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ctional Innovation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2초

공과계열 대학생을 위한 맞춤형 테크노 리더십 캠프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ustomized Technological Leadership Camp Programs for Engineering Students)

  • 진성희;김태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111-121
    • /
    • 2010
  • 연구의 목적은 공과계열 대학생들이 미래의 조직에서 테크노 리더가 되기 위한 기초소양을 쌓을 수 있는 맞춤형 테크노 리더십 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테크노 리더십 캠프 프로그램은 체제적 교수설계 방법론의 절차에 따라 개발되었다. 문헌분석과 사례분석을 통해 테크노 리더십 프레임웍이 개발되었고 중요도-수행도 분석법을 활용한 요구분석을 통해 핵심개발 테크노 리더십 역량이 도출되었다. 요구분석 대상은 A대학교 공과계열 대학생 202명과 동일대학과 산학협력관계에 있는 기업체관리자 22명이었다. 도출된 핵심개발 테크노 리더십 역량을 중심으로 기본과정과 심화과정의 수준별 테크노 리더십 캠프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2회에 걸친 전문가 검토의 과정을 통해 수정 보완되었다.

  • PDF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의예과 교육과정 개발과 편성 사례 (Development of Premedical Curriculum in Inje University's College of Medicine)

  • 윤유상;윤보영;정도운;이종태;주현정
    • 의학교육논단
    • /
    • 제19권3호
    • /
    • pp.145-148
    • /
    • 2017
  • One important purpose of premedical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attain core competencies during the two-year premedical program. Since premedical curriculum is the foundation of medic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emedical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overarching curriculum of a medical school. Inje University's College of Medicine (IUCM) has attempted to integrate competency-based medical education into th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revised premedical curriculum aims to develop students' intrinsic competencies during premedical years. In an effort to do so, IUCM defined competencies for premedical education, analyzed and designed premedical courses according to the defined competencies, and suggested learner-centered instructional methods.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revised premedical curriculum, students have reported both positive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Based on the results, it will be necessary to continuously improve the premedical curriculum as well as develop appropriate methods for evaluating student achievement of the defined competencies.

산업체 애로기술을 활용한 TRIZ 기반 창의적문제해결방법론 교과목 개선 (Improvement of Creative Solving Problem Method Curriculum based TRIZ Using Industrual Bottleneck Techniques)

  • 이재경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58-69
    • /
    • 2021
  • It is very necessary to have a creative problem-solving capacities to learn various majors and liberal arts based on the major, and to solve the bottleneck techniques led by students. In this study, the existing creative problem-solving curriculums, 'Methodology of Inventive Problem Solving' based on TRIZ, were improved and applied, and industrial bottleneck techniques were provided to students to solve these techniques. To improve the curriculum, 1) improvement of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learning contents, 2) improvement of evaluation methods and contents (reflecting the evaluation of instructor and students), and 3) learning satisfaction survey were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improved curriculum, the level of activities for each team was improved, and when the core process was well understood, the evaluation of team activities was also excellent, but there was a tendency to focus on methods that are relatively easy to apply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In the final exam (learning contents evaluation), teams with difficult understanding of the TRIZ theory or low team activities showed a relatively high trend, but the difference in level between divisions was slightly reduced.

Effectiveness Analysis of Computer Science Textbooks focusing on Digital Therapeutics

  • Eunsun Choi;Namje Park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9-18
    • /
    • 2024
  • Digital therapy has emerged as a novel treatment modality, propelled by advancement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the last five years, there has been a substantial surge in research publications addressing digital therapeutics (DTx) interventions, signaling a sustained upward trajectory in this field. The dynamic nature of computer science, marked by continuous innovation and development, underscores the need for agile adaptation to rapid changes. Consequently, computer science education is compelled to offer students insights into the latest trends. This research endeavors to contribute to the evolving landscape by developing textbooks that impart knowledge about DTx, an integr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study focuses on the application of these textbooks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The instructional materials have been carefully organized to enable students to learn about the principle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DTx at the elementary level and the DTx that can prevent and address the digital drama at the middle school level.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textbook, students who received instruction using the textbook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subcategories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cluding idea modification, visualization, task focus, analogy, idea generation, and elaboration (p<.01). Additional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students'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using the textbook, with negative efficacy decreasing, and positive efficacy and social efficacy increasing (p<.001).

비대면 가창 수업 방법 고찰 (A Study on Non-Contact Vocal Instruction)

  • 임지현;민경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7-38
    • /
    • 2021
  • 팬데믹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 시작으로 비접촉 사회를 형성하였다. 접촉을 제한하는 언 콘택트 시대가 도달함으로써 우리 사회 및 경제생활뿐 아니라 교육 활동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같은 감염병 사태에 대응하여 대학을 비롯한 모든 교육 기관들은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시행하였다. 특히, 예체능을 비롯한 실무 형태 위주의 학과 수업들은 비대면으로 인한 제한된 환경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가창 수업은 주로 1:1 대면 개인지도 또는 단체 수업 방법에서 비접촉 시대로 시행된 비대면 수업 전환으로 과도기를 경험하고 있다. 전통적인 교육 방식에 머물러 있던 국내 학교 현장에서 코로나 19 이후 비접촉 시대를 맞이하여 기술을 혁신하는 에듀테크가 본격화 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가속화된 교육 혁신에 대비하여 비대면 실기 수업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언택트 가창 수업 방법연구를 위해 먼저 비접촉 사회로 인한 국내 대학 현황과 가창 수업 형태를 살펴본다. 그 사례 연구로 가창 수업 방법을 제시하고 그 수업을 수강한 학생들과 교수들의 설문 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그와 더불어 비대면 가창 수업의 장단점을 조사하고, 만족하는 수업 방법의 연구결과로 '가창 녹화 모니터링 및 선행학습', '즉각적인 영상자료 보컬 분석 및 보충 음악 이론'이 두 가지 구성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다. 시대적 변화와 함께 효과적인 비접촉 가창 수업을 위해서는 비대면 가창 수업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새로운 비접촉 가창 수업 방법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시스템 구축이 더욱 마련되어야 한다.

협력학습 기반 수업에서의 동료평가에 대한 수업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class satisfaction with Peer Evalua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based classes)

  • 정선경;박남수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58-17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학습 기반 수업에서의 동료평가에 대한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협력학습 기반 수업에서 동료평가를 위한 수업 절차 설계, 동료평가 유형과 문항 개발, 동료평가 실시, 수업만족도 조사 및 분석하여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문제중심학습과 프로젝트 기반 수업으로 선정된 협력학습 기반 수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협력학습 기반 수업에서의 동료평가에 대한 수업 만족도는 수도권 소재 A대학에서 협력기반 수업 참여자 16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동료평가를 위한 협력학습 절차는 팀 구성, 과제 수행 계획, 과제수행, 중간평가, 과제 수행 완료, 발표 및 평가, 자기평가로 설계하였고, 동료평가는 팀내. 팀간 평가로 유형화 하였고, 단계별 동료평가문항을 설계하였다. 동료평가 문항의 내용타당도는 전문가 12인의 CVR로 평정하였다. 연구결과에서 동료평가의 수업만족도는 평균 4.05(SD=.91)로 높게 나타났고 수업의 집중, 수업의 성실성, 자발성, 학습 분위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업 만족도 수준 차이 검증 결과, 성별과 학년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수업 유형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이 프로젝트기반 학습에 비하여 만족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등교육에서의 동료평가 적용 및 확대를 위한 수업설계와 운영의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PBL 수업에서 공과대학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문제해결 능력 차이 (A Study on the Differences of Problem-Solving Ability between Students with High Level of Self-efficacy and Students with Low Level of Self-efficacy)

  • 신민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30-37
    • /
    • 2009
  •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검증해 보는 것이었다. 즉,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와 낮은 학습자의 PBL수업 후 문제해결능력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PBL 수업에서의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파악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환경공학과 '환경기기분석'을 수강했던 3학년 7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PBL 활동을 시작하기 전 자기효능감 검사를 통해 나온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 30%와 하위 30%의 학생들을 각각 선정하였고, 이들에게 문제해결 능력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12주간의 PBL활동이 마무리 된 후 같은 학생들에게 사후 문제해결검사를 배포하고 완성하도록 요구하였다. 교정된 문제해결 능력 성취 수준이 자기효능감 상집단과 하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은 유의 확률 .002로 유의수준 .01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F=.11303, p<.01). 즉, 자기효능감 상집단의 평균(3.817)이 자기효능감 하집단의 평균(3.496)보다 높아 자기효능감은 문제해결 능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BL 수업과정에서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수준을 향상시켜 효과적인 문제해결을 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IP(지식재산권) 교육 저변확대를 위한 교과운영모델 방안 (Curriculum model plans to extend the IP training base)

  • 조재신;송요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329-338
    • /
    • 2016
  • 최근 창조경제가 중요시 되면서 학습자 중심의 IP 교육이 각 대학별로 급속히 확산되고 IP 교육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급속히 높아지고 있는 반면 아직 이를 위한 교과과정 및 IP 교육 이수 인증(확인)에 대하여 충분히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IP 교육 모듈을 제시하고, IP 교육 이수 인증(확인)에 대한 필요성과 인증 방안을 제시한다. 지식재산인력 및 교육의 필요성과, 현재 운영되고 있는 지식재산교육의 현황 및 분석, 지식재산 선도 대학 전체의 지식재산 강좌 추세를 살펴본다. 이어 국내교육인증제도인 교육인증제와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교육들에 대하여 살펴보고, 교과운영모델(안)으로서 IP교육 8개 과정 모형, 지식재산 표준교육과정 교육 이수체계 및 교육모듈을 제시한다.

유아대상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 (Teaching Competency of Softwa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고은현;문은경;홍찬의;이경희;최순덕;이영석;조정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55-263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유아대상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수역량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 및 유아교육, 컴퓨터교육, 교육공학 전문가 집단의 3차 델파이 조사를 시행하여 교수역량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소프트웨어 교육목적·목표 및 교육내용 선정',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계획 및 운영',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평가 및 환류'의 3개 역량군 및 15개 역량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연구결과 도출된 교수역량과 선행연구와의 관련성을 논의하고 결과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분석된 교수역량은 이후 교사교육 및 교육실행 관점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Maker Education Program for Entrepreneurship)

  • 장지은;김세영;윤성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55-64
    • /
    • 2019
  •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창조적 혁신을 이끌어내기 위한 기업가정신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청소년을 위한 기업가정신 교육 방법론으로 제안된 메이커교육 설계 모형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의 실천을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교 3학년~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습 주제군과 수준에 따라 총 2종의 프로그램과 보조 자료를 개발하였다. 최종 산출물은 학생용 교재, 교사용 가이드북, 수업용 PPT, 팀 활동용 워크시트로 구성하였다.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해서 중학생 14명을 대상으로 파일럿 워크숍을 실시하였으며, 전문가 3인으로부터 감수를 받아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 완료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메이커교육 실천에 요구되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제안함으로써 현장에서의 기업가정신 교육 착근에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