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actional justice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3초

간호사가 인지하는 간호관리자의 윤리적 리더십 측정 도구 K-ELW의 타당화 연구 (A Validation Study of the Modified Korean Version of Ethical Leadership at Work Questionnaire (K-ELW))

  • 김정언;박은준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40-250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Ethical Leadership at Work questionnaire (K-ELW) that measures RNs' perceived ethical leadership of their nurse managers. Methods: The strong validation process suggested by Benson (1998), including translation and cultural adaptation stage, structural stage, and external stage, was used. Participants were 241 RNs who reported their perceived ethical leadership using both the pre-version of K-ELW and a previously known Ethical Leadership Scale, and interactional justice of their managers, as well as their own demographic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Data analyse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liability coefficien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PSS 19.0 and Amos 18.0 versions were used. Results: A modified K-ELW was developed from construct validity evidence and included 31 items in 7 domains: People orientation, task responsibility fairness, relationship fairness, power sharing, concern for sustainability, ethical guidance, and integrity.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were support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7 domains with other measur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preliminary evidence that the modified K-ELW can be adopted in Korean nursing organizations, and reliable and valid ethical leadership scores can be expected.

외국인근로자의 문화적응과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cculturation and Organizational Fairnes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oreign Labore)

  • 김동회;하규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87-201
    • /
    • 2011
  • 외국인 근로자의 양적 팽창은 사회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인력관리라는 질적 측면을 함께 고려하여할 필요성이 제기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노동자의 효율적인 인력관리방안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조직에 대한 헌신과 소속감, 애사심을 높이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문화적응 과 조직의 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및 각 변수간의 사회적지지 조절효과를 보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화적응과 조직공정성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분배공정성은 규범적 몰입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 공정성은 정서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가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외국인노동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몰입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방안으로 문화적응과 조직공정성의 수준을 향상시켜야 하며, 외국근로자의 사회적지지를 강화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서비스 산업에서 고객 서비스 불평 회복과 사후행동의 구조적 관계 연구 (The Study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Customers' Service Recovery of Complaint and After Behavioral Intention in the Service Industry)

  • 허선희;윤천성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1호
    • /
    • pp.165-176
    • /
    • 2014
  • 본 연구는 스파의 서비스 실패로 인해서 발생한 고객의 불만을 고객만족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가장 유용한 회복전략이 무엇인가를 각각의 공정성 요인을 통해 살펴보고 고객 불만 대처시스템을 구축하여 스파 고객의 불만이나 불평을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응 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하였고, 서비스 실패에 대한 회복 후 사후행동으로서 대안매력, 전환의사와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서비스 실패 회복에 따른 신뢰 형성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지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근 1년 이내 서울 및 경기도 지역에 위치한 미용에스테틱 목적의 사설 데이 스파(Day Spa) 이용고객으로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스파 서비스에 불만과 불평을 한 경험이 있는지 파악한 후 이들이 지각한 스파 업체측의 회복 노력에 대해 공정성과 신뢰의 지각과 사후 행동으로서 대안매력과 전환의사를 조사하였다. 연구 가설의 검증결과, 스파 서비스 품질에 따른 서비스 회복 노력의 공정성 요인인 분배공정성 절차 공정성 상호작용 공정성의 세차원에 대해 긍정적 일수록 회복 만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복만족과 신뢰, 대안매력, 전환의사의 관계에서 회복 만족은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대안매력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왔으나, 당초 회복 만족이 전환의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 라는 가설과는 달리 긍정적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회복만족이 전환의사에 미치는 직접효과 보다는 신뢰나 대안매력을 매개한 간접효과를 고려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회복 노력과 전환의사 간에는 간접효과가 높고 총 효과가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회복 만족이 감소하면 전환의사가 높아 진다기 보다는 신뢰나 대안매력의 동반증가가 전환의사 를 높이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전환의사와 신뢰, 대안매력의 관계에서 신뢰와 대안매력은 전환의사에 각각 부정적인 영향과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또한 신뢰는 대안매력 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고품질의 서비스 또는 서비스 회복이 고객들의 행위 의도에 확신을 주는 일련의 직접적인 인과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