조사연구가 필요하며 방사선치료 계획상의 세부 사항에 대한 분석과 평가가 향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