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mediate grade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8초

대학생 저자 전공서적 출판과 학습효과에 대한 연구 (A Study on Major Publishing and Learning Effects of College Student Authors)

  • 장영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3권3호
    • /
    • pp.1-6
    • /
    • 2017
  • 초중고대학생이 주체가 되는 책쓰기, 서적출판의 경우는 극소수 학생들의 범주에서 구현되어 왔다. 최소한의 경우에 국한된다 하더라도 발생하는 효과들을 세밀하게 분석해 보면 교육 및 학습적 효과가 무한하며 다양성에 근거한 최대한의 긍정적 효과를 창출하고 지속가능한 능력배양의 연장선으로 확장할 수 있는 교육 및 학습의 효과로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평범한 1,2학년 IT전공 대학생 14명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기초 전공서적 과 중급 전공서적에 대한 출판을 시도하였다. 대학생 저자 전공서적 출판 성과는 교육과 학습의 기본적 만족도 외에도 창업기반 비즈니스의 확충, 만족도 상향에 따른 전공 정체성의 확충과 자부심, 다양한 후발효과의 최대화, 지속가능한 발전성향 확보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효과가 탁월하였다. 추후 전공분야에서 중위권 학생들과 하위권 학생들에게도 동일한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여 학습효과의 범용적 적용을 유도할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시경]에 나타난 복식자료 연구(II)-여자복식과 직물을 중심으로- (A Study of Clothing Recorded in the[the Odes(詩經)](II)-About the Women's Clothing & Textiles-)

  • 김문숙;이순원
    • 복식
    • /
    • 제44권
    • /
    • pp.5-17
    • /
    • 1999
  • This paper studies women's clothing and textiles recorded in the『the Odes』, and refers research materials on the old commentaries about the『the Odes』and the various kinds of records and remains. The results regarding women's clothing in『the Odes』are follow: 1. Ti-i, Chin-i are the women's ceremonial dresses. Ti-i is a kind of the court dress and the shape is a long dress embroidered with pheasant. Chan-i belongs to the lower grade compared with the six ritual dresses worn by the queen and is made of Hu that is a kind of the white soft-wrinkled fabrics. 2. A women's I-Shang is composed of a blouse and a skirt. It is the classic style before the Sh n-I appears in China. Also we find that they use the standard colours for a blouse and the intermediate colours for a skirt in Chou period. 3. Chiung-I, Chiung-Shang and Hsieh-Pen are a kind of the robe put over the former garment made of Chin not to display to elegance. 4. Fu, Ch n-Fa, Pei and T'i are a kind of women's wig. Ti and the six-Chia are women's hair ornaments. Ch'i-Chin and Ju-L are a kind of the working women's turbun. 5. The women's belt ornaments are classified into the practical things and the decorational things like those for men. The results regarding fabrics in the『the Odes』are as follow: 1. The silk fabrics; There are Chin, Hu, Chou, Tz , Su, Hsiu. 2. The woolen fabrics; There is Ho. 3. The linen fabrics; There are the hemp and the ramie in the remains of Chou period. Also there are Ch'ih and Hsi categorized in Ko fabrics.

  • PDF

Demographic and Survivorship Disparities in Non-muscle-invasive Bladder Cancer in the United States

  • Seo, Munseok;Langabeer, James R. II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1권5호
    • /
    • pp.242-247
    • /
    • 2018
  • Objectives: To examine survivorship disparities in demographic factors and risk status for non-muscle-invasive bladder cancer (NMIBC), which accounts for more than 75% of all urinary bladder cancers, but is highly curable with early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Methods: We used the US National Cancer Institute's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registries over a 19-year period (1988-2006) to examine survivorship disparities in age, sex, race/ethnicity, and marital status of patients and risk status classified by histologic grade, stage, size of tumor, and number of multiple primary tumors among NMIBC patients (n=29 326). We applied Kaplan-Meier (K-M) and Cox proportional hazard methods for survival analysis. Results: Among all urinary bladder cancer patients, the majority of NMIBCs were in male (74.1%), non-Latino white (86.7%), married (67.8%), and low-risk (37.6%) to intermediate-risk (44.8%) patients. The mean age was 68 years. Survivorship (in median life years) was highest for non-Latino white (5.4 years), married (5.4 years), and low-risk (5.7 years) patients (K-M analysis, p<0.001). We found significantly lower survivorship for elderly, male (female hazard ratio [HR], 0.96), Latino (HR, 1.20), and unmarried (married HR, 0.93) patients. Conclusions: Survivorship disparities were ubiquitous across age, sex, race/ethnicity, and marital status groups. Non-white, unmarried, and elderly patients had significantly shorter survivorship.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include the need for a heightened focus on health policy and more organized efforts to improve access to care in order to increase the chances of survival for all patients.

폐에 발생한 말초 T 세포 림프종의 세침흡인 세포학적 소견 - 1예 보고 -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Peripheral T Cell Lymphoma of the Lung - A Case Report -)

  • 신옥란;이연수;강창석;김병기;심상인;정은선
    • 대한세포병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7-162
    • /
    • 1999
  • Primary non-Hodgkin's lymphoma of the lung is rare among extranodal lymphomas. The most common form is low grade B-cell type originated from the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of the lung and primary peripheral T cell lymphoma of the lung is extremely rare. We recently experienced a case of fine needle aspiration cytology of primary peripheral T cell lymphoma of the lung in a 39-year-old male patient. The cytologic smears revealed some sheets of reactive epithelial cells, epithelioid histiocytes, and numerous polymorphous population of lymphoid cells composed of small and intermediate sized lymphoid cells and mature lymphocytes. Lymphoid cells were slightly larger than normal mature lymphocytes and showed significant irregularity of nuclear membrane. The internal nuclear structure was marked by chromatin clumping, clear parachromatin areas, and inconspicuous nucleoli. Histopathologically, atypical small lymphocytes infiltrated in the interstitium and alveolar sac. By the immunohistochemical study and molecular biologic study of gene rearrangement, the T cell clonality of atypical lymphoid cells was confirmed.

  • PDF

악하선에 발생한 미만성 대형 B세포 림프종 1례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in Submandibular Gland)

  • 이창행;최지훈;백승국;우정수;정광윤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7-70
    • /
    • 2003
  • Out of entire salivary tumor, 1.7% are malignant lymphoma developed in salivary gland and it is usually mucosa 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lymphoma developed in salivary gland. In the case of Non-Hodgkin lymphoma, the most frequently involved extanodal sites of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are bone, skin, thyroid, gastrointestinal tract, and lung. Development in salivary gland is very rare. A 69 years old male patient who have found Lt. submandibular gland (SMG) mass a month ago is suspected of malignancy from his FNA result, so histologic exam by SMG resection was operated. According to histopathologic exam, large B cell lymphocyte infiltratration were generally shown as diffuse and lymphoepitheliallesion were not found. In immunostaining, CD79a showed positive and CD3, CAM5.2 showed negative which diagnosed as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As Ann Arbor stage I, CEOP-B chemotherapy was used 3 times as treatment without any recurrence. In the case of malignant lymphoma in salivary gland, it develops as painless mass in ipsilateral side. If found in parotid gland, it is rare to have facial nerve falsy and pathologically diagnosed as lymphocytes of abnormal type of monoclonal immunostaining must be provided as evidence. Combined therapy is known as most effective treatment for intermediate grade.

알고리즘 교육을 통한 비버챌린지 결과 분석 (Analysis of Bebra Challenge Results through Algorithm Education)

  • 박선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65-72
    • /
    • 2019
  • SW 교육의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버챌린지 2018 체험하기와 도전하기 그룹III의 과제를 초등학교 5학년 5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 평균점수 비교, 스마트폰 보유여부, 컴퓨터 친숙도, 인내심, 집중도, 학업능력 요소와의 관련성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체험하기 점수에 비해 도전점수의 평균, 정답률, 난이도별 정답률 모두 높아졌고, 컴퓨터 친숙도, 인내심, 집중도가 높을수록 도전점수가 높아졌지만, 스마트폰 보유여부와 학업능력 요소는 점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난이도가 어려운 과제에서는 인내심 요소가, 난이도가 보통인 과제에서는 컴퓨터 친숙도 요소가, 난이도가 쉬운 과제에서는 집중도 요소가 점수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추후 분석대상과 그룹 범위를 넓혀 평가영역도 추가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감과의 관계 (A Study of The Relationship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fulness and Play Teaching Efficacy)

  • 박은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31-13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구 지역 K전문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3학년 145명이다. 연구를 위해서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감 설문지를 사용하여 검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교수효능감 모두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놀이성은 유의미하게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주로 놀이성의 하위변인 중 쾌활성과 즉흥성이 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자궁내막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결과와 예후인자 (The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of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in the Early Stages of Endometrial Cancer)

  • 이경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3호
    • /
    • pp.149-159
    • /
    • 2008
  • 목 적: 본 연구는 자궁내막암 병기 $1{\sim}2$ 환자에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결과와 예후인자를 분석하여 향후 치료원칙을 결정하는 데 도움을 얻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병원에서 자궁내막암으로 진단받고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병기 $1{\sim}2$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전체 환자는 35명이었으며 17명은 자궁절제술과 양측 난소제거술을 시행하였고 18명은 완전한 수술적 병기의 수술을 시행하였다. 골반강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는 17명, 질강내근접치료를 받은 환자는 12명, 골반강 방사선치료와 질강내근접치료를 받은 환자는 6명이었다. 결 과: 추적기간의 중앙값은 54개월이었다.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91.4%, 무병생존율은 81.7%이었다. 저위험군, 중간위험군, 고위험군의 위험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각각 100%, 100%, 55.6%이었으며 무병생존율은 각각 100%, 70.0%, 45.7%이었다. 국소재발된 환자는 없었으며 5명(14%)에서 원격전이가 발생하였으며 호발부위는 폐, 뼈, 간, 부신, 전복강의 순이었다. 원격전이에 대한 단변량 통계분석에 따르면 위험군, 조직학적 세포형태와 조직학적 등급이 유의성이 있었으며, 다변량 통계분석에 따르면 조직학적 세포형태로서 유두형, 장액형, 그리고 투명세포암은 자궁내막양암과 샘암편평암에 비하여 원격전이율이 높고 생존율이 낮았다. 골반강 방사선치료에 의한 후유증은 장염이 30%에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직장염이었으나 대부분 등급 $1{\sim}2$로 등급 $3{\sim}4$의 후유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 론: 수술 후 골반강 방사선치료 혹은 질강내근접치료를 시행한 자궁내막암 병기 $1{\sim}2$환자들의 경우 저위험군과 중간위험군은 국소제어율과 생존율이 높았으나, 고위험군은 골반강 방사선치료를 시행하여 국소제어율은 높으나 원격전이율이 높고 생존율이 낮았다. 따라서 고위험군은 방사선치료와 동시에 항암화학요법이 요구된다. 중간 위험군의 더 효율적인 치료를 위하여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골반강 방사선치료와 강내근접치료를 비교하는 전향적 무작위연구가 필요하다.

청주-미원지역 중부 옥천변성대의 변성진화과정 (Metamorphic Evolution of the central Ogcheon Metamorphic Belt in the Cheongju-Miwon area, Korea)

  • 오창환;권용완;김성원
    • 암석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6-124
    • /
    • 1999
  • 청주-미원지역에 분포하는 중부 옥천변성대에서는 세 번의 M1, M2, M3 변성작용이 인지된다. 본 연구지역에서 가장 우세하게 나타나는 것은 중압형의 M2 변성작용이다. 저압형의 M3 변성작용은 중압형의 M2 변성작용후 관입한 화강암의 주변부에서 일어났다. 그리고 M2 변성작용 이전의 M1 변성작용은 석류석내의 포획물에 의하여 인지되었다. M2 변성작용시기의 변성정도는 흑운모+백운모+녹니석+사장석+석영의 광물조합을 보이는 남동부의 흑운모대에서 석류석+흑운모+백운모+사장석+석영$\pm$십자석($\pm$남정석\ulcorner)고아물조합을 보이는 북서부의 석류석대로 증가한다. 이는 옥천변성대 남서부재역에서 보고된 변성진화과정과 유사하다. 석류석대의 석류석은 포획물들이 기질의 운모류와 연결되는 방향성을 보여주는 것(A형)과 중심부에는 다량의 포획물이 존재하나 외각부는 포획물이 거의 없는 것(B형)으로 구분된다. A형 석류석은 주로 이질 성분이 높으며 파랑벽개가 잘 발달한 변성이질암에서 나타나며 B형 석류석은 사질 성분이 높으며 파랑벽개가 미약한 변성이질암에서 주로 나타난다. 석류석대의 일부 노두에서는 두 형태의 석류석이 함께 나타나며 B형 석류석 외각부는 A형 석류석 외각부에 비해 알만딘, 파이로프의 함량이 높고 스페서틴과 그로슐라의 함량이 낮은 것을 보여준다. 일부 B형 석류석에서는 포획물이 거의 없는 외각부에 어둡고 탁한 색을 띠거나 외각부와 동일한색을 띠는 돌기형 석류석이 과성장(overgrowth)한다. B형 석류석에서 포획물이 없는 부분이나 과성장한 부분들에서는 급격한 그로귤라의 증가와 스페서틴의 감소현사이 나타난다. 석류석 형태의 차이에 관계없이 연구지역에서 나타나는 석류석은 중심부에서 외각부로 갈수록 Ca의 함량은 증가하고, Mn의 함량은 감소하는 누대구조를 보인다. 두 다른 형태의 석류석은 변성 또는 변형작용의 시기차이 보다는 주로 원암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였다. A형 석류석을 가지고 있는 암석에서 계산된 변성온도-압력을 종합하면 595-69$0^{\circ}C$/5.7-8.8kb로 M2 변성시기에 중앙형의 광역변성작용이 일어났음을 지시한다. B형 석류석은 A형에 비하여 다양한 변성온도-압력을 지시하고 있다. B형 석류석에서 측정된 변성온도-압력은 대체적으로 617-69$0^{\circ}C$/6.2-8.9kb로 역시 중앙형의 M2 변성환경을 지시하고 있으나 과성자이 미약한 부분에서는 그로슐라 함량이 낮고 573-624$^{\circ}C$/4.7-5.8kb의 온도-압력이 계산된다. 또한 석류석내의 사장석과 흑운모의 포획물로부터 계산된 온도-압력은 460-50$0^{\circ}C$/1.9-3.0kb이다. B형 석류석에서 과성장이 미약한 부분으로부터 구한 온도-압력과 흑운모, 사장석의 포획물에서 구한 온도-압력은 중압형의 M2 변성작용 이전에 저압형의 M1 광역변성작용이 일어났을 가증성을 지시한다. M2 변성작용 이후에 일어난 저압형의 M3 변성작용을 강하게 받은 시료로부터 계산된 온도-압력 조건은 547-61$0^{\circ}C$/2.1-5.0kb이다.

  • PDF

옥천 변성대 변성퇴적암의 K-Ar및 $^{40}$ Ar/$^{39}$ Ar 연대와 그 의의 (K-Ar and $^{40}$ Ar/$^{39}$ Ar Ages from Metasediments in the Okcheon Metamorphic Belt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

  • 김성원;오창환;이덕수;이정후
    • 암석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9-99
    • /
    • 2003
  • 옥천 변성대 서남부 화산지역과 중부 미원-증평지역 52개의 변성이질-사질암과 5개의 화강암류에 있는 흑운모와 백운모로부터 K-Ar과 $^{40}$ Ar/$^{39}$ Ar 연대를 구하였다. 서남부 화산지역 보은과 피반령의 2개의 지구조 단위에서 채취한 변성이질-사질암류로부터 구한 흑운모와 백운모 K-Ar과 $^{40}$ Ar/$^{39}$ Ar 연대는 149-180Ma이다 미원-증평지역의 보은과 피반령의 2개의 지구조 단위에서 채취한 변성이질-사질암류로부터 구한 흑운모와 백운모 K-Ar 연대는 서남부 화산지역에 비해 복잡한 연대분포를 보이는데 백악기 화강암체 주위의 102-105 Ma를 제외하고 142-194Ma(쥬라기), 216-234Ma(삼첩기후기-중기) 및 241-277 Ma(삼첩기초기-페름기 중기)의 범위이다. 하지만 삼첩기부터 페름기까지 연대범위는 보은 단위 북부와 피반령 단위 남부, 즉 증평지역의 옥천변성대 중앙부에서만 구해지며 다른 지역의 연대들은 쥬라기중기에 집중된다. 서남부 화산지역 및 중부 미원-증평지역의 화강암류의 K-Ar과 $^{40}$ Ar/$^{39}$ Ar 흑운모와 백운모 연대들은 쥬라기중기로 이들은 변성퇴적암으로부터 얻어진 쥬라기중기의 $^{40}$ Ar/$^{39}$ Ar과 K-Ar 흑운모와 백운모의 연대와 거의 일치하며 이는 두 암체가 동시에 냉각된 사실을 지시한다. 서남부 화산지역과 중부 미원-증평지역의 보은 단위 및 피반령 단위에서 분리된 탄질물의 $d_{002}$ 값은 모두 각섬암상 범위의 흑연화를 지시하는 3.353-3.359 $\AA$의 매우 좁은 범위에 집중된다. 변성광물군으로 볼 때 녹색편암상의 변성작용을 받은 화산지역의 보은 단위 남부에서도 각섬암상 이상의 고온을 지시하는 탄질물의 $d_{002}$ 값이 나타남은 이들 지역에서 흑운모와 백운모 K-Ar과 $^{40}$ Ar/$^{39}$ Ar 연대가 쥬라기중기에 집중되는 사실, 이들 지역들 내 광역적으로 관입한 화강암의 관입정치연대와 냉각연대가 쥬라기중기인 사실, 그리고 쥬라기 화강암 주변에 50$0^{\circ}C$ 이상의 저압형 변성대가 형성된 것은 광역적으로 변성광물을 형성한 주변성작용 이후 쥬라기초기(\ulcorner)-증기에 일어난 저압형의 광역적 열변성작용을 강하게 뒷받침한다. 하지만 광역적 열변성작용에 의한 변성광물변화는 화강암접촉부 1-2km 내에서만 인지되며 이는 화강암의 빠른 냉각에 의해 1-2km 밖의 광물군이 변화될 만큼 충분한 기간동안 열이 공급되지 못하였음을 지시한다. 한편, 옥천변성대 증평지역 중망부의 변성이질-사질암으로부터 측정된 흑운모와 백운모 K-Ar과 $^{40}$ Ar/$^{39}$ Ar 연대는 최근에 이들 지역에서 보고된 중압형의 주 광역변성작용시기인 석탄기후기-폐름기초기 이후의 냉각역사들을 잘 대변한다. 특히 옥천변성대 중부 증평지역의 중앙부에서 5개 시료에 대해 구한 흑운모와 백운모 K-Ar 연대인 241-249 Ma와 263-277 Ma는 석탄기후기-폐름기초기 (ca. 280-300 Ma) 옥천변성대의 주변성시기 이후 280-300 Ma부터 263-277 Ma 사이에서 약 3$50^{\circ}C$까지의 빠른 냉각과 263-277 Ma부터 241-249 Ma 사이에서 약 30$0^{\circ}C$까지의 느린 냉각을 지시한다 하지만 왜 삼첩기-폐름기의 연대가 증평지역의 중앙부에만 국한되어 나타나는지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