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est in oral health care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4초

노인요양시설에 있는 노인환자의 구강실태 및 치료수요도 (Oral health status and treatment need of institutionalized elderly patients)

  • 양순봉;문홍석;한동후;이호용;정문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455-469
    • /
    • 2008
  • 문제제기: 노인요양시설은 치과진료영역 가운데 가장 취약한 상태에 놓여 있고 신체적, 정신적 장애로 인해 주관적 치료요구도를 파악할 수 없는 상태지만 이에 대한 기초적인 실태조사가 전무한 상태이다. 목적: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서 노인환자들의 치아우식증에 의한 구강실태를 조사하고, 기능치아와 보철물로 이루어진 교합단위를 분석하여 그에 따른 치과치료수요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향후 적절한 진료방향을 수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재료 및 방법: 노인요양시설에서 758명의 노인환자와 D치과의원에 내원한 212명의 65세 이상인 노인을 대상으로 2000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에서 작성된 치아우식검진지침에 입각하여 구강실태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노인요양시설의 노인에게서 고령으로 갈수록 대조군에 비해 악화되고 있는 구강상태를 알 수 있었고 매우 높은 치료수요를 파악할 수 있었다. 고찰: 노인환자의 구강건강관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이들을 보살피는 간병인과 간호 인력들이 가지고 있는 구강건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꾸기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이제는 무치악 환자에게 시행되고 있는 일회성 의치사업 일변도의 복지정책방향을 보건복지부와 일선 지방자치단체에서 사후관리를 원칙으로 한 전문가에 의한 무치악 환자의 의치사업으로 강화해야 하며 유치악의 노인환자들에 대한 정기적인 치과검진을 시행하고 이동진료 및 왕진시스템이 보완된 구강건강관리 및 보존, 수복진료 형태로의 전환을 고려할 시점이라 생각된다.

치과위생사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인식도 연구 (A Study on the Dental Hygienist's Awareness on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 박정란;권선화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79-286
    • /
    • 2009
  • 본 연구는 일부 경남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253명을 대상으로 2008년 7월 1일에 시행 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와 관련한 인식정도를 파악하고 노인들의 구강건강 증진 및 유지에 대한 치과위생사의 역할을 제고하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조기 정착을 위하는 목적으로 자가 기입식 설문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조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알고 있는 응답자는 41.9%였으며, 치과위생사가 장기요양요원으로서 활동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알고 있는 경우는 31.6%로 낮았다. 또한 향후 장기요양요원으로 참여하고 싶은 의사가 있는 경우는 43.1%이였으며, 방문간호센터에서 근무하고 싶은 의사가 있는 경우도 43.1%로 나타났다. 장기요양 요원에 대한 별도의 교육이 필요하다라는 의사를 보인 응답자는 76.7%이였으며, 장기요양요원으로서의 적정한 연령용 40~50대가 가장 적당하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48.6% 가장 많았다. 2. 노인환자 구강관리 경험여부에서는 자주하는 경우는 51.8%로 조사되었으며 노인환자에 대한 친밀도에서는 편안하다라고 느끼는 경우는 31.6%로 나타났다. 자원봉사경험이 있는 경우는 33.6%이었으며 재학시절 노인과 관련 된 전문적인 교육을 받아 본 경험이 있는 경우가 34.8%, 재직 중에 노인에 대한 전문교육을 받아 본 경험이 없는 경우는 90.9%, 노인의 구강건강문제 관심도에서는 68.6%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노인환자의 구강관리에 대한 경험여부와 치위생(학)과 재학 시 노인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경험은 장기요양요원의 적정연령의사와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냈다(p<0.01, p<0.05). 또한 조사대상자의 자원봉사경험여부와 재직 중 노인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경험여부에 따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이해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4. 노인구강건강문제에 대한 관심도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이해, 장기요양요원 활동정보에 대한 이해, 장기요양요원으로서의 근무의사여부, 방문간호센터 근무의사여부, 장기요양요원 별도교육 필요여부, 장기요양요원 적정연령의사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p<0.01, p<0.001).

  • PDF

인천광역시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구강보건교육 요구도 조사 (A Study on Needs of Teachers in Community Children's Centers for Oral Health Education in Incheon)

  • 김진희;김현진;김혜진;박지혜;방우리;신혜주;한수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05-512
    • /
    • 2011
  • 지역아동센터 교사에게 제공할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목적으로 2010년 4월 28일부터 2010년 6월 4일까지 98개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교사 178명을 대상으로 구강건강행위 및 인식, 지역아동센터내 아동의 구강관리 실태, 아동대상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의견 등에 대해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66.8%는 아동이 잇솔질을 가끔 또는 전혀 안한다고 인지하고 있었으며, 57.3%는 자주 잇솔질 지도를 가끔 또는 전혀 못한다고 하였고, 잇솔질 지도를 잘 못하는 이유는 센터 내 세면대 부족(27.5%), 업무량이 많아 신경을 못 씀(20.6%), 잇솔질 할 시간이 없음(16.7%) 등의 순이었다. 저녁식사 후(65.2%)와 아침식사 전(51.1%) 잇솔질 하는 율이 가장 많았고, 주로 회전법(48.9%)과 종마법(35.4%)으로 있솔질 하고 있었다. 구강건강행동 실천은 술,담배 절제(4.17)가 가장 높았고 불소용액가글(2.56)이 가장 낮았으며, 전체항목의 실천도 평균은 3.27이었고, 87.7%는 구강건강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구강보건교육을 경험한 군의 구강건강행위 실천도와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97.2%는 구강건강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고, 구강건강이 중요한 이유는 74.2%가 전신건강을 위해서라고 응답하였다.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교사는 교육 후 아동구강건강관리에 대한 관심($4.53{\pm}0.60$), 아동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실천($4.38{\pm}0.69$), 아동 잇솔질 권유($4.32{\pm}0.76$) 의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89.4%는 아동을 위한 구강보건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86.5%는 참여의사가 있다고 하였고, 치과위생사 또는 치위생(학)과 학생(32.0%)과 치과의사(28.7%)의 센터 방문에 의한 교육을 희망하고 있었다. 교육매체는 게임(4.17)과 동영상(4.15)의 형태가 효과적이라 생각하였고, 구강위생관리법(4.52), 치아우식예방법(4.40) 등에 대한 교육을 희망하였다. 센터내 프로그램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에서는 사회성교육(5.57)이 가장 높았고 구강보건교육(3.34)은 제시된 8개 프로그램 중 최하위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구강보건을 위해서는 이들에게 영향력이 큰 지역아동센터 선생님들을 통한 간접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므로, 지역아동센터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며, 프로그램 개발 시에는 구강건강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목표를 설정해야하며, 아동의 구강관리 지도방법에 대한 내용을 포함해야할 것이다. 그리고 지역아동센터 내에서 아동들의 올바른 구강건강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 센터 내 시설을 개선 확충해야할 것이다.

부모의 자녀에 대한 구강건강 관심도 조사 (Parents' concern for child oral health)

  • 김경선;김선주;김창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05-41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terest level of mothers in oral healt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4 mothers whose children attended daycare centers in the city of K. A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15 through April 30, 2007, and SPSS WIN 11.5 program was employed to analyze their answer shee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 group of mothers whose children brushed their teeth three times a day on the average made up 55.7 percent of those who were at the age of 35 and under. Among the mothers having three or more children, those mothers accounted for 59.1 percent. The daily mean toothbrushing frequency of children was higher among the better-educated mothers. 2. Concerning dietary and oral guidance, the mothers whose academic background was better curbed their children's excessive sugar intake more often,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5). As to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by the number of child and academic credential, those who had two children(36.0%) taught them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frequently(pE.01), and the better-educated mothers taught about it often(pE.05). The gap between the groups and the others was significant. 3. As for experience of visiting dental institutions, the working mothers visited dental institutions more often than the stay-at-home mothers, and the gap between th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5). Regarding purpose of the visit, the largest group aimed to get treatment(64.6%), followed by having a dental checkup(14.6%) and receiving preventive treatment(13.5%). As to any inconveniences in using dental institutions, those who were working and who were in the upper income bracket found it more inconvenient to do that because of a long distance or time constraints.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ignificant. 4. In regard to concern for dental care, the mothers who were better educated(pE.001) and whose family income was 3 million won or more had their teeth scaled more often,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1). The rate of the regular visitors of dental institutions stood at 32.7 percent of the junior-college graduates, 31.0 percent of the mothers receiving college or higher education and 10.1 percent of the high-school graduates(pE.01). And those who earned larger income paid a visit to dental institutions more often and on a regular basis.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E.05).

  • PDF

치과종사자들의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 연구 - 대전·충남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n dental personnels - in Daejeon & Chungnam area -)

  • 지민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7-92
    • /
    • 2008
  • This study was surveyed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n dental personnels, who play an important role in oral health of the elderly in the aging society, In order to arrange the basic data that is conducive to development in the mouth care of the elderly,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January 7 to February 14, 2008, targeting 270 dental personnels in Daejeon & Chungnam area, who are in charge of oral duties in the current clinic. As a result of analyzing so that questionnaire can be prepared with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knowledge level on the elderly in dental hygienist was 13.47 marks out of 25-mark perfec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knowledge depending on job category and volunteer-work activity experienc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even depending on physical & physiological sphere, psychological sphere, and family & social sphere. 2. The attitude level toward the elderly in dental hygienist was 91.63 marks out of 150-mark perfection. Dental hygienist showed positive attitude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 emotional characteristic, and self-management ability by sphere,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11). 3. In case of having volunteer-work activity experience, the attitude level toward the elderly was 92.57 marks out of 150-mark perfection, A case of having volunteer-work activity experience showed positive tendency in emotional characteristic, self-management ability, and judgement-ability characteristic by sphere, And, the attitude toward family relation was indicated to be negative tendency, thus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p=0.022). 4. A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dental hygienist was indicated to have high interest in the volunteer-work experience, the elderly education experience, and the elderly problem(r=0. 444).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had slightly positive correlation(r=0.155). Dental hygienists are being required gradually as the primary staff for the elderly people's dental care in the aging society. A continuous education is needed so that dental hygienists can have positive sight in understanding, knowledge, and attitude. And, the development in a mouth care program for the elderly in line with it is considered to be necessary.

  • PDF

헬스 어플리케이션의 재미요인과 몰입이 이용자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un Factors and Immersion on Health Applications Flow User Satisfaction)

  • 유현중;지원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57-65
    • /
    • 2020
  • 본 연구는 언택트 시대에 건강과 안전을 중요시하고 있는 가운데 비대면 중심의 헬스케어 영역이 증가하고 있다. 헬스어플리케이션 이용자들의 재미요소와 몰입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총 235명 분석대상을 통해 헬스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있는 표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요인분석을 통하여 이용자들의 재미요소(즐거움, 흥미, 사교)와 몰입요소를 찾아내었다. 두 번째로 재미요소와 몰입이 만족(구전의도, 사용 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성별에 따라 헬스 어플리케이션 사용자들의 재미요소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남, 녀모두 즐거움에 따른 구전의도가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여성의 경우 즐거움과 심리적 보상의 요소가 사용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헬스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이용자들의 재미요소중 즐거움의 요소를 강화하여 지속적으로 사용지속이나 구전에 영향을 줄 수 있도록 마케팅 차원에서 이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Perception and Practices of Physicians in Addressing the Smokeless Tobacco Epidemic: Findings from Two States in India

  • Panda, Rajmohan;Persai, Divya;Mathur, Manu;Sarkar, Bidyut Kant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2호
    • /
    • pp.7237-7241
    • /
    • 2013
  • Background: Smokeless tobacco use in South Asia is believed to be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morbidity and mortality. In India, only a few studies involving health educational intervention by health care providers have demonstrated reduction in smokeless tobacco usage. In the present study we assessed the cessation efforts towards smokeless tobacco by physicians in two high tobacco prevalence states of India. The study also identified opportunities and barriers for integration of tobacco cessation services in routine practices of physicians. Materials and Methods: This mixed method study involved qualitative (phase I) and quantitative research study (phase II). In phase I, 59 in-depth interviews with physicians were conducted. In phase II, a quantitative study conducted among 238 physicians. An inductive approach was followed to analyze qualitative data using ATLAS. Ti software. The Chi-square test was employed to test the association between different variables of interest using SPSS version 17. Results: The majority of physicians related only respiratory problems and cancer with smokeless tobacco. Other major health effects like cardio-vascular problems, oral diseases, and effects on reproductive and neonatal health were recognized only by a few physicians. The age-group of 10-19 years was identified as most vulnerable to smokeless tobacco use. Less than one-third of physicians reported recording smokeless tobacco history of all patients. Findings indicated that less than half of physicians provided information on harmful health effects of smokeless tobacco with regard to specific diseases. Conclusions: The study revealed a low level of knowledge of physicians about harmful effects of tobacco and their suboptimal engagement in tobacco control practices. The study indicates the need of capacity building initiatives to equip physicians with skills in tobacco cessation.

한국과 미국 치과대학의 의사소통 교육 비교 (Comparison of Communication Skills in Dental Education between Korean and United States Dental Colleges)

  • 정서연;김은경;조재현;허경석;이주연;정회인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11호
    • /
    • pp.664-671
    • /
    • 2019
  • As the social interest in medical care has increased and the awareness and autonomy of patients have increased,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skills with patients has been increasingly emphasized in providing high quality medical services. In medical education, such education has become an important area in medical school and lifelong medical education, with studies showing that communication skills can be improv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and that this learned communication skills can be maintained after becoming a doctor.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education and research for dental college students is growing as practical examination on communication skills will also be introduced in dental license tests from 2021. Therefore, we aimed to find out the educational goals and educational methods of United States in which these studies are conducted and applied before our country, and compare them with Korean's current educational goals and methods, so that we can explore the desirable direction of education for dental college students in the future.

  • PDF

Dust particles-induced intracellular Ca2+ signaling and reactive oxygen species in lung fibroblast cell line MRC5

  • Lee, Dong Un;Ji, Min Jeong;Kang, Jung Yun;Kyung, Sun Young;Hong, Jeong Hee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1권3호
    • /
    • pp.327-334
    • /
    • 2017
  • Epidemiologic interest in particulate matter (PM) is growing particularly because of its impact of respiratory health. It has been elucidated that PM evoked inflammatory signal in pulmonary epithelia. However, it has not been established $Ca^{2+}$ signaling mechanisms involved in acute PM-derived signaling in pulmonary fibroblasts. In the present study, we explored dust particles PM modulated intracellular $Ca^{2+}$ signaling and sought to provide a therapeutic strategy by antagonizing PM-induced intracellular $Ca^{2+}$ signaling in human lung fibroblasts MRC5 cells. We demonstrated that PM10, less than $10{\mu}m$, induced intracellular $Ca^{2+}$ signaling, which was mediated by extracellular $Ca^{2+}$. The PM10-mediated intracellular $Ca^{2+}$ signaling was attenuated by antioxidants, phospholipase blockers, polyADPR polymerase 1 inhibitor, and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melastatin 2 (TRPM2) inhibitors. In addition, PM-mediated increases in reactive oxygen species were attenuated by TRPM2 blockers, clotrimazole (CLZ) and N-(p-amylcinnamoyl) anthranilic acid (ACA). Our results showed that PM10 enhanced reactive oxygen species signal by measuring DCF fluorescence and the DCF signal attenuated by both TRPM2 blockers CLZ and ACA. Here, we suggest functional inhibition of TRPM2 channels as a potential therapeutic strategy for modulation of dust particle-mediated signaling and oxidative stress accompanying lung diseases.

치과임상영역에서 발생된 의료분쟁의 판례분석 (The Jurisdictional Precedent Analysis of Medical Dispute in Dental Field)

  • 권병기;안형준;강진규;김종열;최종훈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4호
    • /
    • pp.283-296
    • /
    • 2006
  •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보건의료분야는 괄목할 성장을 가져왔고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의료서비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국민의 권리의식의 신장, 의료행위의 본질에 대한 이해부족, 의료기술에 대한 지나친 기대, 상업화된 의료공급체계, 의사의 윤리의식 저하 및 의료법리에 대한 무지 그리고 사회적 불신풍조의 만연, 분쟁해결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결여 등이 요인으로 작용하여 의료사고 및 분쟁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치과관련 단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소송과 관련된 자료 및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에서 신체감정을 시행한 재판기록을 중심으로 하여 판결전문을 확보할 수 있는 치과 의료사고 판례 중 1994년부터 2004년까지의 민사소송 30례의 판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소송의 연도별 분포에서 2000년 이후 급증하는 추세를 보였다. 2. 소송의 유형별 분포에서 발치와 관련된 소송이 전체의 36.7% 이었다. 3. 소송의 원인을 분석한 결과 불편감, 치료불만족과 관련된 것이 전체의 36.7%, 사망 및 영구손상이 각각 16.7% 이었다. 4. 원고의 소송결과 승소 및 강제조정, 화해권고결정이 60.0% 이었다. 5. 소송에 관련된 병원유형은 치과의원이 60.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 소송의 심급별 구성비율에서 2,3심 이상 진행된 경우가 전체의 30.0% 이었다. 7. 손해배상 청구금액은 5천만원 이상 1억원 미만이 36.7%, 1억원 이상이 13.3% 이었고 손해배상 판결금액은 1천만원 이상 3천만원 미만이 40.0%, 1억원 이상이 6.7% 이었다. 8. 소송과 관련된 치과의사수는 2명 이상이 26.7%이었다. 9. 판결까지의 소요기간은 11개월에서 20개월이 46.7%, 21개월에서 30개월이 36.7% 이었다. 10. 의료과실 유무에서는 과실을 판정한 경우가 46.7% 이었고 소송과정에서 신체감정이나 사실조회가 이루어진 경우는 70.0% 이었다. 11. 의사패소 판례(18건)에서 판결의 주안점은 주의의무위반이 72.2% 이었고, 설명의무위반이 16.7% 이었다. 치과 의료분쟁의 경우 치료의 긴급성이 상대적으로 적어 의사의 설명의무 중요성이 폭넓게 요구되며, 주관적인 치료 만족도가 중요시되는 분야이기 때문에 결국 분쟁을 줄이는 방법으로 기술적인 과실도 줄여야 하지만 치과의사와 환자와의 신뢰 관계를 개선하는 것과 의사집단의 자율성(autonomy)의 회복이 중요하다. 그리고 불합리하게 시행되고 있는 의료배상책임보험의 보완과 함께 치과의사단체와 학계가 주도하는 교육 및 의료분쟁시 자문을 구할 수 있는 체계의 확립으로 의료분쟁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