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active Design

검색결과 1,234건 처리시간 0.03초

대안적 인터랙션 방법으로서 체감 인터랙션(Tangible Interaction) 방법과 그 응용에 관한 연구 - 인터랙티브 토이와 인터랙티브 전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angible Interaction Methods and Their Applications as an Alternative Interaction Method - with the Emphasis on Interactive Toys and Interactive Exhibits)

  • 이태일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2002년도 가을학술발표대회 디자인학 연구
    • /
    • pp.72-73
    • /
    • 2002
  • PDF

현대도시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공간에 대한 연구 - 시민과 상호작용하는 공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ractive space of Contemporary City - focused on interactive space of citize -)

  • 고귀한;김정곤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57-64
    • /
    • 2012
  • The ideologie of modern society as per something to phenomenology problem is to show various different looks. The community space is spring from Greek and Roman of community place by agora and forum is make a active communicate to interpersonally. Subject to centrically In the context, this paper is study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for community space about interactive space. and focusing is Response to human of interact in each other intelligent space. And this paper suggestion is composition method of community space in technology advanced, Interactive interface form for human, sustainable to community space direction elements. First, I'll rearrang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modern society through references of various scholars. This is to understand how interactivity affects the whole society and what is the importance of this interactive wave. Second, I'll analyze several trends of modern community space and figure the change of methodology of design based on the advancement of design technology. This is to understand the interactive relation of the subjects. Third, I'll seek how community space design has changed in modern society and under which process design is made. This is to clarify the fact that the portion of interaction will increase in future design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of equipment, which is one of the objects of interaction space.

  • PDF

Application of Motion Analysis to User Participation Behavior Model: Focused on Interactive Space

  • Kwon, Jieun;Nah, Ke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5-189
    • /
    • 2014
  • Objective: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new user behavior model using user motion analysis with microscopic perspective for attracting user's participation in interactive space. Background: The interactive space is 'human's place', which is made up of complex elements of digital virtual space and traditional analog and physical environment based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system. Human behavior has changed in it at the same time. If the user couldn't make participation in interaction, the purpose of the system is not met, which reduces its effect. Therefore, we need to focus on interactive space that is potential future direction from a new point of view. Method: For this research, we would discuss and study fields of interactive space; (1) finding definition of interactive space and studying background of theory about it. (2) providing base of user behavior model with study of user's context that is to be user information and motion. (3) examining user motion, classify basic motion type and making user participation behavior model in phases. Results: Through this process, user's basic twenty motions which are systematized are taken as a standard for analysis of interaction process and participation in interactive space. Then, 'NK-$I^5$ (I Five)' model is developed for user participation types in interactive space. There are five phases of user participation behavior: Imperception, Interest, Involvement, Immersion, and Influence. In this analysis, three indicators which are time, motion types, and user relationship are found to be related to participation. Conclusion: The capabilities and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s discussed to attract user participation. This paper focuses especially on contribution of design to lead user's participation in interactive system and expectation to help adapt to user centered design of various interactive space with new aspect of user behavior research.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e 'NK-$I^5$ (I Five)' model might help to realize successful interactive space based on user centered design.

The Key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Interactive Art - Virtual Reality Technology

  • Wang, Junyi;Wang, Yuanyuan;Zhang, Ning;Lee, Eung-Joo;Yabin, Li;Liao, Gang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5권4호
    • /
    • pp.277-282
    • /
    • 2018
  • Interactive art is an art form that closely links art creators and art participants. It has been doomed with advanced technology from the very beginning. Virtual Reality is a technology which born in the background of the maturity of computer technology. Its birth has brought immeasurable possibilities for interactive art, especially the interactivity and multi-sensory experience. This paper discusses the current development status of interactive art in the field of interactive art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and the future development of this technology will bring to interactive art.

Fractal-Interactive Art를 활용한 공공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blic Design using Fractal-Interactive Art)

  • 주해정;김치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29-632
    • /
    • 2009
  • 공학적인 관점에서 Interactive Art와 디자인은 하나의 지능형 시스템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인간과 제작물 간의 원활한 소통, 즉 인터랙티브 반응을 주고받기 위해 센서, 카메라 등으로 입력 받은 후 이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처리, 분석하여 그 결과를 영상, 그래픽, 음향 등의 다양한 매체로 표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터랙티브를 활용한 영상은 다양한 예술 디자인 분야에서 그 영역을 넓혀가며 점차 발전되고 있다. 예술 형태의 Interactive Art에 환경에 대한 정보성을 융합하여 시민들에서 자연스럽게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하며 주변환경을 느낄 수 있는 시스템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Interactive Art가 공간자체에 활기찬 분위기를 조성하며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공예술로 활용된다. 기존의 정지된 설치의 개념에서 보다 발달된 동적인 형태로 인간과 자연스럽게 조화되어 정보를 습득하게 되는 참여 형태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공공디자인의 활용에 Interactive Art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 PDF

웹 인터랙티비티의 사례분석을 통한 인터랙션 디자인 전략 분석 및 개발 사례 (Analysis and Adaptation of Strategy for Designing Web Interaction through Analyzing Cases of Interactive Website)

  • 김미영;김현정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37-50
    • /
    • 2004
  • 플래시의 액션 스크립트, 자바 스크립트, 자바 등 웹 기반 프로그래밍 툴의 발전과 사용잗ㄹ의 총체적 경험으로써의 인터랙티비티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웹은 정보를 면 단위로 보여주는 웹진의 형태로부터 인터랙티브한 조작 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 조작에 따라 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주는 인터랙션의 형태로 진화하게 하였다. 웹은 소프트웨어에 비해 다향한 계층의 사용자가 비교적 단순한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하므로 보다 인터랙티브하게 작업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적 부담을 줄이며 사용의 재미를 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추세에 따라 등장하고 있는 웹사이트의 인터랙티비티의 개념과 사례를 통해 인터랙티브화하는 경향을 분석하고, 웹의 인터랙티브화를 위한 디자인 전략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도출하였으며, 이의 적용 예를 보일 수 있는 사이트 개발 사례 제시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웹 상에 있어서 인터랙티비티를 부여할 수 있는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e-book 사이트에서의 인터랙티브 북셀프 디자인에 있어 인터랙션 디자인 전략의 적용 사례를 통해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IT 환경 변화에 따른 인터랙티브 디자인 교육의 방향성 -대학교육을 중심으로- (Providing a Direction to Interactive Design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in IT Environment -Focusing on College Education-)

  • 홍은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265-276
    • /
    • 2014
  • 본 연구는 변화하는 IT 환경에 따른 디자인 교육의 혁신 요구에 주목하여, 인터랙티브 디자인 분야의 학문적 가능성과 대학에서의 교육방안을 제시함으로서, 매체 및 기술의 변동에 따른 디자인 교육의 합리적인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요구에 따라 인터랙티브 디자인을 통한 고부가가치를 얻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연구와 학문적 기반이 갖추어져야 할 것이며, 특히, 대학에서의 독립적인 학문 영역 토대를 마련하고, 관련 교육과정의 구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라는 인식에 따라, 그 교육적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인터랙티브 디자인의 독자적 학문영역 구축의 필요성을 언급하였으며, 학문적으로 인터랙티브 디자인의 개념과 범위를 정립하였다. 인터랙티브 디자인학의 영역은 전통적인 기술만을 가르치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전통적 디자인 교육의 보편적 한계를 넘어선 기술적 이해를 요구하면서, 복합적인 이슈를 다룰 수 있어야 할 것이며, 그에 따른 차별화된 교육방법의 모색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