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ecticide response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1초

유기인계 Chlorpyrifos가 생쥐에 미치는 급성 면역 독성 (Acute Immunotoxic Effects of Chlorpyrifos in CBA Male Mice)

  • 김강석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3권1_2호
    • /
    • pp.33-41
    • /
    • 1998
  • Chlorpyrifos, o,o diethyl-o-(3,5,6-trichloro-2-pyridyl) phosphorothioate, is a broad spectrum organophosphate insecticide. The use of chlorpyrifos has been increased more and more as pesticide. But the effects of chlorpyrifos on the immune alterations has not been yet observed.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lorpyrifos on the immune alterations in CICA male mice. Chlorpyrifos was administered to mice by a single intraperitoneal injection for the purpose of observing acute effects. On the one hand to get the information on immunopathologic alterations we observed hematological values, counted total circulating leukocytes and assessed the ratio of lymphocytes and neutrophils from the peripheral blood, measured the ratio of organ/body weight and counted splenic cellularity in CBA male mice which treated chlorpyrifos intraperitoneally. But we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immunopathologic alterations statistically by a single intraperitoneal injection. Also, the exposure of chlorpyrifos caused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number of PFC/10$^6$ spleen cells at any three given doses. On the other hand a singte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chlorpyrifos decreased the lymphocyte proliferation response slightly to ConA or LPS stimulation at a dose of 6 mg/kg b.w. Administrations of chlorpyrifos reduced mixed leukocyte response(MLR). MLR was decreased moderately at doses of 3mg/kg b.w. and 6mg/kg b.w. Therefore, al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hlorpyrifos may alter the immune functions acutely. especially by the changes of T lymphocyte activity.

  • PDF

HPLC에 의한 살충제의 동시분리 정량에 관한 연구 -Chlorpyrifos와 Fluvalinate에 대하여- (A study on the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hlorpyrifos and Fluvalinate by HPLC)

  • 고종명;권문주;이창근;유덕열;허흥덕
    • 환경위생공학
    • /
    • 제7권1호
    • /
    • pp.79-86
    • /
    • 1992
  • Rapid determination of chlorpyrifos and fluvalinate in mixed insecticide was established by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esult were as follows : 1. On Lichrosorb${\circledR}$ RP-8(10 ${\mu}m$) Column with on fluent of acetanitrile : water=75 . 25, sufficient separation of Chlorpyrifos and Fluorinate of base was obtained. 2.410td portion the diluted solution was injected in to the cdumn, and the effluent was monitored by on UV-Detector at 270 nm. 3. Relative Standard Deviation were 0.97% (chlorpyrifos) and 0.5% (fluorinate) under analysis conditions. 4. The UV-Detector response at 270 nm were linear (Y=421.8X-2090, $R^2=0.9997$ : Chlorpyrifos, Y= 1062.7X-4017.7, $R^2=0.9998$ : Fluorinate) over a range of 30~500 ${\mu}g/ml$.

  • PDF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의 pyrethroids약제에 대한 감수성 및 전기적 신경 반응 비교 (Toxicolog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Activities of Pyrethroids between Larvae of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and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 함선희;안희근;양정오;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97-202
    • /
    • 2009
  • 본 실험은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유충에 처리방법에 따른 살충 효과를 토대로 신경계를 작용점으로 하는 pyrethroid계 약제를 이용하여 신경반응을 비교해 보았다.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모두 충체분무처리시 세 약제에서 50%이하의 살충률을 나타내었다. 엽면침지시 배추좀나방은 50ppm에서 deltamethrin은 100%, fenvalerate는 80%의 살충률을 보였으며 permethrin은 63.3%로 나타났다. 하지만 파밤나방은 모든 농도에서 control과 비슷한 낮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세 약제가 배추좀나방과 파밤나방 유충 신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전기생리반응을 통해 신경감수성을 살펴본 결과, 배추좀나방은 deltamethrin은 $10^{-7}M$, fenvalerate는 $10^{-5}M$, permethrin은 $10^{-3}M$에서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파밤나방은 이 세 약제에서 모두 둔감한 반응결과를 얻었다.

오이총채벌레의 약제 저항성 진단을 위한 판별농도 기반 생물검정법 확립 (Establishment of Discriminating Concentration based Assessment for Insecticide Resistance Monitoring of Palm thrips)

  • 전성욱;박부용;박세근;이상구;류현주;이상범;정인홍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557-565
    • /
    • 2017
  • 오이총채벌레의 약제저항성 발달 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엽침지법을 이용한 생물검정을 실시하였다. 국내 7개 재배 시설지역에서 오이총채벌레를 채집하였고 9개 시험 약제를 선정하고 가장 효과적인 약효 판별 시간 및 단일 약량기반 판별 농도를 설정하여 약제반응을 조사하였다. 추천 농도(recommended concentration, RC)에서의 약제별 판별 시간은 emamectin benzoate EC 및 spinetoram SC는 처리 후 24시간, chlorfenapyr EC는 48시간, spinosad SC, cyantraniliprole EC, acetamiprid WP, dinotefuran WG, imidacloprid WP, thiacloprid SC는 72시간으로 설정하였다. 판별 농도(discriminating concetration, DC)는 7개 오이총채벌레 계통의 추천 농도에서 살충력을 조사한 결과 지역별 약제반응의 차이를 관찰할 수 없는 경우에는 처리 약량을 줄이거나 늘려 지역별 차이를 볼 수 있는 농도로 설정하였다. 약제별 판별 농도는 emamectin benzoate EC $0.013mg\;L^{-1}$ (RC, $10.8mg\;L^{-1}$), spinetoram SC는 $0.125mg\;L^{-1}$ (RC, $25.0mg\;L^{-1}$), chlorfenapyr EC는 $0.25mg\;L^{-1}$ (RC, $50.0mg\;L^{-1}$), Spinosad SC는 $0.083mg\;L^{-1}$ (RC, $50.0mg\;L^{-1}$), cyantraniliprole EC는 $5.0mg\;L^{-1}$ (RC, $50.0mg\;L^{-1}$)으로 설정하였고, 네오이코티노이드 계통인 acetamiprid WP (RC, $40.0mg\;L^{-1}$), dinotefuran WG (RC, $20.0mg\;L^{-1}$), imidacloprid WP (RC, $50.0mg\;L^{-1}$), thiacloprid SC(RC, $50.0mg\;L^{-1}$)는 추천 농도를 판별 농도로 설정하였다. 설정된 판별 농도와 판별 시간을 적용하여 생물 검정을 실시한 결과, acetamiprid를 포함한 4종의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약제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저항성이 발달되고 있어 약제저항성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밖에 emamectin benzoate 등 5종 약제는 추천 농도에서 살충력이 모든 지역에서 100%를 보여 약제저항성은 아직 발달되지 않았다. 제시된 약제 효율 판별 시간 및 판별 농도 기준 단일 약량 생물검정법을 활용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한다면 국내 오이총채벌레의 약제저항성 동태 추적 및 약제저항성 관리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Studies on the pesticide amitraz-induced bradycardia

  • Kim, Hyeon-oh;Shin, Dong-ho;Nah, Seung-youl;Kim, Jae-ha;Kim, Sung-ho;Park, Hag-jae;Chung, Yeong-hee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710-714
    • /
    • 1999
  • In veterinary medicine amitraz has been used as an insecticide to eliminate mites, lice, and ticks in dogs, cats, goats, swine and cattle. We performed the experiment on bradycardiac effect of arnitraz in rabbits. Under anesthetized with urethane (1g/kg, 25% w/v, SC), the femoral artery was cannulated by a polyvinyl tube which was connected with pressure transducer for continuous measurement of heart rate. Amitraz (0.5-2.5mg/kg, IV) reduced the heart rate in a dose-dependent manner. Pretreatment of yohimbine (2.0mg/kg) or atropine (2.0mg/kg and 4.0mg/kg) affected the response of amitraz but pretreatment of prazosin (0.5mg/kg) or propranolol (1.0mg/kg) did not. Moreover, the effect of amitraz was blocked by vagotomy. The result of our experiment suggest that amitraz may reduce the heart rate by increasing acetylcholine through activating vagal nerves and ${\alpha}_2$-adrenoceptors could be involved in activating vagal nerves.

  • PDF

우리나라 농민의 Chlorpyrifos에 대한 피부 위해성 평가 (Human Dermal Risk Assessment on Chlorpyrifos of Korean Farmers)

  • 정경미;이효민;이은희;이선희;김진화;심영용;홍진태;이용욱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7-198
    • /
    • 2002
  • Chlorpyrifos is an organophosphate insecticide and one of the most commonly and widely used insecticide. However, a little known about the dermal risk of chlorpyrifos on human be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dermal risk assessment after exposure to chlorpyrifos in Korean farmers. First, skin irritation by chlorpyrifos (10 mg/$\textrm{cm}^2$, 50 mg/$\textrm{cm}^2$, 100 mg/$\textrm{cm}^2$, 250 mg/$\textrm{cm}^2$ in acetone) was determined in rabbits for 5 days considering the usage of chlorpyrifos short term highly exposure. The index of skin irritation by chlorpyrifos was increased in each dose and length of exposure dependent manners. Next, using benchmark dose (BMD$_{5}$) approach,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was assessed to calculate the reference dose (RfD). The value of RfD was 2.84 $\mu\textrm{g}$/kg/day from 142.16 $\mu\textrm{g}$/kg/day BMD5 value divided uncertainty factor 50. Finally, we assessed human dermal risk of chlorpyrifos with exposure level and RfD. Skin absorbed levels were assumed with several exposure scenarios encounting the circumstances of exposure that application method, protection equipment and cloth, exposure time and exposure frequency during chlorpyrifos spraying. By the comparison of skin absorbed dose with the reference dose, it was identified that risk values (risk index) to skin chlorpyrifos exposure were 0.958 from the point of above results and it was recommended that the occurrence of hazard effect (skin irritation toxicity) of chlorpyrifos would not be expected. Risk index was smaller than 1 in the case of spraying vehicle mounted application, 1hour exposure time and wearing protective cloth exposure. Whereas, risk index was above 1 in the case of hand-held application, 2hour exposure time and wearing common cloth. Comparing two kinds of application method, total risk index of the hand held application (1.67) was higher than vehicle mounted (0.27). Therefore, chlorpyrifos skin exposure was mainly affected by application equipment and applied form. The results of risk assessment on the human dermal toxicity of chlorpyrifos should be required to control in keeping safety rules, skin surface area available for contact, spraying time ,and spraying frequency.y.

  • PDF

스트레스 음파에 따른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 소화 및 면역 생리작용 저하와 살충제 감수성 제고 효과 (Sound Stress Alters Physiological Processes in Digestion and Immunity and Enhances Insecticide Susceptibility of Spodoptera exigua)

  • 박정아;석정균;;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39-46
    • /
    • 2011
  • 본 연구는 상이한 음파 처리에 따라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유충의 소화와 면역 생리반응에 대한 교란 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사한 모든 주파수의 음파 처리가 파밤나방 산란에는 뚜렷한 효과를 주지 않았지만, 95 dB 소리세기에서 100-5,000 Hz 주파수의 음파 처리는 유충의 섭식량을 저하시키고, 중장의 소화효소 활성을 억제시켰다. 이 스트레스 음파 처리에 따른 중장 내강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이차원전기영동으로 분리하였으며, 무처리구와 상이한 단백질 패턴을 발견하였다. 또한 가장 스트레스 효과를 크게 주는 95 dB의 5,000 Hz 주파수 음파 처리를 받은 유충은 곰팡이 감염에 대해서 혈구의 소낭형성이 억제되었다. 이 음파 처리 받은 유충의 혈구와 혈장에서 인지질분해효소(phospholipase $A_2$: $PLA_2$)의 활성은 현격하게 감소하였다. 스트레스 음파 처리에 따라 파밤나방 유충은 살충제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했다. 이러한 상이한 주파수에 따른 생리교란 효과는 소리세기의 차이에 따라 뚜렷하게 차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음파처리가 파밤나방의 생리과정에 스트레스를 주어 비화학적 해충 방제 관리 기술 개발에 적용될 수 있다고 본 연구는 제시한다.

강원도 고랭지대 배추경작지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의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발달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 resistance to organophosphorus and carbamate insecticides in Kangwon alpine vegetable croplands)

  • 조준모;김경주;김성문;한대성;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0-35
    • /
    • 2001
  • 강원도 고랭지대 배추경작지에서는 동일한 살충제가 매년 수회씩 연용되고 있으며, 여러 살충제의 혼용살포로도 배추좀나방 방재가 어려운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실험의 목적은 강원도 고랭지대 배추경작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L.)에 대한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의 저항성 발달 정도를 구명하는데 있다. 강원도 계촌, 장평, 태백, 춘천, 홍천의 배추경작지에서 발생한 배추좀나방을 채집하여 유기인계 살충제인 chlorpyrifos, diazinon, fenitrothion, profenofos, phenthoate, flupyrazofos와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인 carbofuran, befuracarb, furathiocrb에 대한 $LC_{50}$을 감수성종과 비교하여 저항성 발달정도를 검정하였다. 유기인계 살충제인 chlorpyrifos에 대한 태백종과 홍천종의 $LC_{50}$은 216.9 ppm과 589.0 ppm으로 감수성종의 $LC_{50}$인 6.25 ppm과 비교하여 각각 35배와 94배 높았고, fenitrothion에 대한 태백종과 홍천종의 $LC_{50}$은 각각 240.3 ppm과 960.1 ppm으로 감수성종의 $LC_{50}$ 3.9 ppm과 비교하여 70배와 254배 높았으며, profenofos에 대한 춘천종의 $LC_{50}$ 39.2 ppm은 감수성종의 $LC_{50}$ 1.1 ppm과 비교하여 37배 높았다. 그러나 diazinon, phenthoate, flupyrazofos에 대한 감수성종과 포장종의 $LC_{50}$에는 차이가 거의 없었다.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의 경우 befuracarb에 대해서만 저항성이 나타났는데, befuracarb에 대한 춘천중의 $LC_{50}$은 257.8 ppm으로 감수성종의 $LC_{50}$ 13.34 ppm과 비교하여 19배 높았다. 본 실험의 결과는 약제간, 지역간차이는 있었으나 강원도 고랭지 배추 재배지에서 발생하는 배추좀나방이 일부 유기인계 및 카바메이트계 살충제에 대하여 저항성이 발달되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몇가지 담수산동물(淡水産動物)에 대한 살충제 Cartap의 급성독성(急性毒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cute Toxicity of an Insecticide Cartap to Several Species of Freshwater Animals)

  • 변상지;최승윤;김광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43-49
    • /
    • 1984
  • 본 시험은 몇가지 담수산동물(淡水産動物)에 대한 cartap의 급성독성(急性毒性) 발현(發現)에 미치는 동물(動物)의 종류(種類), 수온(水溫) 및 pH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공시된 담수산동물은 금붕어(Carassius auratus LINNE), 왜몰개 (Aphyocypris chinensis $G{\"{U}}NTHER$), 미꾸리(Misgurus anguillicaudatus CANTOR) 및 둥근물벼룩(Moina macrocopa STRAUS)이었다. 용존산소량(溶存酸素量)과 물의 경도(硬度)는 각각 $6{\sim}8\;ppm$, $22{\sim}40\;ppm$으로 고정하고, 수온(水溫)의 수준(水準)은 $20^{\circ}C$, $25^{\circ}C$, $30^{\circ}C$이었고 pH치(値)의 수준(水準)은 6, 7, 9이었다. 얻어진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온(水溫) $25^{\circ}C$, pH 7에서 cartap의 TLm (median tolerance limit)치(値)는 금붕어, 왜몰개, 미꾸리에서 낮았고, 등근물벼룩에서 높았다, 금붕어에 대한 48시간 TLm치(値)는 0.88 ppm, 왜몰개는 0.26 ppm, 미꾸리는 0.13 ppm이었고, 등근물벼룩의 3시간 TLm치(値)는 306 ppm이었다. 2) pH치(値)를 7로 고정하고, 수온을 $20^{\circ}C$, $25^{\circ}C$, $30^{\circ}C$로 하였을 때, cartap의 TLm치는 금붕어와 왜몰개에서는 온도의 상승과 더불어 낮아졌으나 둥근물벼룩에서는 $25^{\circ}C$에서 가장 높았고 $30^{\circ}C$에서 가장 낮았다. 둥근물벼룩에 대한 3시간 TLm치(値)는 $20^{\circ}C$에서 107 ppm, $25^{\circ}C$에서 306 ppm, $30^{\circ}C$에서 77 ppm이었다. 3) 수온을 $25^{\circ}C$로 고정하고 pH치를 6, 7, 9로 하였을 때, 금붕어와 왜몰개는 pH치가 높아질수록 TLm치(値)도 높아졌으나, 둥근물벼룩은 높은 pH치에서 TLm치가 낮아졌다. 미꾸리의 사망율은 pH치가 커질수록 사망율이 현저히 증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볼 때, cartap의 담빙산동물(淡氷産動物)에 대한 독성발현도(毒性發現度)는 동물의 종류뿐만 아니라 수온(水溫)과 pH의 영향도 크게 받는데, 그 변화양상(變化樣相)은 요인(要因)에 따라 일정하지 않았다.

  • PDF

행동궤적의 패턴 분류를 위한 에너지 최소화 모델 (Energy Minimization Model for Pattern Classification of the Movement Tracks)

  • 강진숙;김진숙;차의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3호
    • /
    • pp.281-288
    • /
    • 2004
  • 본 논문은 외부 자극에 대한 생물 행동의 복잡하고 다양한 특징들을 추출하고 분석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물 속 생물인 깔따구의 행동궤적으로부터 얻어 낸 속도 벡터의 위상영상에 적응적이고 수리적인 방법인 에너지 최소화 모델을 적용한다. 즉, 다이아지논이라는 약물이 처리되기 전과 후의 깔따구의 행동궤적의 특징을 위상영상으로부터 찾아내어 행동 패턴을 분류하고 이 약물에 대한 깔따구의 적응적 행동 특징을 추출하는 것이다. 특징추출을 위해 도입한 방법은 T. Chan과 L. Vese에 의해 제안된 개선 Active Contour 모델에 근거한 것으로 Active Contour를 진화시키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에너지함수 값의 변화를 이용한 것이다. Active Contour 모델이란 주어진 영상에 놓인 커브를 그 커브에 의해 분할된 부분영상들의 에너지 값들의 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게 함으로써 영상 내 객체의 경계를 찾는 영상분할 방법이다. 깔따구의 행동궤적 데이터는 CCD 카메라를 통해 0.25초 간격으로 약물을 처리하기 전과 후 4일 간을 관찰하여 획득하고, 이 행동궤적 데이터에서 행동의 특징 요소가 되는 속도벡터 성분을 15-20분 간격으로 추출하여 위상영상을 만든다. 그리고 이 위상영상에 Active Contour를 적용함으로써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에너지 함수 값의 그래프에서 구해진 기울기 변화에 대한 수리적 계산과 분석을 통해 깔따구 행동궤적의 특징을 찾고 행동 패턴을 분류한다. 또한, 에너지 최소화 모델은 약물 처리된 깔따구의 반응적인 행동이 이에 적응하고 있음을 효과적으로 보여준다.