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ctional methods

검색결과 409건 처리시간 0.023초

학교 과학 교육에서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사 (A study on Factors in School Science Influenc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 이미경;정은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946-95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과학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하는 요인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을 탐색하였다.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을 좋아하는 이유, 과학을 싫어하는 이유 등에 관한 초등학교 5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 학교 1학년 학생 총 1,000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과학에 대한 태도 조사 결과,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초등학생이나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이,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과학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학생들이 과학을 좋아하는 주된 이유는 실험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고, 과학을 싫어하는 주된 이유는 과학 수업 방법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들은 실험하는 것과 실험 기구를 직접 다루는 것이 재미있기 때문에 과학을 좋아하는 반면에, 수업 시간의 활동, 수업 매체, 교과서, 과학 교사 등이 원인이 되어 과학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었다. 과학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조사한 결과, 과학 과목의 내용 및 특성은 과학을 좋아하게 하는 주된 요인인 반면에 과학 수업 방법은 과학을 싫어하게 하는 주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험은 과학을 좋아하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고 싫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에 대한 학생의 흥미도에 따라 차별화된 방안을 적용하는 것이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신장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시사한다.

과학교사들이 진단한 과학과 협동학습의 실태 (Science Teachers' Diagnoses of Cooperative Learning in the Field)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60-376
    • /
    • 2001
  • 본 정성적 연구는 협동학습에 대한 현직 과학교사들의 인식과 교실 현장에서 협동학습의 실천에 따른 장애요소들을 조사하였다. 구성주의 인식론을 배경으로 하고 있는 협동학습은 내용의 단순암기와 경쟁을 통한 학업성취를 조장하는 현재의 교육체계에 대한 하나의 대안적 틀로서 제시되었다. 2001년 여름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등록한 18명의 현직교사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수집한 면접자료는 ‘협동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정의, 교실에서의 협동학습의 실천과 관련된 이슈들, 교사 및 학생들의 협동학습에 대한 반응’ 등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류, 분석되었다. 이 영역들은 다시 10개의 주제들로 다시 세분되었다: 교사들이 느낀 협동학습의 의미, 학습에서 대화의 중요성, 협동학습이(부)적절한 상황, 협동학습 수업의 마무리 방법들, 협동학습시의 조편성 방법, 협동학습의 실행에 있어서의 장애요소들, 협동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 교사들이 밝힌 학습중심 교수/학습 방법 선택(또는 거부)의 이유, 협동학습법을 선호하는 교사들의 특성, 교사들이 현장에서 협동학습을 거부하는 이유. 각 주제별로 교사들의 반응을 상술하고 토의를 제시하였다. 보다 많은 교실에서의 협동학습의 개발과 실행을 위해서는 (1) 교사들의 인식 전환의 필요성, (2)교사 재교육 기회의 제공, (3) 학생들의 새로운 역할에 대한 적응, (4) 교육과정 및 학습자료 측면의 지원 및 (5) 행정적, 시설적지원 등이 필요함을 주장하는 바이다. 한편, 협동학습이 모든 수업상황이나 교수/학습적 문제들에 있어서 만병통치약이 아니라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협동학습은 단지 하나의 수업방법 또는 도구로서 가르치고자 하는 특정한 교수목표를 위해 유용하며, 특히 다양한 학습능력을 가진 학생들이 함께 섞여있는 교실에 적절한 방법이다. 후속 연구과제도 제안되었다.

  • PDF

일부지역 치위생과 학생들에 대한 치위생 교육과정의 팀기반학습이 학습동기와 자기주도 학습력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dental hygiene students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in the dental hygiene curriculum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 박인숙;김동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27-140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eam-based learning to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eoretical oral prophylaxis class, one of required courses geared toward acquiring professional knowledge on preventive public health, as oral prophylaxis was counted among major duties of dental hygienists. It's ultimately meant to compare the effects of team- based learning and expository instruction on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of learners in order to discuss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in dental hygiene education.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 dental hygiene students at C college. Out of them, 32 students who were freshmen as of 2007 were group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28 students who were freshmen as of 2006 were selected as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gaged in team-based learning from August 30 to December 6, 2007, and the control group took expository lessons from August 28 to December 8, 2006.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were evaluated by using t-test, paired t-test and GLM analysis. Results :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better in learning motivation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they were engaged in team-based learning (p<.001). According to GLM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group gap in learning motivation, and the two grou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in its subfactors involving attention, relevance and confidence(p<.05). 2. The experimental group excelled the control group at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p<.05), and the team-based learning had a better effect on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than the expository instruction. Conclusions :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team-based learn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expository instruction at boosting the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capabilities of the students. Therefore revised teaching methods should be prepar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ental hygiene courses, and the development of new instructional models and educational programs is required as well.

수학과 좋은 수업 사례에 대한 질적 분석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Best Practice" in Mathematics)

  • 이대현;최승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49-263
    • /
    • 2006
  • 이 연구는 수학과 좋은 수업에 대한 사례 관찰과 분석을 통해서 수학과 교사들의 좋은 수업의 특징을 알아보고, 수학과 교육의 내실화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정된 6명 교사들의 수업 사례에서 '좋은 수업'이란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재구성한 수업, 실생활 상황을 도입한 수업, ICT를 활용한 수업, 메타인지 학습 전략을 도입한 수업, 동기 유발이 가능한 수학 수업, 수행평가를 도입한 수업, 수준별 소집단 협력 수업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좋은 수업을 운영하고 있는 교사들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었다. 연구에 참여한 6명의 교사들은 여러 가지 현장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이를 극복하고 학생들의 학습 수준을 이해하고 학생들이 친숙하게 접할 수 있는 소재에서 출발하여 학생들과 같이 하는 수업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6명 교사들의 좋은 수업은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시키고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교사로서의 순수한 열정과 노력의 결과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좋은 수업의 특징은 실질적인 수학과 내실화를 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학교 교육의 내실화는 수업의 내실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최근의 수학교육 동향에 비추어 좋은 수업을 운영하고 있는 교사의 수업을 계속적으로 발굴하고, 이들 수업에서 발견되는 수업의 특징을 새로운 학교 수학 수업의 기준점으로 삼아, 수학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현실적인 실천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 PDF

공과대학에서 PBL 적용을 위한 평가방법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Methods for Implementing PBL in Engineering School)

  • 이근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605-610
    • /
    • 2018
  • 본 논문의 목적은 효율적인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하기 위한 평가방법을 개발한다. 연구 대상은 창의공학설계 교과목을 수강한 H대학 1학년 학생 68명 이었으며, PBL수업은 12주에 4개의 PBL문제를 적용하였다. PBL의 효율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학생들은 주어진 문제의 PBL 활동 과정에서 평가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다. 또한 PBL 활동이 끝날 때 마다 평가지와 성찰일지를 작성하여 제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PBL에 대한 이해,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 자아성찰, 실제적 경험, 창의문제 해결력,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의사소통 능력, 문서작성 능력, 프리젠테이션 능력, 관찰 능력, 평가 능력과 같은 다양한 PBL의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PBL 활동에 대해서는 지난 학기에 비하여 자신감, 만족감, 성취감도 높았으며, PBL 수업이 매우 유용했다고 응답했으며, 수업에 대한 만족도도 높았다. 그러나 PBL 활동 과정에서 팀원들 간의 의사소통문제, 함께 모이는 문제,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 팀원 문제, 시간이 소용되는 문제가 나타났다.

액션러닝 기반의 다문화 간호교육이 문화적 역량 증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Cultural Competence in Multicultural Nursing Education by Action Learning)

  • 김연순;김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527-6535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액션러닝 기반의 다문화 간호교육이 문화적 역량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4년제 간호학과 학생 118명으로 다문화 간호를 수강하는 학생이었다. 이 중에서 액션러닝 기반 수업 집단은 61명이었고 전통적 강의 기반 수업집단은 57명이었다. 다문화 간호수업은 2시간씩 13회 실시하였고 1회와 13회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문화적 역량을 측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1.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집단 내 사전 사후 비교는 대응표본 t검증, 집단 간 사후비교는 일원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다문화 간호교육의 전통적 강의 기반 수업 방법과 액션러닝 기반의 수업방법에서 모두 문화적 역량이 증진되었다. 문화적 역량의 하위 요인 즉, 문화지식, 문화인식과 문화수용성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다문화 간호교육에서 액션러닝 기반 수업과 전통적 강의 기반 수업은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소인 문화적 지식과 문화적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액션러닝 기반 수업이 전통적 강의 기반 수업에 비하여 문화적 수용성은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는 다문화 간호교육이 문화적 역량 증진에 효과적이며, 특히 수업방법에 있어서 전통적 강의 기반 수업보다 액션러닝 기반의 수업이 문화적 수용성 증진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다문화 간호교육에 있어서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참여 전략을 사용하는 액션러닝 기반의 수업방법이 간호 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증진에 매우 효과적인 수업방법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증진을 위하여 과제 유형에 따른 액션러닝 기반 수업 설계, 간호행위로의 수행 그리고 액션러닝 기반 수업 성과에 대한 타당성 확보를 위한 반복연구를 제안한다.

학부모의 연령, 학력 및 소득수준에 따른 스마트교육 관련변인 태도분석 (Analyses on Attitudes to Smart Education-related Variables Based on Parents' Age, Levels of Education and Income)

  • 김재훈;박영란;임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55-264
    • /
    • 2013
  • 본 연구는 학부모들의 연령, 학력 및 소득수준에 따라 스마트교육과 관련된 주요 이슈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설문내용으로는 주로 디지털 활용 교육효과, 스마트교육에 대한 이해도, 교육개선의 필요성, 그리고 태블릿PC의 개별구입 등과 관련된 것들이었다. 연구수행을 위해 서울시내 5개 초등학교로부터 수집된 432명의 학부모 설문결과가 활용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학부모들은 태블릿 PC보다 일반 컴퓨터의 교육적 활용가능성에 보다 우호적이었으며, 휴대폰과 SNS의 교육효과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인 편이었다. 둘째, 스마트교육과 관련된 친숙도와 이해도는 어머니의 학력 및 가계수입과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학부모들은 학교 교육방식의 변화 필요성, 그리고 학습자 측면에서는 자기주도 학습능력, 협력, 탐구능력, 창의성 등의 신장 필요성에 공감하였다. 넷째, BYOD 정책과 관련해서는 필요시 일정금액 한도 내에서 자녀에게 기기를 구입해 줄 수 있다는 의견이 우세하였다. 본 연구결과가 참조되어 학부모 의견이 적절히 반영된 스마트교육 시행이 요청된다.

대면/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학습만족도(일부 치위생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A Learning Satisfaction in face-to-face/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s of New Dental Hygiene Students)

  • 신애리;심형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804-813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일부 치위생과 신입생의 대면과 비대면 수업방법에 따른 학습만족도에 대한 연구로 신입생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시행하였다. 2020년 10월부터 11월까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G대학 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수업적 특성, 수업방법, 학습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학생들이 선택한 효율적인 실기수업방법은 대면수업이었고 수업선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학습만족도는 술기능력향상을 위해 선호하는 실습수업방법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면수업과 비대면수업의 전체학습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수업 중의 점검과 선택한 수업방법의 편리성 항목에서 대면수업이 유의하게 높은 학습만족도를 나타냈다. 또한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대면수업선택이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신입생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실습수업 계획 시 대면수업이 필수적으로 포함된 수업을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초등학생을 위한 활동중심 인공지능 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Activity-Based AI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신진선;조미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437-448
    • /
    • 2021
  •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은 정치, 문화, 산업, 경제 등 사회의 여러 분야에 적용되며 혁명적인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시대를 이끌 학생들에게 인공지능으로 인한 사회의 변화를 인식하고,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며, 다양한 상황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역량이 요구된다. 하지만 초등학생의 평균적 발달 수준에서는 인공지능의 개념과 원리를 학습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는 인공지능 교육 내용과 방법을 선정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고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함으로써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내용 체계는 인공지능으로 변화된 사회를 인식하는 'AI 사회인식', 인공지능을 체험하고 원리를 이해하는 'AI 이해하기', 인공지능을 활용해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AI 활용하기'이고, 이에 따라 세부적으로 8가지 내용 요소들을 함께 구성하였다. 교육 방법으로는 활동중심, 타 교과 융합, 프로젝트기반학습으로 선정하여 초등학생의 수준에서 쉽고 즐겁게 인공지능을 학습할 수 있도록 총 20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또한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융합적 사고력',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협업 역량'의 측면에서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4가지 측면 모두에 대해 긍정적인 변화를 검증하였다.

방송CG 활용 사례 분석과 그래픽디자이너의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Case Analysis of Broadcasting CG and the role of Graphic Designer)

  • 조풍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728-737
    • /
    • 2021
  • 그동안 방송CG는 해체·변화·왜곡의 과정을 거듭하면서, 방송프로그램에서의 방송CG는 '시간성'과 '조형성'이라는 확대된 배경을 활용한다. 이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입체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인간의 공감각에 호소하는 시청각적 언어를 창조하는 것이다. 방송CG가 단순한 지시적, 정보 전달적인 방송그래픽의 운용을 넘어, 가독성과 조형성을 고려한 영상의 순수한 미적가치와 감성을 증대시키고, 이를 통한 방송프로그램의 시청각정보 완성미를 도출하며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지역방송사에서의 방송CG제작과 활용방법에서 나타난 결과물들을 살펴보고 방송프로그램 유형별 사례분석 통해 그동안 불가피하게 직면했던 지역 방송사들의 CG제작 및 활용의 한계점들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절충선이 되는 모델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고 지역 방송프로그램에 보다 적극적이고 실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방송프로그램에서의 방송CG제작 활용 사례분석"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 다음으로 "지역 방송사들의 방송CG제작 방법과 활용의 문제점 파악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방송CG제작기법 및 적극적인 활용방법 등을 제언"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지역방송사들의 방송프로그램제작의 기술적인 관점과 방송CG제작을 담당하고 있는 방송그래픽디자이너들에게 새로운 역할과 실용적인 방송CG제작모델 정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