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llectual disabilities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25초

치유농업 활동이 성인발달장애인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Healing Agriculture Activities are Brain Waves of Individuals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 Impact On )

  • 박경남;이재면;정재연;허계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713-722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 farming activities on the brain wav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September 2022 to December 2022, with a total of 16 sessions held once a week. For 28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15 participants in the care farm program and 13 participants who did not participate were used as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care farming activities, participants' self-esteem, happiness levels, and brain function indices were measured through surveys and electroencephalography (EEG). Consequently, the self-esteem of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activity, and as for the brain function index, the left brain activity index related to stress, attention, brain function, and emotional state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specially intellectual disabilities. Notably, the effect of care farming activities was greater for women than for 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fore, considering the differential effects of care farming activities based on the type of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sex, it is deemed advantageous to primarily apply these activities to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order to maximize the healing effect of care farming.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가능성 탐색 (Developing and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Virtual Reality Based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이태수;김연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342-353
    • /
    • 2017
  • 이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가상현실 기반 의사소통 프로그램(VR-CTP)을 개발하고, 지적장애 학생의 교수학습 활동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에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문장과 대화를 장애학생을 위한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국어과를 분석하여 추출하였고, 특수교사와 특수교육 전문가들의 검토와 자문 및 적합성 평가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특수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특수교사 30명과 지적장애 학생 44명을 대상으로 사용자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특수교사는 5점 만점에 4.23점을 나타내었고, 지적장애 학생은 4.44점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특수교사와 지적장애 학생 모두 VR-CTP가 교수학습 활동에 적용 가능성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특수학급의 교사가 특수학교의 교사보다 사용자 평가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나, 특수교사의 학교급과 교사경력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지적장애 학생의 경우에는 인지능력, 학교급, 교육적 배치 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곧 VR-CTP에 대하여 사용자 평가가 고르게 나타난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대학 학과 간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 비교과프로그램이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의 식당취업기술에 미치는 효과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the Extracurricular Program of Convergence Major in Lifelong Education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Universities on Restaurant Employment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영준;권량희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36-144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의 학과 간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에 대한 비교과프로그램이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의 식당취업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연구 방법은 세 명의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의 절차로 구성되었으며, 구체적으로 단일대상연구 기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인 지적 및 발달장애 고등학생들은 대학에서 사회복지학과 및 식품영양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 비교과프로그램을 통해 식당취업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 및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의 장애인평생교육 융합전공 탐색을 위한 비교과프로그램은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들의 식당취업기술을 비롯한 성인생활적응에 효과적인 콘텐츠라는 측면이 분석되었다.

Distance Learning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during the Emerging Coronavirus Pandemic: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rom Parents' Perspectives

  • Alnefaie, Adhwaa M.;Bagadood, Nizar 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호
    • /
    • pp.85-92
    • /
    • 2021
  • Distance learning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an prove beneficial, particularly if adjusted to their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needs.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views of parents living in Saudi Arabia, regarding the opportunities offered by distance learning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longside their challeng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research employed qualitative methods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six parent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revealed a number of both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cluding issues related to the family, in addition, the data highlighted difficulties related to the educational process (i.e. a lack of variety of educational methods) and technical issues related to access to the Internet and the insufficient computer skills of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e findings have several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practice, including the need for training workshops for parents concerning the online platform, as well as further research to determine students' perspectives of their experiences with distance learning.

건강한 성인과 경미한 지적장애를 가진 성인의 보행 중 운동학적 데이터 비교 (Comparison of Kinematic Data during Walking between Healthy People and Person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 진다현;황영인
    • PNF and Movement
    • /
    • 제20권1호
    • /
    • pp.19-29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ait pattern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healthy adults based on collected kinematic data on the lower extremities and to investigate the gait patterns of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in one group of healthy adults (n = 9) and one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n = 9). 3D motion analysis (Myomotion) was used to collect kinematic data from each group while the participants walked 3 times over 10 m. As a statistical method, each group's kinematic data during walking was analyzed and compared us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s: Comparing the kinematic data of the lower extremities during walking between the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 healthy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hip and ankle joints in the stance and swing phases. Conclusion: The analysis suggests that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kinematic differences compared with healthy peop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research on rehabilitation programs for joint stabilization, exercise for increasing joint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and proprioception training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insufficient physical function.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에 관한 포토보이스 연구 (A Photovoice Study of Social Relationships among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김민아;허일권;정상미;서정아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2호
    • /
    • pp.5-33
    • /
    • 2017
  • 본 연구는 포토보이스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지적장애 청소년이 사회적 관계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바람을 탐색하였다. 일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청소년 6명(평균연령=18.33세)은 7회기로 구성된 포토보이스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집단토의를 통해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주제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주제와 관련한 사진을 직접 촬영하여 참여자들과 공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청소년들의 5가지 사회적 관계(친구, 학교 선생님, 이성친구, 부모님, 필요한 사람)와 관련하여 총 15가지 하위주제-(1)친구들과의 관계(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해 외롭고 고독함, 친구들로부터 놀림과 괴롭힘을 당함, 친구들과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함), (2)학교 선생님과의 관계(나의 마음을 이해해 주는 선생님께 감사함, 선생님과 교류가 많지 않아 속상함, 선생님이 나의 학교생활에 관심을 가져주기를 바람), (3)이성친구와의 관계(이성친구와 교제하고 싶음, 이성친구를 사귀는 것이 두렵고 걱정됨, 이성친구를 사귀기 위해 노력함), (4)부모님과의 관계(부모님의 한결같은 사랑에 감사함, 부모님과 함께 하는 시간이 즐거움, 아버지와 관계가 소원하여 아쉬움), (5)나에게 필요한 사람(나와 함께 해 주는 사람, 나의 어려움을 도와주는 사람, 나를 포기하지 않는 사람)-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를 증진시키기 위해 또래관계 향상 프로그램 및 또래갈등 대처방식 훈련, 이성관계 교육, 사회적 기술 강화, 비장애 청소년 및 교사,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는 장애학생의 사회적 욕구에 대한 교육 등 사회복지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Specialists' Views Concerning the Assessment, Evaluation, and Programming System (AEPS) in Association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audi Arabia

  • Munchi, Khiryah S.;Bagadood, Nizar 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2호
    • /
    • pp.91-100
    • /
    • 2022
  • To support early interven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ming system tools that enable accurate, valid, and reliable assessments and can help achieve reasonable, generalizable, and measurable goals. This study examined the Assessment, Evaluation, and Programming System (AEPS) used by associa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audi Arabia to assess its suitability for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group of 16 specialists with different professional backgrounds (including special education, physiotherapy, occupational therapy, speech therapy and psychology) from 11 association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ok part in semi-structured personal interviews. The study concluded that AEPS is generally suited for use with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owever, its suitability depends on the type and severity of the child's disability. The more severe the disability, the less effective the AEPS is likely to be. On the basis of this finding the researchers formed interdisciplinary teams to organise and integrate the children's learning and assess the benefits of AEPS, including its accuracy and ability to achieve adaptive, cognitive, and social targets, enhance family engagement and learning and develop basic development skills. This study also identified obstacles associated with the use of AEPS. These include the lack of comprehensiveness and accuracy of the goal, lack of precision and non-applicability to large movements and the fact that it cannot be used with all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research showed that non-cooperation within the family is a major obstacl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AEP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everal implications.

가상현실 기반 중재가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바리스타 업무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VR-based Intervention on the Barista Competence of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 이태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622-630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VR 기반 중재가 경도 지적장애 학생의 바리스타 업무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전남·광주 지역의 경도 지적장애 고등학생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각 15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통제집단은 교사의 설명과 체험을 결합한 전통적인 수업에 참여하였고, 실험집단은 교사의 설명과 VR 프로그램 및 체험 활동을 결합한 중재에 참여하였다. 평가는 커피에 관한 지식 습득을 위한 기본 개념평가와 커피를 만드는 능력을 평가하는 기능평가로 구성되었고, 평가는 중재가 시작할 때, 중간, 중재가 끝난 후 세 번 실시하였다. 평가 자료는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커피에 대한 기본 개념 학습과 커피를 제조하는 기술에서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지적장애인 지원욕구 측정을 위한 구성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 Measurement of Support Need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윤재영;박찬오;박상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477-48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인의 지원욕구 측정에 필요한 구성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별지원서비스의 경험을 가진 19명의 장애인복지현장 실천가들이 196명의 지적장애인을 인터뷰하여 수집한 지원욕구 조사 결과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6개 영역 20개 문항으로 구성된 지원욕구 측정에 필요한 구성체를 확인하였다. 이들 구성 요인(자기관리, 건강관리, 의사소통, 대인관계, 주간활동, 가정 지역사회 활동)은 ICF 및 SIS-A와 비교할 때, 건강관리영역이 강조된 반면 공동체 생활, 사회생활 그리고 시민생활의 영역은 축소된 특성을 보여주었다. 국내에 지적장애인을 위한 개별지원서비스가 도입되는 초기 단계에서 단순하게 구성된 척도의 활용 가능성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더욱 규모 있는 조사연구를 통해 표준 점수가 산출될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경도의 지적장애를 가진 20대 대학생의 다양한 누운 자세별 복합적 폐활량에 대한 비교 (Analysis of the Convergence Pulmonary Function in the 20s Men of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Multiple Lying Positions)

  • 김옥기;박승환;서교철;조미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69-175
    • /
    • 2019
  • 본 연구는 경도의 지적장애를 가진 20대 대학생이 다양하게 누운 자세변화 따른 복합적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도의 지적장애를 가진 20대 남자 대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 대상자들은 누운 자세, 오른쪽 옆으로 누운 자세, 원쪽 옆으로 누운 자세, 엎드러 누운 자세에 따라 폐기능 측정기를 이용하여 폐활량을 평가해 보았다. 자료분석은 SPSS 18.0 버전을 이용하여 실험 대상자의 자세변화에 따란 호흡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일요인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결과는 오른쪽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폐활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고 엎드러 누운 자세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경도의 지적장애인이 일상이나 임상에서 침상생활을 할 때 취침에서 가장 안정된 호흡능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상적인 누운 자세를 제시하고 효율적 환기능력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