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ability indices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2초

진행성 핵상 마비에서의 국소 뇌혈류 (Regional Cerebral Perfusion in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 이원용;이경한;이기형;윤병우;이명철;이상복;전범석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7-55
    • /
    • 1996
  • 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PSP) is a parkinson-plus syndrome characterized clinically by supranuclear ephthalmoplegia, pseudobulbar palsy, axial rigidity, bradykinesia, postural instability and dementia. Presence of dementia and lack of cortical histopathology suggest the derangement of cortical function by pathological changes in subcortical structures in PSP, which is supported by the pattern of behavioral changes and measurement of brain metabolism using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specific changes of regional cerebral perfusion in PSP and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severity of motor abnormality and degree of changes in cerebral perfusion. We measured regional cerebral perfusion indices in 5 cortical and 2 subcortical areas in 6 patients with a clinical diagnosis of PSP and 6 healthy age and sex matched controls using $^{99m}Tc$-HMPAO SPECT. Compared with age and sex matched controls, only superior frontal regional perfusion index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PSP (p<0.05).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severity of the motor abnormality and any of the regional cerebral perfusion indices (p>0.05). We affirm the previous reports that perfusion in superior frontal cortex is decreased in PSP. Based on our results that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severity of motor abnormality and cerebral perfusion in the superior frontal cortex, nonmotoric symptoms including dementia needs to be looked at whether there is a correlation with the perfusion abnormality in superior frontal cortex.

  • PDF

퍼지확률이론과 손상지수를 이용한 지하암반공동에서의 스폴링 발생 평가 (Assessment of spalling occurrence using fuzzy probability theory and damage index in underground openings)

  • 방준호;이강현;이인모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5-29
    • /
    • 2010
  • 스폴링 현상은 높은 현지응력하에서 확장균열의 발달로 암반공동 주변에서 발생하는 파괴형태이다. 기존 연구에 의하면 3가지 스폴링 기준은 범위로 제시되어 있어 기준자체의 애매모호함이 상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퍼지확률이론을 적용한 새로운 스폴링 발생 종합 평가모델을 제안하였고 스폴링 발생현장에 평가모델을 적용한 결과 현장관측결과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정량적으로 스폴링 발생확률을 산정할 수 있었다. 특히, 3가지 스폴링 평가인자별 상대중요도를 고려한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실제 스폴링이 관측된 현장이 스폴링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는 오류를 해결하였다. 또한, Martin 등(1999)의 손상지수에 형상계수를 도입한 수정손상지수가 포함된 스폴링 평가인자를 스폴링 발생 종합 평가모델에 적용한 결과 합리적인 스폴링 발생확률을 산정할 수 있었다.

2012년 특별관측 자료를 이용한 동해안 겨울철 강수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over the East Coast of Korea Based on the Special Observation during the Winter Season of 2012)

  • 정승필;임윤규;김기훈;한상옥;권태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41-53
    • /
    • 2014
  • 겨울철 동해안 강수 현상에 대한 규명을 위하여 라디오존데를 활용한 특별관측을 2012년 1월 5일부터 2월 29일까지 실시하였고, 이 연구는 대기의 불안정을 나타내는 다양한 변수를 활용하여 강수 사례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강수가 발생할 때 지표면(1000 hPa)에서 중층(약 750 hPa)까지의 상당온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이러한 대기층(1000~750 hPa)은 불안정을 일으키기에 충분한 수준의 수증기를 함유하고 있었다. 대류가용잠재에너지의 시간적인 변화를 살펴본 결과 강수가 발생하였을 때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고, 연직바람쉬어의 경우에서도 대류가용잠재에너지와 마찬가지로 강수 기간 동안 상승하여 일정수준 이상의 값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수에 따른 대기 구조의 상세한 분석을 위하여 지상 원격 탐사 자료와 지상 관측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가강수량과 바람벡터를 이용하여 가강수량플럭스를 계산하였다. 가강수량플럭스와 강수량은 북동풍 계열의 바람이 발생하였을 때 높은 관계성을 보였다. 그 결과 동해안영역에서 발생하는 강수 현상에서는 풍계와 같은 역학적인 작용의 이해가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국내 건설기업의 해외건설 계약실적 구조 분석 (Analyzing the Market Structure of International Construction Contracts : Focusing on Korean Construction Firms)

  • 이강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24-132
    • /
    • 2019
  • 해외건설업이 국가경제에 기여하는 중추 산업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해외건설 실적에 관한 연구는 단편적인 동향이나 특정 시점의 시장 점유율을 분석하는데 집중해왔다. 해외건설업은 프로젝트 기반산업으로 분절적이고(fragmented), 여러 다른 업체로 구성되며(heterogeneous), 업황에 따라 시장 구조가 역동적으로 변화하는(dynamic) 특성을 가지고 있어 특정 시점에 대한 정태적 분석과 함께 동태적 시장 변화의 고려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건설기업이 계약을 체결한 9,173건의 프로젝트 정보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해외건설 계약실적 구조를 분석하였다. 산업 차원의 실적정보를 정태적(시장 집중도), 동태적(시장 이동성 및 불안정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방법론을 기술하였다. 분석 결과, 정태적 측면에서는 국내 건설기업의 해외건설 경쟁구도가 최근 더욱 치열해지고 있으며, 동태적 측면에서는 주요 지역 및 공종을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 시장 지위가 미약하고 불안정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정태적 동태적 분석의 조합을 통해 건설 관련 주체들의 시장 이해도를 제고하고, 향후 경쟁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ODIS 적외 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지역의 대기 안정도 지수 산출 (Estimating Stability Indices from the MODIS Infrared Measurements over the Korean Peninsula)

  • 박성희;정의석;;손병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69-483
    • /
    • 2006
  • Terra 위성에 탑재된 MODIS 적외채널의 밝기온도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지역에 대해 안정도 지수를 산출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안정도 지수는 정역학 평형 상태하에서 연직 변위에 대한 대기의 안정도로 정의되며, 대류성 폭풍우의 가능성을 나타내는 지수로 사용된다. RDAPS의 온도와 습도 연직분포 자료를 비선형 물리적 방법에 필요한 초기 추정 자료로 사용하여 KI, KO, LI, MB 지수를 산출하였고, RTTOV-7을 이용하여 물리적 복원 방법에 요구되는 긴 계산 시간을 단축하였다. 복사전달 모의를 통해 추정된 밝기온도는 관측값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 예보에 대한 유용성을 살펴보기 위해 안정도 지수 산출 알고리즘을 급격히 발달하는 대류성 폭풍우 사례에 적용하였다. RDAPS로부터 계산된 안정도 지수와 NASA에서 산출한 안정도_ 지수에 비해 대류운의 발달이 예상되는 지역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순간 예보와 단기 예보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haracterization of Wild-Type and Mutated RET Proto-Oncogene Associated with Familial Medullary Thyroid Cancer

  • Masbi, Mohammad Hosein;Mohammadiasl, Javad;Galehdari, Hamid;Ahmadzadeh, Ahmad;Tabatabaiefar, Mohammad Amin;Golchin, Neda;Haghpanah, Vahid;Rahim, Fakhe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5호
    • /
    • pp.2027-2033
    • /
    • 2014
  • Background: We aimed to assess RET proto-oncogene polymorphisms in three different Iranian families with medullary thyroid cancer (MTC), and performed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and free energy stability analysis of these mutation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consisted of 48 patients and their first-degree relatives with MTC confirmed by pathologic diagnosis and surgery. We performed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and free energy stability analysis of mutations, and docking evaluation of known RET proto-oncogene inhibitors, including ZD-6474 and ponatinib, with wild-type and mutant forms. Results: The first family consisted of 27 people from four generations, in which nine had the C.G2901A (P.C634Y) mutation; the second family consisted of six people, of whom three had the C.G2901T (P.C634F) mutation, and the third family, who included 12 individuals from three generations, three having the C.G2251A (P.G691S) mutation. The automated 3D structure of RET protein was predicted using I-TASSER, and validated by various protein model verification programs that showed more than 96.3% of the residues in favored and allowed regions. The predicted instability indices of the mutated structures were greater than 40, which reveals that mutated RET protein is less thermo-stable compared to the wild-type form (35.4). Conclusions: Simultaneous study of the cancer mutations using both in silico and medical genetic procedures, as well as onco-protein inhibitor binding considering mutation-induced drug resistance, may help in better overcoming chemotherapy resistance and designing innovative drugs.

카자흐스탄 경제발전에 대한 실증연구 : 국제유가·이자율·실질환율을 중심으로 (An Empirical Study on the Economic Development Effects on Kazakhstan Focusing on the Macroeconomic Indices: International Oil Price, Interest Rate, Real Exchange Rate)

  • 황윤섭;김경희;김수은
    • 국제지역연구
    • /
    • 제14권1호
    • /
    • pp.77-97
    • /
    • 2010
  • 최근 국제자원시장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카스피해 연안 국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들 국가들은 자원수출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카자흐스탄은 최근 10년간 높은 경제성장률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자원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높은 경제구조를 가진 국가들의 경우 경제 전반이 국제자원 시세변동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저해하는 네덜란드 병에 노출될 수 있다. 최근 카자흐스탄은 우리나라와 교역 및 투자가 증가하는 등 새로운 에너지 공급처로서 대두되었다. 따라서 카자흐스탄의 경제변화는 우리나라에 있어 주요 이슈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카자흐스탄 경제에 네덜란드 병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Balasa-Samuelson모형을 수정하여 1999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를 표본 대상 기간 동안 국제유가와 이자율, 카자흐스탄 실질환율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전체 표본 기간 내 국제유가와 이자율은 실질환율과 장기적 균형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내 국제유가와 이자율은 실질환율에 각각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카자흐스탄은 네덜란드 병에 노출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라디오존데 고층관측자료를 활용한 한반도 남해안 지역의 2019년도 여름철 대기 안정도 특성 분석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tmospheric Stability from Radiosonde Observations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Summer of 2019)

  • 신승숙;황성은;이영태;김병택;김기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496-503
    • /
    • 2021
  • 한반도 남해안 지역의 여름철 대기 안정도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한반도 특성에 맞는 강수 예측을 위한 대기 안정도 지수의 정량적인 임계값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보성 표준기상관측소에서 관측한 2019년도 여름철 라디오존데 집중관측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총 관측자료는 243개 이다. 강수 유무 및 중규모 대기 현상에 대한 대기 안정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대류가용잠재에너지(Convective Available Potential Energy, CAPE)와 폭풍지수(Storm Relative Helicity, SRH)를 비교하였으며 특히 SRH 분석은 고도 별로 총 4개의 층으로(0-1, 0-3, 0-6, 0-10 km) 세분화하였다. 강수 유무에 따른 분석은 강수가 없는 경우, 강수발생 전 12시간, 강수 발생 시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2019년도 보성에서 발생한 여름철 강수 예측에는 CAPE 보다 SRH가 더 적합하며 0-6 km SRH가 약한 토네이도가 발생가능한 기준과 같은 150 m2 s-2 이상일 경우 강수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 된다. 또한, 장마와 태풍 기간의 대기 안정도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일반적으로 SRH는 대기 깊이가 두꺼워 질수록 값이 커지는 데 반해서 0-10 km SRH 평균값 보다 0-6 km 의 SRH 값이 더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2019년도 보성에서 발생한 태풍에 의한 강수를 판별하는 데는 0-6 km 의 SRH 값이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2012년 겨울철 특별관측자료를 이용한 강수현상 시 대기 연직구조와 민감도 실험 (Vertical Atmospheric Structure and Sensitivity Experiments of Precipitation Events Using Winter Intensive Observation Data in 2012)

  • 이상민;심재관;황윤정;김연희;하종철;이용희;정관영
    • 대기
    • /
    • 제23권2호
    • /
    • pp.187-204
    • /
    • 2013
  • This study analyzed the synoptic distribution and vertical structure about four cases of precipitation occurrences using NCEP/NCAR reanalysis data and upper level data of winter intensive observation to be performed b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at Bukgangneung, Incheon, Boseong during 63days from 4 JAN to 6 MAR in 2012, and Observing System Experiment (OSE) using 3DVAR-WRF system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recipitation predictability of upper level data at western and southern coastal regions. The synoptic characteristics of selected precipitation occurrences were investigated as causes for 1) rainfall events with effect of moisture convergence owing to low pressure passing through south sea on 19 JAN, 2) snowfall events due to moisture inflowing from yellow sea with propagation of Siberian high pressure after low pressure passage over middle northern region on 31 JAN, 3) rainfall event with effect of weak pressure trough in west low and east high pressure system on 25 FEB, 4) rainfall event due to moisture inflow according to low pressures over Bohai bay and south eastern sea on 5 MAR. However, it is identified that vertical structure of atmosphere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with heavy rainfall system in summer. Firstly, depth of convection was narrow due to absence of moisture convergence and strong ascending air current in middle layer. Secondly, warm air advection by veering wind with height only existed in low layer. Thirdly, unstable layer was limited in the narrow depth due to low surface temperature although it formed, and also values of instability indices were not high. Fourthly, total water vapor amounts containing into atmosphere was small due to low temperature distribution so that precipitable water vapor could be little amounts. As result of OSE conducting with upper level data of Incheon and Boseong station, 12 hours accumulated precipitation distributions of control experiment and experiments with additional upper level data were similar with ones of observation data at 610 stations. Although Equitable Threat Scores (ET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cases and thresholds, it was verified positive influence of upper level data for precipitation predictability as resulting with high improvement rates of 33.3% in experiment with upper level data of Incheon (INC_EXP), 85.7% in experiment with upper level data of Boseong (BOS_EXP), and 142.9% in experiment with upper level data of both Incheon and Boseong (INC_BOS_EXP) about accumulated precipitation more than 5 mm / 12 hours on 31 January 2012.

단순 외상팀 활성화 조건이 중증 외상 환자의 치료 결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ness of Simple Trauma Team Activation Criteria on Prognosis of Severe Trauma Patients)

  • 이동건;이강현;차경철;박경혜;최한주;김현;황성오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22권1호
    • /
    • pp.71-76
    • /
    • 2009
  •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outcome of the after trauma team (AfterTT) group to the before trauma team (BeforeTT) group. Methods: All trauma patients who visited to emergency room (ER) between July 1, 2006 and February 29,2008 based on trauma registry,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SBP) < 90 mmHg or GCS < 9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mount of packed RBC transfusion, the ER stay time, the ER visit to CT evaluation time, the ER visit to operation time, the length of ICU stay, the length of hospital admission and the survival discharge rate between the AfterTT group and the BeforeTT group. Patients with brain injuries had little chance of survival. Burn patients, who visited the ER 24 hours after injury and patients who were dead on arrival (DOA) were excluded from this study. Results: Total of 93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42 in the AfterTT group and 51 in the BeforeTT group. The AfterTT group and the Before TT group showed no differences in Revised Trauma Score (RTS) and mean age. The amount of packed RBC transfusion was lower in the AfterTT group,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AfterTT 11${\pm}$11units, BeforeTT 16${\pm}$15units, p=0.136). The ER visit to operation time was shorter in the AfterTT group,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fterTT 251${\pm}$223 minutes, BeforeTT 486${\pm}$460 minutes, p=0.082). The length of ICU stay was shorter in the AfterTT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TT 11${\pm}$12 days, Before TT 15${\pm}$30 days, p=0.438). The length of Hospital admission was shorter in the AfterTT group (AfterTT 43${\pm}$37 days, BeforeTT 68${\pm}$70 days, p=0.032), but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Simple Trauma team activation criteria decreased the amount of packed RBC transfusion and the hospital admission duration. Hemodynamic instability (SBP < 90 mmHg) and decreased mental state (GCS<9) are good indices for activating the trauma te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