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cticides

검색결과 575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 of Certain Insecticides in Controlling Pesudodendrothrips mori in Mulberry

  • Misra, Sunil;Reddy, C.Rajagopal;Sivaprasad, V.;Reddy, K.Dharma;Chandrashekhariah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7권1호
    • /
    • pp.83-86
    • /
    • 2003
  • Mulberry plantations are prone to several kinds of insect pests including the thrips, Pesudodendrothrips mori. The thrips infestation affects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racters of mulberry leaf, which in turn affects the silkworm cocoon crop. In the present study, four commercial insecticides viz., Rogor, Quinalphos, Confidor and Methyl parathion were tested for their efficacy in the control of P. mori thrips. These insecticides were observed to kill 68-80% within 24 hrs in vivo and 100% after 12 hrs post-treatment in vitro. Confidor (0.05%) and Quinalphos (0.2%) were most effective in controlling the thrips incidence. The insecticide-sprayed mulberry leaves did not show any adverse effect on the rearing of silkworms.

국내 골프장의 농약 사용 추이 (Utilization of Agrochemicals in Golf Courses in Korea)

  • 양승원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49-159
    • /
    • 1997
  • A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lucidate utilization of agochemicals in golf courses scien-tifically. The analysis of amounts of agrochemical used in golf courses from 1991 to 1996 which were reported to government are ;Despite of increase of golf courses, the amounts of agrochemicals decreased from 1992 as turning point. The decrease of utilization of insecticides and herbicides made it possible. In fungicides, thiopanate-methyl WP, polyoxine D. thiram WP and iprodione WP were used much in general and their utilization ratios were high. In recent year, as fungicides for Pythium blight and large patch, oxapro WP and pencycuron WP's amounts of utilization increased, but utilization ratios were under 70%. In insecticides, penitrothion OL's quantity consumed and utilization ratios were the best, but showed tendency of decrease as registration of agrochemicals for turfgrass expanded. In herbicides, bensulide OL, napropamide WP, MCPP SL were used much and their utilization ratios were high. In recent year, flazasulfuron WP's amounts of utilization and utilization ratio increased relatively. Key words: Agrochemicals Golf courses, Insecticides, Herbicides,Fungicides.

  • PDF

작물 보호제로서 살균제와 살충제의 활성 성분에 대한 물리-화학 파라미터의 범위 (The Range of Physicochemical Parameters for the Active Ingredients of Fungicides and Insecticides as Crop Protection Agents)

  • 송선섭;성낙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280-284
    • /
    • 2003
  • 농업용 살균제와 살충제로서의 활용성 진단과 예측평가 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용화 된 살균제 133품목과 살충제 152품목의 활성 성분들에 대하여 소수성(LogP), 쌍극자능율(DM), HOMO 및 LUMO 에너지, molar refractivity(MR), polarizability(Pol), van der Waals 분자 표면적 및 부피(Vol), 분자량 및 수화 에너지(hydralion energy) 등, 10 가지의 다양한 물리-화학 파라미터들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살균제와 sterol 생합성 저해제 (DMI: demethylation inhibitor) 및 살충제와 acetylcholine esterase 저해제(AChE)이 가지는 특정한 물리-화학 파라미터들의 범위 값을 설정하였다. 그 결과에 기초하여 다양한 화합물들이 작물 보호제로서 살균제와 살충제로의 활용 가능성이 예측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역별 장미재배지에서 채집된 꽃노랑총채벌레의 살충제 감수성 (Insecticide susceptibilities of rose field-collected populations of western flower thrips, Frankliniella occidentalis in Korea)

  • 유정수;김주일;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80-86
    • /
    • 2002
  • 시판되고 있는 40종 살충제의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성충에 대한 약제감수성을 검토한 결과 80%이상의 살충율을 보인 약제는 chlorfenapyr, chlorpyrifos-methyl, emamectin benzoate, fenthion, fipronil, phenthoate, spinosad, chlorpyrifos+diflubenzuron, furathiocarb+diflubenzuron이었다. 이들 약제에 대해 전국 5개 지역 장미재배지에서 채집한 지역집단의 약제감수성을 실험한 결과 고양과 김해집단이 임실, 진천, 강진집단보다 전반적으로 $LC_{50}$(ppm)값이 높았다. 그러나 emamectin benzoate, fipronil, spinosad는 모든 집단에서 $LC_{50}$이 1ppm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곤충 핵다각체병바이러스를 이용한 담배거세미나방의 생물적 방제. III.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 살충제 살포효과 (Microbial Control of the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 (Fab.), Using S. litura Nuclear Polyhedrosis Virus. III. Field Evaluation of the Viral Insecticides)

  • 임대준;진병래;최귀문;강석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52-256
    • /
    • 1990
  • 담배거세미나방 핵다각체병바이러스를 white carbon 제제, molasses 제제 및 White carbon-molasses 혼합제등 3종의 바이러스살충제로 만들어 제제의 살포방법, 살포효과 및 잔류효과를 폿트 및 콩포장에서 살충효과를 비교하였다. 바이러스 살충채 살포는 콩잎 표면 살포시 약 5일, 이변 살포시 약 12일까지 60% 이상의 살충효과가 지속되었다. 폿트식재 콩잎을 이용한 바이러스살충제의 살포효과는 molasses 제제와 with carbon 제제에서 모두 97% 이상의 살충효과가 있었으나 molasses성분을 포함한 제제는 햇빛에 의해 일부 콩잎에 약해를 보였다. 바이러스살충제 살포 1 시간 후 빗물 처리에 의한 영향은 빗물 무처리와 큰 차이가 없이 90% 이상의 살충효과가 있었다. 야외 콩 포장에서 바이러스살충제의 살포효과는 3종의 제제 모두 90%이상의 살충율이었 며, 유기합성농약보다 7일 늦게 효과가 나타난 반면 2주 이상 효과가 지속되었다.

  • PDF

국내등록사용중인 살충제에 대한 온실가루이의 감수성 (Susceptibility of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orum (Homoptera: Aleyrodidae) against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in Korea)

  • 김창우;김정화;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75-81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38종의 살충제에 대한 온실가루이 (Trialeurodes vaporariorum)의 발육단계별 감수성을 조사하고, 침투이행성, 잔효성 및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모든 시험은 살충제의 추천농도로 수행하였다. 알에 대해서는 IGR계인 pyriproxyfen만이 90%이상의 부화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3령약충에 대해서는 abamectin, acetamiprid, chlorpyrifos-methyl, imidacloprid, pyripoxyfan, acetamiprid+ethofenprox가 90%이상의 살충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성충에 대해서는 유기인계의 acephate, fenitrothion, phenthoate, 카바메이트계의 berfurcarb, furathiocarb, 피레스로이드계의 bifenthrin, 네오니코티노이드계의 acetamiprid, imidacloprid, 혼합제의 acetamiprid+ ethofenpox, ethofenprox+ diazinon, furathiocarb+ diflubenzuron, triazamate+${\alpha}$-cypermethrin 기타 abamectin, endosulfan, pymetrozine 등이 100%의 살충율을 나타내었다.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는 성충에 대해서 잔효성뿐만아니라 침투이행효과도 나타내었다. 방제효과시험에서 abamectin, acetamiprid, imidacloprid, pyriproxyfen, acetamiprid+ethofenprox은 처리후 11일째부터 90%이상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N-methlycarbamate 계(系) 살충제의 토양중(土壤中) 흡착(吸着) (The Adsorption of N-methylcarbamate Insecticides on Soils)

  • 김장억;홍종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3호
    • /
    • pp.124-130
    • /
    • 1985
  • 두가지 성질(性質)이 다른 토양(土壤)과 이들에 과산화수소(過酸化水素)를 처리(處理)하여 유기물(有機物)을 분해(分解)시킨 후 N-methylcarbamte 계(系) 농약(農藥)과의 흡착실험(吸着實驗)을 습식진탕법으로 행(行)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다. N-methylacrbamate계(系) 농약(農藥)은 12시간(時間)의 진탕으로 평충농도(平衝濃度)에 도달(到達)하였다. 또한 토성별(土性別)로는 sandy clay가 sandy loam보다 N-methylcarbamate계농약(系農藥)을 더 많이 흡착(吸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을 달리했을 때 N-methylcarbamate계농약(系農藥)의 흡착(吸着)은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에 상당한 영향(影響)이 있음이 나타났다. N-methylcarbamate계(系) 농약(農藥)의 흡착현상(吸着現象)은 Freundlich 정온흡착방정식(定溫吸着方程式)에 잘 부합(符合)되었다. 토양(土壤) pH를 변화(變化)시켰을 때 N-methlycarbamate계(系) 농약(農藥)의 흡착량(吸着量)에는 변화(變化)가 없었으며 이는 토양표면(土壤表面)에 hydrophobic한 부분(部分)에 물리적(物理的)으로 Vander waals 힘에 의(依)해서 흡착(吸着)되는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농약물질 중 살충제 관련 농업 종사자들의 직무 -노출 매트릭스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 조사 연구 (I) : 수도작 (Fundamental Research for Establishing a Job-Exposure Matrix (JEM) for Farmers Related to Insecticides (I): Rice Cultivation)

  • 김기연;조만수;이상길;강동묵;김종은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9-64
    • /
    • 2014
  • Objectives: The principal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domestic usage amounts of insecticide in rice cultivation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establishing a job-exposure matrix(JEM) related to farmers working with agricultural insecticides. Materials and Methods: An investigation of domestic usage amounts of insecticides rice cultivation was performed through two methods. The first method utilized information on agricultural pesticides published annually by the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KCPA). The second method made use of area of cultivation of rice as officially determined by Statistics Korea(SK). An estimation of domestic usage of insecticides in rice cultivation through the second method was determined by multiplying the total cultivation area of rice($m^2$) by the optimal spray volume of insecticides for rice cultivation per unit of cultivation area($kg/m^2$).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public data regarding insecticides in rice cultivation, it was found that the domestic usage amount has decreased sharply from the first year of market sales(1969) to the final data year(2012).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the annual usage trend of insecticides in rice cultivation between shipment and estimation. Also, the annual usage trends of insecticides in rice cultivation based on regional classification were nearly similar to those based on the overall aspect. Conclusions: The region which used the largest volume of insecticide in rice cultivation in Korea was the Jeolla Provinces, followed by the Gyeonsang Provinces, the Chungcheong Provinces, Seoul/Gyeonggi Province, Gangwon Province and Jeju Province. Substantially, the mean ratio of usage amounts of insecticide based on shipments and those based on estimation by cultivation area was $96{\pm}29%$, which indicates that the domestic usage amount of insecticide for rice cultivation corresponded to the optimal spray standard per unit area.

지하집모기 (Culex pipiens molestus)의 방제를 위한 환경친화적 살충제의 생물검정 (Bioassay of Environment-friendly Insecticides for Management of Mosquito, Culex pipieos molestus)

  • 최수연;오세찬;조민수;백승경;김진수;김다아;길미라;윤영남;유용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61-267
    • /
    • 2007
  • 몇 가지 환경 친화적 살충제를 사용하여 지하집모기 유충에 대한 생물활성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약제로는 키틴합성저해제인 Novaluron, 탈피촉진제인 Methoxyfenozide, 탈피억제제인 Pyriproxyfen 그리고 지질생합성저해제인 Spiromesifen을 사용하였다. 지하집모기의 유충에 대한 약제별 반수치사농도는 각각 0.00039, 0.07193, 0.65006 그리고 0.04839 ppm으로 키틴합성저해제인 Novaluron 가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모기 유충방제에 필요한 효과적인 약제 처리시기를 결정하기 위하여 모기 유충의 령기에 따른 약제 감수성 실험을 실시한 결과, Novaluron 은 부화 후 2 일차, 4 일차, 7 일차 및 10 일차에서 각각 100%, 84.5%, 71% 그리고 48.5% 의 방제가로 IGR 약제의 특정이 나타났다. 또한, Methoxyfenozide, Pyriproxyfen 그리고 Spiromesifen은 부화 후 2 일차에서 80% 이하의 살충효과로 Novaluron 과 비교하여 낮은 방제가를 나타냈었다. 한편 모기유충에 대한 효과적인 약제 노출시간을 알아본 결과 Novaluron은 100% 살충효과를 나타내는데 3시간이 필요하였고, 나머지 약제들은 12 시간 이상의 노출시간에서도 100% 방제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