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itutionalized elderly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19초

중·고령인구에서 비만과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비만 측정 지표 비교 (Comparisons of obesity indicators for obesity and chronic diseases management among older adults)

  • 천희란;박은자;김일호;조성일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09-120
    • /
    • 2014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s between obesity level and major chronic diseases in older population in Korea, using different obesity indicators. Methods: Data was from the 2008 KloSA Biomarker pilot, a nationwide sample of 514 non-institutionalized subjects (age $63.6{\pm}9.8$ years; women 57.2%). Anthropometric information was collected by home visiting nurses. Portable bioimpedence devices(Omran HBF359) were used for measuring fat mass. Obesity cut-offs used the Asian criteria of $BMI{\geq}25$, $WC{\geq}90/85cm$, and $fat%{\geq}25/35$ for men and women. Chronic disease prevalence was defined by physician-diagnosed history of 8 specified diseases. Results: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ment of obesity level by BMI, WC and fat %. Odds ratios of acquiring chronic diseases remained significant in the obese group (BMI OR 2.76, 95%CI 1.82-4.19; WC OR 2.73, 95%CI 1.81-4.11; Fat OR 1.87 95%CI 1.26-2.78), after adjusting for age, sex, marital status, education, work participation, household income, smoking, drinking, and exercise. Conclusions: Obesity measured by all three indicators, BMI, WC, and fat mass cannot be disregarded, accentuating the significant effect on increases in disease risks among older population. BMI and WC measure appeared better to assess the risks of chronic diseases.

컨조인트 분석에 의한 노인의료전문 병원의 급식서비스 선호도 연구 (Preferences of Foodservice Types for the Elderly Patients at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through Conjoint Analysis)

  • 윤혜려;조미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41-149
    • /
    • 2009
  • 본 연구의 분석결과, 컨조인트 도출모형의 적합성은 Pearson's R은 0.420, Kendall's tau는 0.402(<0.05)로 나타나 도출된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급식서비스 속성에 대한 중요도는 영양사와의 상담이 51.2%로 가장 높았으며, 배식원의 서비스가 48.7%, 음식의 조리법이 0.1% 순으로 조사되었다. 급식서비스 각 속성의 효용성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음식 의 경우 '부드러운 조리법 음식의 효용성'이 0.001로서 '일반적인 다양한 음식' -0.001보다 선호되고 있었다. 다음 배식원의 경우 '친절한 배식원의 서비스'가 0.086으로서 '신속한 배식원의 서비스' -0.086보다 선호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영양사 상담은 '주 1회'가 -0.138로서 '주2회' -0.2 6보다 선호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부드러운 조리법의 음식/친절한 배식원의 서비스/주 1회 영양사 상담'이 노인의료전문 병원의 환자들로부터 가장 선호되는 급식 서비스 프로파일로 나타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응답자들이 급식서비스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시 하는 속성은 영양사와의 상담(51.2%) 이었으며, 다음으로 배식원의 서비스(48.7%)이었다. 반면 음식의 조리법에 대한 중요도는 0.1%로서 음식의 조리법 자체는 급식서비스를 선택/선호하는 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그보다는 영양사의 상담과 배식원의 배달 서비스가 더욱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결과적으로 가상의 급식서비스 선호도 모델로써 제시된 8개의 모델에서 일반적인 조리방법, 친절한 말과 미소를 건네는 배식원의 서비스, 주 1회 담당 영양사와의 상담을 제시한 3번 모형이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노인의료전문 병원 급식서비스의 중요 요소를 파악한 후 가상적인 급식소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을 위한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컨조인트 분석은 특정 제품이 가지고 있는 각각의 속성에 고객이 부여하는 효용을 추정함으로써, 고객이 선택할 제품을 예측하기 위한 기법으로 서로 다른 제품 속성에 대한 고객의 중요한 관점을 제시해 준다$^{26)}$. 즉 병원 급식에서 환자들은 정보를 얻고 가능한 대안들을 알고 난 후, 선택 속성의 패턴을 정의하여 이것을 급식소의 결정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노인의료전문 병원에서 급식서비스는 치료의 한 분야로써 그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으며,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을 위한 급식 서비스는 진료외적인 서비스의 한 요소로써 노인급식서비스의 향상을 위한 노력과 품질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노인급식서비스 가상 모델은 노인의료전문 병원에서 행하여지는 급식서비스의 최적화 품질관리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족도 제고를 위하여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시설노인의 골다공증 관련요인 연구 (A Study of Related Factors in the Bone Mineral Density of the Institutionalized Elderly)

  • 김희자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1-44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femoral neck and lumbar bone mineral density with their and related factors. It were measured and deter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bone mineral density, bone mineral content in the lumbar and femoral neck, muscle strength (arm, back, leg), muscle endurance,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IADL), quality of life, cognitive perceptual variables(self efficacy, perceived health status), age, age at menopausal period. The twenty five subject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consisted of twelve males and thirteen females at a C-institution in Chung Buk province.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73.64 year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ugust, 1993 to September, 1993. The data was analyzed with $x^2-test$, t-test,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using a SPSS pc+ program. 1. The mean femoral neck bone mineral density was $0.636g/cm^2$, 66.7% of young bone mineral density, the mean lumbar($L_2-L_4$) bone mineral density was $0.807g/cm^2$, 79.86% of young bone mineral density. The mean fermoral neck bone mineral content was 2.906g and the mean lumbar bone mineral content was 36.898g. 2. The mean muscle strength was 17.14kg(grip strength), 32.05kg(back lift strength), 17.14kg (leg lift strength) and the mean muscle endurance was 9.92times. 3. Men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p<0.01) in muscle strength and muscle endurance than women, as well as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self 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p<0.05). 4. The femur neck bone mineral densit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p<0.0l) with leg lift strength, back lift strength, and their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s (p<0.05) with arm strength and muscle endurance. Lumbar ($L_2-L_2$) bone mineral density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p<0.05) with muscle endurance, grip strength and IADL. 5. Wit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for lumbar bone mineral density were IADL,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for femoral neck bone mineral density was leg strength. This study concluded: As the mea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ineral content were low, the aged showed osteopenia. Bone mineral density, muscle strength and IADL were correlated. The aged could pro mote muscle strength, bone mineral density and IADL through Leg Press exercise which was safe and efficient for the aged. This Leg Press exercise contributed to prevention of osteoporosis and promoted the health of the aged.

  • PDF

지역사회 거주 중고령자의 미충족 돌봄요구와 관련요인 (Unmet Care Needs Among Community-dwelling Middle-aged and Older People in Korea)

  • 김수정;박연환;김홍수
    • 한국노년학
    • /
    • 제31권2호
    • /
    • pp.195-209
    • /
    • 2011
  • 이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중고령자의 미충족 돌봄요구 현황을 파악하고 관련요인을 밝히고자 수행한 이차자료 분석연구로, 전국의 45세 이상 일반가구 거주자를 대표하는 표본(n=10,254)을 표집하여 조사한 2006년 제 1차 고령화연구패널을 이용하였다. 미충족 돌봄요구는 기본적 일상생활수행과 도구적 일상생활수행에 있어 다른 사람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상태임에도 돌봐줄 수 있는 사람이 없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모든 분석은 대상 인구집단을 대표하는 추정 통계치를 구하고자 가중치를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중장년의 7.3%, 젊은 노인의 14.5%, 그리고 고령 노인의 41.8%가 돌봄을 필요로 하는 상태였으나, 이 중 각각 34%, 33%, 24%가 돌봄요구를 충족받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충족 돌봄요구 관련요인은 연령 그룹에 따라 달랐는데, 중장년에서는 교육과 소득수준이 미충족 돌봄요구와 음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던 반면, 젊은 노인과 고령 노인층에서는 독거만이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 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지역사회 거주 중고령자 중 상당수가 미충족 돌봄요구가 있으며, 그 관련요인은 생애주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는 지역 사회 거주 중고령자의 미충족 돌봄요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기반 재가서비스의 확충이 시급하며, 특히 교육수준이 낮은 중장년과 독거노인 대상의 서비스 개발 및 보급이 중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